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기혼 중년남녀의 성적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간 의사소통의 듣기와 말하기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The Moderating Effect of Speaking and Listening in Couple Communica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5, v.21 no.4, pp.697-718
손강숙 (아주대학교)
주영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기혼 중년남녀의 성적친밀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간 의사소통(듣기와 말하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만 40세 이상의 기혼 중년남녀 370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친밀감과 결혼만족도와 의사소통 중 말하기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의사소통의 말하기와 듣기는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을 나타났다. 둘째, 성적친밀감은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부부 의사소통 중 말하기와 듣기는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적친밀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 중 말하기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적친밀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 중 듣기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기혼 중년남녀의 부부 상담과 부부 상담프로그램에서 성적친밀감과 조절변인인 듣기의 잠재적인 사용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sexual intimacy, couple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기혼 중년남녀, 성적친밀감, 부부 의사소통, 결혼만족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uple communication(speaking and listening) in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rital satisfaction, sexual intimacy, and speaking of couple communic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peaking and listening of couple communication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Secondly, sexual intim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marital satisfaction. Third, speaking and listening of couple communic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marital satisfaction. Fourth, speaking of couple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Listening of couple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Through this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for intervention on the potential use of sexual intimacy and listening of couple communication prov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counseling and couple counseling program for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keywords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sexual intimacy, couple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기혼 중년남녀, 성적친밀감, 부부 의사소통, 결혼만족도

참고문헌

1.

강선모 (2014). 부모의 부부갈등이 자녀의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모화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4), 257-283.

2.

강차선 (2006). 부부의사소통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윤아 (2015). 결혼생활문제와 부부싸움결과의 관계: 역기능적 부부싸움방식의 매개 및 부드러운 첫마디의 완충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4), 3-20.

4.

권윤아, 김득성 (2008). 부부싸움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 행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를 분석단위로 하여. 대한가정학회지, 46(10), 83-96.

5.

권윤아, 김득성 (2011). 부부갈등악화 의사소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인지행동적 관점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7), 67-80.

6.

권정혜, 채규만 (1998).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35-51.

7.

권정혜, 채규만 (1999a).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23-139.

8.

권정혜, 채규만 (1999b).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타당화 연구 Ⅱ: 이혼상담집단과 자녀상담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2), 139-150.

9.

김경진 (2010). 중년기 부부의 건강한 부부관계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득성, 김정옥, 송정아 (200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폭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1-16.

11.

김영기, 한성열, 한 민 (2011).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성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2), 199-218.

12.

김명희, 최연실 (2007).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친밀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1-23.

13.

김민녀, 채규만 (2006).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녀의 결혼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55-671.

14.

김소진 (2009).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에 대한 생애사 연구. 한국노년학, 29(3), 1087-1105.

15.

김수진 (2011).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생활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순옥 (2001). 부부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137-157.

17.

김시연, 서영석 (2010).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198-213.

18.

김요완 (200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성 지식 수준의 성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재은 (1983). 인간발달의 과정. 서울: 전망사.

20.

김종우, 이조희, 이승기, 엄효진, 황의완 (1996). 홧병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지, 4(2), 23-32.

21.

김태현, 박주희 (2005). 부부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부부관계 향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79-106.

22.

김효정 (2012). 일부 성인의 성만족도와 결혼만족도와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남순현 (2008). 중년기 기혼여성의 성과 일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2008(0), 538-539.

24.

노명희 (199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성취동기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노명희, 이 숙 (199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성취동기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29(4), 181-206.

26.

류석진, 조현주 (2015).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1), 213-233.

27.

문인자, 조옥희, & 김효심 (1997). 청소년의 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n Sexuality Education for Adolescents).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1), 145-159.

28.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여성, 19(1), 65-83.

29.

박한샘, 연문희 (2004). 부모 이혼 후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1-29.

30.

반신환 (2007). 가트만(Gottman)의 부부관계의 모형과 부부치료이론: 정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3(단일호), 149-166.

31.

백미숙 (2006). 의사소통적-치료적 관점에서 듣기와 공감적 경청의 의미. 독일언어문학, 12, 35-55.

32.

변금령, 이영호 (2012). 기혼 남녀의 성 의사소통 유형이 성생활의 질 및 사랑 요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4), 623-652.

33.

비은선, 조결자 (2002). 학령기 정상가정자녀와 이혼가정자녀의 건강상태와 학교생활적응정도 비교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4), 743-756.

34.

손영미, 박정열, 전은선 (2015).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과 가족 양립 관련 가치관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53-280.

35.

유 옥 (2010). 결혼생활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신혼기 부부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유시순 (2003). 기혼노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윤명숙, 이묘숙, 김남희, 정향숙 (2012). 이혼가정 자녀의 상실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35(0), 73-104.

38.

이경성 (2001). 이혼의도, 시도 및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27), 97-119.

39.

이광자, 김문실, 김수지, 김옥수, 변영순, 신경림, 안경애, 이경혜, 이광옥, 이자형 (2004). 가족건강과 신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0.

이두원 (2009). 부부간 의사소통 행태의 세대별 특성과 변천과정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일반, 17(1), 129-151.

41.

이삼연 (2002). 이혼가정 청소년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0), 37-65.

42.

이선미 (2001).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시형, 오강섭, 조소연, 배석주, 이성희, 김영철 (1989). 홧병의 임상연구: 분노반응으로서의 홧병. 고려병원 잡지 고의, 12, 483- 488.

44.

이여봉 (2010).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한국인구학회), 33(1), 103-131.

45.

이영실 (1989). 도시부인의 부부갈등 제요인과 성생활 불만족의 정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이정은, 이영호 (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47.

이훈구 (2004).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개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4), 47-53.

48.

이희숙, 박경 (2008).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 보살핌과 성적 친밀감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671-689.

49.

장덕희, 장경아 (2009). 이혼가족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족보호요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4(4), 5-24.

50.

장문선, 김영환 (2003). 우울증 환자의 결혼만족도에서 역기능적 태도와 부부의사소통패턴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399-414.

51.

장춘미 (2009). 스트레스와 결혼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부부의 지지행동 및 갈등해결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 153-171.

52.

정경아 (2009). 기혼남녀의 성인애착, 공감능력 및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정순례 (2014). 기독교 중년부부의 의사소통유형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과 성적친밀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복음과 상담, 22(2), 301-339.

54.

정연옥, 이민규, 김은정 (2007). 이혼 가정 자녀의 유기공포 및 상실지각과 불안 및 우울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171-188.

55.

정옥분 (2011). 발달심리학-전 생애 인간발달. 서울: 학지사.

56.

정옥분, 정순화 (2014). 결혼과 가족의 이해. 서울: 학지사.

57.

정창성 (2008). 대화를 통한 부부 갈등 해소 방안.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8.

조성희, 박소영 (2010).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9(0), 149-174.

59.

주소희 (2008). 누적적 위험요인과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6, 61-86.

60.

최승미 (2015). 결혼만족도, 스마트폰중독 및 외도태도가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1), 55-78.

61.

통계청 (2014). 2013년 혼인․이혼통계. 통계청 보도자료.

62.

현경자, 박선영 (2012). 경제적 압박과 저소득층 부부의 친밀성: 남편과 부인의 관점과 다각화와 갈등반응행동의 기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385-411.

63.

홍성희 (2014).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부/모 친밀도 차이의 조절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4), 269-290.

64.

황민혜, 고재홍 (2010). 부부간 결혼가치관 차이, 오해 및 부부갈등: 의사소통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779-800.

65.

Blumstein, P., & Schwartz, P. (1983). American skills differentiating more satisfying from less satisfying marital relationshi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1, 540.

66.

Booth, A,., & White, L. (1980). Thinking about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 605-616.

67.

Bradbury, T. N., Fincham, F. D., & Beach, S. R. (2000).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4), 964-980.

68.

Brodsky, S. L. (2012). Therapy with coerced and reluctant client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9.

Byers, E. S., & MacNeil, S. (1997).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problems,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The Canadian Journal of Human Sexuality, 6(4), 277.

70.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dale, NJ: Erlbaum.

71.

Cordova, J. V., Gee, C. B., & Warren, L. Z. (2005). Emotional skillfulness in marriage: Intimacy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killful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 218-235.

72.

Docan-Morgan, T., & Docan, C. A. (2007). Infidelity on the Internet: Double standards and the differing views of women and men. Communication Quarterly, 55(3), 317-342.

73.

Edward K. H. (1980).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cognitive homeostasis [dissertation]. Washington (USA): University of Washington.

74.

Fisher, L. (2010). Sex, Romance, and Relationships: AARP Survey of Midlife and Older Adults (AARPPub. No. D19234). Washington, DC: AARP.

75.

Frazier, Patricia A., Tix, Andrew P., & Barron, Kenneth E. (2004).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1), 115-134.

76.

Gottman, J. M. (1999). The marriage clinic: A scientifically-based marital therapy. New York, NY: Norton.

77.

Greeff, A. P., & Malherbe, H. L. (2001). Intimacy and marital satisfaction in spouses.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27, 247-257.

78.

Hammond, R., Cheney, P., & Pearsey, R. (2015). Sociology of the family. Rocky Ridge Press.

79.

Henderson-King, D., & Veroff, J. (1994).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Well-being in the first years of Marriage.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1(4), 509-534.

80.

Henline, B. H., & Lamke, L. K. (2003). The experience of sexual and emotional online infidelity. Poster presented at the 65th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Vancouver.

81.

Hertlein, K. M., & Piercy, F. P. (2006). Internet infidelity: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Family Journal of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ies, 14(4), 366-371.

82.

Holmes, T. H.,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2), 213-218.

83.

Kinnunen, U., & Feldt, T. (2004). Economic stress and marital adjustment among couples: Analyses at the dyadic level.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4(5), 519-532.

84.

Larson, J. H., & Holman, T. B. (1994). Premarital predictors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Family Relationships, 43, 228-237.

85.

Litzinger, S., & Gordon, K. C. (2005). Exploring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31, 409-424.

86.

Massey, R. F. (1999). The Assessment of sexual intimacy: A validity study. 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Doctor of Philosophy.

87.

Mckay, M., Davis, M., & Fanning, P. (1995). Messages: The communication skills book. CA: New Harbinger Publications, Inc.

88.

Merves-Okin, L., Amidon, E., & Bernt, F. (1991). Perceptions of intimacy in marriage: Stufy of married couple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9(2), 110-118.

89.

Metts, S. (1991). Sexuality and communication in close relationships. Sexuality in close relationships, 93.

90.

Montgomery, B. M. (1988). Quality communication in personal relationships. In S. W. Duck(Ed.), Handbook of personal relationships, 343-359. New York: Wiley.

91.

Morokqff, P. J., & Gillilland, R. (1993). Stress, sexual functioning,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Sex Research, 30(1), 43-53.

92.

Noller, P. (1981). Gender and marital adjustment level differences in decoding messages from spouses and strang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272-278.

93.

Oattes, M., & Offman, A. (2007). Global and Sexual Self-Esteem as Predictors of Sexual Communicat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Canadian Journal of Human Sexuality, 16, 89-100.

94.

Patton, D., & Waring, E. M. (1985). Sex and marital intimacy.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11(3), 176-184.

95.

Roach, A. J., Frazier, L. O., & Bowden, S. T.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3, 537-546.

96.

Rutledge, A. L. (1966). Pre-marital counseling. Cambridge, Mass: Schenkman Publishers.

97.

Smolen, R. C., Spiegel, D. A., Khan, S. A., & Schwartz, J. F. (1988). Examination of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assertion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wome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7, 284-289.

98.

Sprecher, S. (2002). Sexual satisfaction in premarital relationships: Associations with satisfaction, love, commitment, and stability. Journal of sex research, 39(3), 190-196.

99.

Sprecher, S. (2013). Attachment style and sexual permiss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5(4), 428-432.

100.

Sprecher, S., & Regan, P. C. (2000). Sexuality in a relational context. Close relationships: A sourcebook, 217-227.

101.

Stack, S., & Eshleman, J. R. (1998). Marital status and happiness: A 17-nation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527-536.

102.

Underwood, H., & Findlay, B. (2004). Internet relationship and their impaction primary relationships. Behavior Change, 21(4), 127-140.

103.

Vincent, J. P., Weiss, R. L., & Birchler, G. R. (1975). A behavioral analysis of problem solving in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married and strange dyads. Behavior Therapy, 6, 475- 487.

104.

Weeks, G. R. (Ed.) (1989). Treating couples: The intersystem model of The marriage council of Philadelphia. New York: Brunner/Mazel.

105.

Yeh, H. C., Lorenz, F. O., Wickrama, K. A. S., Conger, R. D., & Elder, G. H. (2006). Relationships among sexual satisfaction, marital quality, and marital instability at midlife.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2), 339-343.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