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전통예술 가업계승 대학생이 경험하는 가족의 의미 - Giorgi 현상학적 접근 -

The Study on the Meaning of the Family Experienced by Undergraduates Taking over Traditional Art as Family Occupation: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6, v.22 no.4, pp.543-565
https://doi.org/10.20406/kjcs.2016.11.22.4.543
강수운 (성균관대학교)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예술을 가업으로 계승한 대학생들의 가족 내 경험 및 가족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가업을 계승하여 전통예술을 전공하는 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65개의 중심의미, 16개의 드러난 주제, 7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질적 주제는 ‘핏줄내림’, ‘예술적 가풍의 자기화’, ‘가족추동력’, ‘전문예술인으로서의 성장 원동력’, ‘감옥살이 아닌 감옥살이’, ‘뛰어넘을 수 없는 벽’, ‘가족의 길에서 나의 길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traditional art, family occupation, family,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전통예술, 가업계승, 가족, Giorgi 현상학적 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in family 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family which undergraduate students have when taking over traditional art as family occupation. Five students were selected who majored in traditional art in order to succeed to their family occup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were conducted according to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lin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procedures and resulted in 65 main meanings, 16 emerging themes and 7 essential themes. These essential themes consisted of ‘innate talents in their blood’, ‘internalization of artistic family traditions’, ‘impetus given by the family’, ‘the driving force as a professional artist’, ‘a life like being imprisoned’, ‘the wall impossible to go over’ and ‘family occupations turning into mine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keywords
traditional art, family occupation, family,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전통예술, 가업계승, 가족, Giorgi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1.

곽현, 이은경 (2011). 고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진로 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자기제시 동기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4(1), 103- 116.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요무형문화재 표준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2008-호.

3.

국립국어원 (2016).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에서 2016. 08. 01. 자료 얻음

4.

권용혁 (2011). 개인과 가족. 사회와 철학, (21), 241-268.

5.

김수리, 이재창 (2007).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393-407.

6.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Ⅰ. 서울: 문음사.

7.

김완석, 박종원 (2013). 대학생의 가족영향력과 진로포부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진로교육연구, 26(1), 203-229.

8.

김춘일, 김성혜 (2008). 예술가들의 어린시절. 파주: 교육과학사.

9.

류승아, 김경미, 한민 (2014). 문화적 자기관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행복 및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3), 177-203.

10.

박현미, 장석진 (2013). 가족지지와 청소년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1(1), 1-21.

11.

박현승, 허식 (2013). 전통예술 참여동기 요인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문화경제연구, 16(1), 73-102.

12.

선혜연 (2008). 청소년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부모의 관여방식 차이. 진로교육연구, 21(3), 49-67.

13.

손태도 (2012). 전통 연희의 공연 미학 탐색. 고전문학과 교육, 23, 331-366.

14.

송현종, 조성은 (2003). 청소년들의 열등감 보상과 사회적 관심 증대를 위한 개인심리학적 집단상담의 효과. 상담학연구, 4(4), 755-771.

15.

야마자키 노리코 (2011). 일본의 ‘가업’과 지역사회 공헌: 사이타마(埼玉)현 가와고에(川越)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양윤정, 조성기, 우주희 (2009).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미래사회협동연구총서, 연구보고RRC, 11-1.

17.

이경엽 (2014).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재인식과 계승 방향. 남도민속연구, 29, 249-284.

18.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윤주 (2006). 긍정적 환상의 한일 비교: 주체성 자기와 대상성 자기에 의한 설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9-34.

19.

이득연, 홍경자 (2004). 가족의 심리 사회적 변인과 진로탐색행동과의 관계: 합리적 진로의사결정과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청소년상담연구, 12(1), 109-120.

20.

이사랑 (2009). 가계 전승을 통한 국악인 2세의 정체성 형성 과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윤주 (2009). 가족지지,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친밀감이 중고등학생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1, 57-71.

22.

이재희, 이지민 (2012).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4), 77-87.

23.

전지영 (2015). 국악교육의 본질과 한계에 관한 성찰. 교육문화연구, 21(3), 103-128.

24.

전지영 (2015). 전통예술정책과 전통예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설정. 국악교육, 39, 161-182.

25.

정은정 (2015).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전통예술교육 프로그램. 국악교육연구, 9(2), 167-195.

2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21세기 한국 전통음악 비교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27.

한민, 류승아, 김경미 (2012). 사회비교와 행복의 관계에서 문화적 자기관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4), 577-597.

28.

Bourdieu, P. (1984). Distinction.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29.

Bratcher, W. E. (1982). The influence of the family on career selection: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Personnel & Guidance Journal, 61(2).

30.

Carr, A. (2012). Family therapy: Concepts, process and practice. John Wiley & Sons.

31.

Fouad, N. A. (2007). Work and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Annu. Rev. Psychol., 58, 543-564.

32.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i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 1016-1024.

33.

Giorgi, A. (2009).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A modified Husserlian approach. Duquesne University Press.

34.

Hamburg, D. A., & Adams, J. E. (1967). A perspective on coping behavior: Seek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in major transition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7(3), 277-284.

35.

Heller, K., Swindle, R. W., & Dusenbury, L. (1986). Component social support processes: Comments and integr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4), 466.

36.

Hurberman, M., & Miles,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37.

Lerner, R. M., & Schulenberg, J. E. (1986). Career development: A life-span developmental approach. Lawrence Erlbaum.

38.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Vol. 75). Sage.

39.

Lopez, F. G., & Andrews, S. (1987). Career indecision: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40.

Markus, H.,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a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41.

McGoldrick, M., Pearce, J. K., & Giordano, J. (1982). Ethnicity and family therapy(Eds.). New York: Guilford.

42.

Richie, B. S., Fassinger, R. E., Linn, S. G., Johnson, J., Prosser, J., & Robinson, S. (1997). Persistence, connection, and passion: A qualitative study of the career development of highly achieving African American–Black and White wo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2), 133.

43.

Rosenberg, M., Schooler, C., & Schoenbach, C. (1989). Self-esteem and adolescent problems: Modeling reciprocal effec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004-1018.

44.

Sanna, L. J. (1992). Self-efficacy theory: Implications for social facilitation and social loaf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5), 774.

45.

Sauermann, H. (2005). Vocational choice: A decision making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2), 273-303.

46.

Tang, M., Fouad, N. A., & Smith, P. L. (1999). Asian Americans’ career choices: A path model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1), 142-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