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저신뢰 사회를 만드는 고신뢰 기대? 가족확장성과 신뢰기준의 역할

Can High Trust Expectation Cause Low Trust? The Roles of Trust Criteria and Family Expansionism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7, v.23 no.1, pp.75-96
https://doi.org/10.20406/kjcs.2017.02.23.1.75
허용회 (고려대학교)
박선웅 (고려대학교)
허태균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 대한 저신뢰 평가에 기여하는 문화심리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저신뢰 평가가 한국인 스스로 높은 신뢰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에 귀인될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신뢰판단의 기준을 형성하는 데 한국의 문화심리적 특성인 가족확장성(Korean Family Expansionism)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540명의 한국 성인에게 부모, 사법부 및 정치인에 대한 신뢰의 기준 및 실제 신뢰 정도와 그들의 가족확장성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고, 연구 2에서는 가족확장성을 활성화시키는 처치가 신뢰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정치인에 대한 신뢰 기준은 부모에 대한 신뢰 기준보다 더 높았고, 특히 관계(친밀성)요인이 아닌 대상(책임성)요인에서 정치와 사법 현실을 고려할 때 일반인들이 정치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대가 다소 비현실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에 대한 신뢰기준에 비해 정치인이나 사법부에 대한 신뢰의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실제 그들에 대한 신뢰정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사법부 및 정치인에 대한 상대적 신뢰 수준/기준(부모 대비)은 가족확장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즉, 가족확장성이 높을수록 부모에 비해 사법부/정치인에 대한 더 높은 신뢰 기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불신 또한 높았다. 또한 연구 2에서는 가족확장성을 활성화시켰을 때 신뢰의 기준이 높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한국사회가 저신뢰 사회라는 전제 하에 그 원인을 밝히려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저신뢰 사회라는 인식이 형성되는 이유와 그 속에서 가족확장성이라는 문화심리적 요인이 가지는 의미와 역할을 규명하여 한국 사회의 신뢰 현상의 심층적 의미를 논하였다.

keywords
trust, distrust society, family expansionism, trust standard, 신뢰, 저신뢰 사회, 가족확장성, 정치 신뢰, 사법부 신뢰, 부모 신뢰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nature of low levels of trust in Korean society and the role of family expansionism, a cultural psychological factor, in this phenomenon.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Koreans’ distrust toward social system is, at least partially, due to high standards for trust, which might be closely related to Koreans’ cultural characteristic of family expansionism. In Study 1, the relations between levels of family expansionism, trust standards, and actual levels of trust for parents, judiciary, and politicians were examined among 540 Korean adults. In Study 2, we manipulated levels of family expansionism to examine its effect on trust standards. Results showed that trust standards were higher for politicians than parents. Participants’ trust standards for politics were unrealistically high, especially on the responsibility factor. Actual levels of trust for judiciary and politicians were low when the trust standards for these targets relative to trust standards for parents were high. Moreover, the trust standards and levels of trust for judiciary and politicians (relative to those for par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levels of family expansionism. In other words, higher levels of family expansionism were linked to higher trust standards and levels of distrust for judiciary and politicians. In addition, Study 2 results showed that trust standards became high when family expansionism was induced.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ed on causes of low levels of trust while assuming that Korean society itself is a low trust society,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underlying mechanism behind the seemingly low trust in Korean society.

keywords
trust, distrust society, family expansionism, trust standard, 신뢰, 저신뢰 사회, 가족확장성, 정치 신뢰, 사법부 신뢰, 부모 신뢰

참고문헌

1.

김명언, 이영석 (2000). 한국기업조직에서 부하가 상사에 대해 갖는 신뢰와 불신의 기반.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3), 99-120.

2.

김재신 (2011). 일반화된 타자, 정부,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공공갈등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1-16.

3.

박영신, 김의철 (2005).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1), 21-55.

4.

박진영, 최혜원, 서은국 (2012). 물질주의와 인간관계 경시의 심리적 원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1), 23-36.

5.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 (2014). 한국종합사회조사. http://kgss.skku.edu/?page_id=39에서 2016. 11. 27 자료 얻음.

6.

손정락 (2005). 신뢰와 건강.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특집호, 85-95.

7.

심경섭, 이누미야 요시유키, 윤상연, 서신화, 장양, 한성열 (2012). 유교가치관 척도 개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465- 491.

8.

유길한 (2008). 우리나라 학교교육조직의 상호의존성, 갈등, 신뢰, 교육의 질 구조에 대한 모델 개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6(2), 105-132.

9.

윤영진, 김의철, 박영신 (2003). 청소년과 부모세대의 정치효능감, 신뢰의식과 정치참여행동 차이분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69-170.

10.

이나경, 이영애 (2005). 방폐장 입지에 관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7(4), 461-475.

11.

이상미, 김의철, 박영신 (2006). 청소년의 부모, 교사, 친구에 대한 신뢰와 불신: 토착심리학적 접근. 아동교육, 15(4), 297-312.

12.

이장주, 최상진 (2003). 부자유친성정척도의 제작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7(3), 87-104.

13.

이전희, 문형구, 김경민 (2011). 군 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4), 739-758.

14.

정태연 (2010). 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 대한 역사․문화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3), 53-76.

15.

조긍호 (2007). 동아시아 집단주의와 유학 사상: 그 관련성의 심리학적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21-54.

16.

조기숙, 박혜윤 (2004). 신뢰의 측정: 실험과 설문조사의 차이. 한국정치학회보, 38(2), 95-116.

17.

최상진, 김의철, 김기범 (2003). 한국사회에서의 대인관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으로서의 마음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2), 1-17.

18.

최순화 (2013). 브랜드 신뢰 구성요인과 충성행동 유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4(1), 47-67.

19.

최영재 (2006). 언론의 편향성과 신뢰 분열: 황우석 논문 조작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신뢰연구, 16(1), 21-47.

20.

탁진국, 손동성 (2012). 서번트 리더십이 종업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2), 373-395.

21.

한덕웅 (2001). 한국의 유교문화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비판적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449-479.

22.

한성열 (2005). 한국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및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163-174.

23.

Barber, B. (1983). The Logic and Limits of Trust.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 Press.

24.

Benavides, P., Lee C. R., Kim, S. H., Adeclas, J., & Hur, T. K. (2016). Korean Family Expansionism: A Cross-Cultural Comparison. Unpublished manuscript.

25.

Brown, L. D., & Ashman, D. (1996). Participation, social capital, and intersectoral problem solving: African and Asian cases. World Development, 24(9), 1467-1479.

26.

Chanley, V. A. (2002). Trust in government in the aftermath of 9/11: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Political Psychology, 23(3), 469- 483.

27.

Cook, K. S., Yamagishi, T., Cheshire, C., Cooper, R., Matsuda, M., & Mashima, R. (2005). Trust building via risk taking: A cross-societal experiment.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8(2), 121-142.

28.

Heine, S. J., Lehman, D. R., Peng, K., & Greenholtz, J. (2002). What's wrong with cross-cultural comparisons of subjective Likert scales? The reference-group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6), 903-918.

29.

Hetherington, M. J. (1999). The effect of political trust on the presidential vote, 1968-96.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3(2), 311-326.

30.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2010-2014). World Values Surveys. http://www.worldvaluessurvey.org에서 2016. 11. 27 자료 얻음.

31.

Kim, U. (2003). Science, religion, philosophy, and culture: Psychological analysis of western, islamic, and east asian world views. Kim, U., & Aasen, H. S. (2003). Democracy, human rights, and Islam in modern Iran: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Bergen: Fagbokforlaget.

32.

Kramer, R. M. (1999). Trust and distrust in organizations: Emerging perspectives, enduring ques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0(1), 569-598.

33.

Kuwabara, K., Willer, R., Macy, M. W., Mashima, R., Terai, S., & Yamagishi, T. (2007). Culture, identity, and structure in social exchange: A web-based trust experi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ocial Psychology Quarterly, 70(4), 461-479.

34.

Lewis, J. D., & Weigert, A. (1985). Trust as a social reality. Social Forces, 63(4), 967-985.

35.

OECD (2011). How's life?: Measuring Well-being 2011. http://www.oecd-ilibrary.org/economics/how-s-life_9789264121164-en에서 2016. 11. 23 자료 얻음.

36.

OECD (2013). Government at a Glance 2013. http://www.oecd-ilibrary.org/governance/government-at-a-glance-2015_gov_glance-2015-en에서 2016. 11. 25 자료 얻음.

37.

OECD (2015). Government at a Glance 2015. http://www.oecd-ilibrary.org/governance/government-at-a-glance-2015_gov_glance-2015-en에서 2016. 11. 25 자료 얻음.

38.

Luhmann, N. (1988). Familiarity, confidence, trust: problems and alternatives. In Trust: Making and Breaking Cooperative Relations, ed. D Gambetta, p. 94-108. Cambridge, MA: Oxford Univ. Press.

39.

Peng, K., Nisbett, R. E., & Wong, N. Y. (1997). Validity problems comparing values across cultures and possible solutions. Psychological Methods, 2(4), 329-344.

40.

Putnam, R. D.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The American Prospect, 4(13), 35-42.

41.

Robinson, S. L. (1996). Trust and breach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1(4), 574-599.

42.

Rotter, J. B. (1980). Interpersonal trust, trustworthiness, and gullibility. American Psychologist, 35(1), 1-7.

43.

Steidel, A. G. L., & Contreras, J. M. (2003). A new familism scale for use with Latino population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25(3), 312-330.

44.

Whitener, E. M., Brodt, S. E., Korsgaard, M. A., & Werner, J. M. (1998). Managers as initiators of trust: An exchange relationship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anagerial trustworthy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513-530.

45.

Yamagishi, T., & Yamagishi, M. (1994). Trust and commit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Motivation and Emotion, 18(2), 129-166.

46.

Yuki, M., Maddux, W. W., Brewer, M. B., & Takemura, K. (2005).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relationship-and group-based trus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1(1), 48-62.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