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조손가족과 공동양육 조부모의양육에 관한 질적 연구 내용 비교분석: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Experience of Grandchild Rearing between Grandfamily and Custodial Grandparents in Korean Journal since 2000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8, v.24 no.3, pp.491-518
https://doi.org/10.20406/kjcs.2018.8.24.3.491
이영애 (숙명여자대학교)
방은령 (한서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조손가족과 공동양육가족 조부모의 손자녀양육 관련 질적 연구 논문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 43편(조손가족 19편, 공동양육가족 24편)을 대상으로 기초사항(연도별 동향), 연구방법, 연구대상 특성, 연구내용의 범주에 대해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논문수는 조손가족의 경우 감소, 공동양육가족의 경우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에서는 두 유형의 가족 모두 면접방법과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대상 특성에서 두 유형의 가족 모두 연구참여자 수는 6-10명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그 외 인구학적변인, 양육환경, 물리적 환경에서는 모두 큰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연구내용 범주에서는 두 유형의 가족의 조부모들이 느끼는 양육의 의미, 긍정적 요소, 갈등요소, 갈등 해결방법 모두에서 공통점도 나타났지만 그 구체적인 심리적 경험에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부모양육지원에 대한 실제적인 제안과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keywords
grandfamily, custodial grandparents, grandparents, parental experience, qualitative study, 조손가족, 공동양육가족, 조부모, 양육경험, 질적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on the grandparents’ parenting experiences of grandchildren between those with primary responsibility and those with partial responsibility in Korean Journals since 2000.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of 43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19 grandfamilies, 24 custodial grandparents), with respect to their objectives, basic annual trends, methodology, subject, category of conten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nual number of articles of grandfamilies are on an decreasing trend, while those of custodial grandparents are on an increasing trend. Secondly, the phenomenology and interview are frequently used in research of the two types of family. Thirdly, 6~10 participants were the most frequent number of participation in all of the family. However, demographics, caring circumstances, physical circumstan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wo types of family. Fourthly, caring categories of contents(the meaning, positive factor, conflict factor and resolution of conflicts) were also similar, while these were significant diffent in specific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all of the fami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comparative study, suggestions for pratical services and implication for future study were proposed.

keywords
grandfamily, custodial grandparents, grandparents, parental experience, qualitative study, 조손가족, 공동양육가족, 조부모, 양육경험, 질적연구

참고문헌

1.

권경인, 양정연 (2013).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2000년~2012년). 상담학연구, 14(6), 3871-3893.

2.

김계원, 정종진, 권희영, 이윤주, 김춘경 (2011). 상담심리학의 최근 연구 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521-542.

3.

김미영, 윤혜미 (2015). 저소득 조손가족 조모와 손자녀의 가족관계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50, 145-177.

4.

김봉환, 배주연, 오효정, 윤영선, 제갈원 (2012). 상담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2002년~2011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729-752.

5.

김원경, 전제아 (2010).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조손 관련 연구 동향: 1991년부터 2010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653-671.

6.

김유미, 김명희, 정여주 (2008).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사회복지연구, 38(3), 123-163.

7.

김은정, 정순돌 (2011). 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1, 175-203.

8.

김지연, 황여정, 이준일, 방은령, 강현철 (2013). 청소년한부모가족종합대책연구 2.- 청소년 한부모 유형 및 생활주기별 대응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9.

김혜선 (2005). 농촌과 도시 지역 손자녀를 전담 양육하는 저소득층 조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8, 341-378.

10.

박승민 (2012).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상담학연구, 13(2), 953-977.

11.

박화옥, 김민정 (2014). 대리양육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의 학교생활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양육태도와 외현화 문제행동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40(3), 149- 167.

12.

백혜정, 김지연, 김혜영, 방은령 (2012). 청소년한부모 종합대책 연구 1.-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보건복지부,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2016). 2016 가정위탁보호 현황 보고서.

14.

서홍란, 김양호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경험과 사회서비스 욕구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267 -296.

15.

여성가족부 (2007). 조손가족의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연구. 여성가족부.

16.

이미영 (2008). 조손가정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4, 327 -353.

17.

이지연, 김원경, 정경미 (2009).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2), 441-458.

18.

이지연, 정경미, 김원경 (2008). 중산층 양육조모와 비양육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3), 325-341.

19.

장휘숙 (2008). 가족심리학(2판). 서울: 박영사.

20.

장휘숙 (2012).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서울: 박영사.

21.

조윤주 (2012). 손자녀 양육 참여 노인의 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의 생성감과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2(2), 267-294.

22.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2009). 2009년 아이돌보미 양성교육 교재. 보건복지가족부.

23.

최혜경 (2002).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3), 207-222.

24.

최혜순, 남효순 (2011).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모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3), 123- 149.

25.

통계청 (2013). 한국의 사회지표. 서울: 통계청(http://kostat.go.kr)

26.

통계청 (2018). 한국의 사회지표. 서울: 통계청(http://kostat.go.kr)

27.

한국여성복지연구회 (2005). 가족복지론. 서울: 청목출판사.

28.

황미진, 정혜정 (2014). 조손가족 조모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을 기초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4), 1-22.

29.

Backhouse, J., & Graham, A. (2012).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Negotiating the complexities of role-identity conflict. Child & Family Social Work, 17, 306-315.

30.

Baker, L. A., & Silverstein, M. (2008). Depressive symptoms among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multipul roles. Journal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6(3), 285-304.

31.

Balukonis, J., Melkus, G. D., & Chyun, D. (2008). Grandparenthood status and health outcomes in midlife African American women with type 2 diabetes. Ethnicity & Disease, 18, 141-146.

32.

Bowers, B. F., & & Myers, B. J. (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 of parent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33.

Brian, S. T. (2000).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school performance of children bring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Ph.D. Dissertation. Arizona University.

34.

Chen, X., & Silverstein, M. (2000).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parents in China. Research on Aging, 22(1), 43-65.

35.

Cox, C. (2009). Custodial grandparents: Policies affecting care. Journal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7, 177-190.

36.

Creswell, J. W. (2012).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7년 출판)

37.

Dowdell, E. B. (2004). Grandmother caregivers and caregiver burden.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9, 299-304.

38.

Fuller-Thomson, E., Minkler, M., & Driver, D. (1997). A profile of grandparents raising grad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The Gerontologist, 37(3), 406-411.

39.

Giorgi, A. (1970). Psychology as a human science: Aphenomenologically based approach. New York: Harper & Row.

40.

Green, R. (2004). The evolution of kinship carepolicy and practice. The Future of Children, 14(1), 130-149.

41.

Jarvick, L., Eisdorfer, C., & Bloom, J. (1973). Intellectual functioning in adults. New York: Springer.

42.

Jendrek, M. P. (1994).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Circumstances and decisions. The Gerontologist, 34, 206-216.

43.

Katona, C. L. E., & Shankar, K. K. (2004). Depression in old age.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14, 283-306.

44.

Kornhaber, A., & Woodward, K. (1981). Grandparents/grandchildren. Garden City. NY: Anchor Press.

45.

Minkler, M., & Roe, K. M., & Robertson-Beckley, R. J. (1994). Raising grandchildren from crack-cocaine households: Effects on family and friendship ties of African-American women.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4(1), 20-29

46.

Morettia, F., van Vlietb, L., Bensingb, J., Deleddaa, G., Mazzia, M., Rimondinia, M... et al. (2011). A standardized approach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focus group discussions from different countri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2(3), 420-428.

47.

Mueller, M. M., Wilhelm, B., & Elder, G. H. (2002). Variations in grandparenting. Research on Aging, 24(3), 360-388.

48.

Musil, C. M., & Ahmad, M. (2002). Health of grandmothers: A comparison by caregiver statu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4(1), 96-121.

49.

Sands, R. G., & 신혜종 (2008). 강점관점에서 본 조손가족 아동의 경험.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1), 157-172.

50.

Seltzer, M. M. (1976). Suggestions for the examination of time-disordered relationships. In F. J. Gubrium (Ed.), Time. roles and self in old age (pp.111-125). New York: Human Sciences Press.

51.

Shlemo, S. B., Ari, O. T., Findler, L., Sivan, E., & Dolizki, M. (2010). Becoming a grandmother: Maternal grandmother’s mental health, perceived costs, and personal growth. Social Work Research, 34(1), 45-57.

52.

Solomon, J. C., & Marx, J. (1995). To grandmother's house we go: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raised solely by grandparents. The Gerontologist, 35(3), 386-394.

53.

Stern, P. (198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ts uses and processes.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2, 20-23.

54.

U. S. Bureau of the Census. (2000). The population profile of the United States: 2000 (Internet Release). Retrieved June 1, 2013, from http://www.census.gov/population/www/pop-profile/profile2000.html

55.

Winefield, H. & Air, T. (2010). Grandparenting: diversity in grandparent experiences and needs for health care and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8, 277-283.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