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한국에서의 미국 CASA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미국과 한국의 아동보호서비스 비교를 중심으로

S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US CASA Program in Korea -Focusing on comparison of child protection service between USA and Korea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8, v.24 no.3, pp.473-489
https://doi.org/10.20406/kjcs.2018.8.24.3.473
박성혜 (강북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장)

초록

최근 한국 사회는 연일 쏟아져 나오는 아동방임 및 학대 사건으로 충격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학대를 경험한 피해아동은 정서적, 정신적, 신체적 외상으로 불완전한 아동보호체계 아래 또 다른 사회문제의 중심에 서있을 수밖에 없는 현실 속에 있다. 이러한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미국에서는 CASA(Court Appointed Special Advocates: 법원임명특별옹호자)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 CASA 프로그램의 효과는 수많은 연구를 통해 학대아동을 위한 질높은 옹호 가능성이 증가하였고, 그들을 위한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으며, 아동복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한국에서도 2014년 아동학대 범죄 등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제정(이하 ‘아동학대처벌법’)으로, 학대아동이 공적체계 보호로 들어온 것은 사실이나, 이들의 안정적인 보호를 위한 지속적인 정서적 지원은 미흡한 현실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에서도 아동학대에 대한 공적체계의 개입이 증가하고 있고, 또한 아동학대 재발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국가의 개입 강화와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사회의 이러한 변화들은 미국의 CASA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한국 사회에 국가적인 사업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것을 통해 아동학대 피해아동의 안전과 권리가 보호받을 수 있는 체계와 학대 피해아동이 방치되어 더 큰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CASA, child protection, child abuse, foster care, CASA(법원임명특별옹호자), 아동보호, 아동학대, 가정위탁

Abstract

Our society has an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to respect and protect the character of the child. Recently, however, Korean society has been suffering from child abuse and abuse that is pouring out every day. In order to protect these children, the child protection system and the judicial system should be fundamentally child-friendly. The CASA(Court Appointed Special Advocates) volunteer program, which is being held in the United States with such a concern, is a continuing program of court attendance and emotional support services for abused children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In Korea, however, there are many similar programs such as mentoring projects, dream co-supporters project similar to the CASA program in various organizations of the region and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increases the involvement of the public system in child abuse. There is also an increased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strengthened government intervention through active monitoring to prevent recurrence of child abuse. These changes in the Korean society should be actively reviewed by the US CASA program and settled as a national project in the Korean society so that the system of protecting the safety and rights of the victims of child abuse will be established. It is anticipated to be a way to prevent social problems from occurring in advance.

keywords
CASA, child protection, child abuse, foster care, CASA(법원임명특별옹호자), 아동보호, 아동학대, 가정위탁

참고문헌

1.

강란혜 외 (2004). 아동학대 전문상담. 시그마프레스.

2.

김경래 (2014). 미국의 아동친화적 사업체계 사례-법원임명특별옹호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대한민국 아동의 권리를 말하다, 91-115.

3.

김서현, 임혜림, 정익중 (2014).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 한국청소년연구, 25(4), 5-33.

4.

김수정, 정익중 (2013) 아동학대가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 효과와 최신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3, 1-28.

5.

김은정 (2016). 아동학대 현황과 예방정책. 보건복지포럼, 31-43.

6.

김평화, 윤혜미 (2013). 아동학대가 아동의 정서결핍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41, 217-239.

7.

김필두 (2016). 외국 지방자치단체의 아동학대방지대책.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웹사이트 http://www.krila.re.kr에서 2016년11월7일 인출.

8.

김형모, 이숙진, 서해정, 최은정, 김은정, 문순희 (2007). 가정폭력 노출이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8(1), 통권 45, 53-77.

9.

류이근, 임인택, 임지선, 최현준, 하어영 (2016). 아동학대에 관한 뒤늦은 기록: 별이 된 아이들 263명, 그 이름을 부르다. 시대의 창.

10.

박순조 (2012). 아동이 경험한 학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생 각본을 매개변인으로. 교류분석상담연구, 2(2), 1-21.

11.

보건복지부 (2015. 7. 31). 보도자료.

12.

보건복지부 (2017). 2016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13.

보건복지부 (2017). 2016 가정위탁보호 현황보고서.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14.

브릿지경제신문 (2016. 3. 21). 보도자료.

15.

안동현 (2014). 체벌: 훈육인가 폭력/학대인가. 2014 훈육과 아동학대, 그 경계를 말하다. 국제아동권리포럼, 41-51.

16.

안지연, 손영은, 남석인 (2014).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2), 261-284.

17.

원혜욱 (2015). 아동학대의 개념 및 실효적인 대책에 관한 검토. 인하대학교 법학연구, 18(4), 31-60.

18.

유연수 (2016). 학대 아동 보호를 위한 미국의 사회 감시망. NYPI 청소년 해외동향리포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웹사이트 http:// www.nypi.re.kr에서 2016년11월7일 인출.

19.

이은주 (2014). 아동학대의 현황과 쟁점. 복지동향. 192, 16-21.

20.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es(2013). Child welfare ourcome 2006-2011. Retrieved from http://www.acf.hhs.gov/sites/default/files/cb/ cwo08_11.pdf.

21.

Bolger, K. E., & Patterson, C. J. (2001). Developmental Pathways from Child Maltreatment to Peer Rejection. Child Development, 72(2), 549-568.

22.

Caliber Associates (2004). National CASA Association Evaluation Project. Caliber Associates; Fairfax, Virginia.

23.

Calkins, C., & Millar, M. (1999). The Effectiveness of Court Appointed Special Advocates to Assist in Permanency Planning.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16 (1), 37-45.

24.

Connell, C. M., Katz, K. H., Saunders, L., & Tebes, J. K. (2006). Leaving foster care-the influence of child and case characteristics on foster care exit rate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8, 780-798.

25.

Farineau, H. M., & McWey, L. 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delinquency of adolescents in foster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 963-968.

26.

Gauthier, Y., Fortin, G., & Jéliu, G. (2004). Clinical application of attachment theory in permanency planning for children in foster care: The importance of continuity of care.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5, 379-396.

27.

James, S., Monn, A. R., Palinkas, L. A., & Leslie, L. K. (2008). Maintaining sibling relationships for children in foster and adoptive placem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0, 90-106.

28.

Jonson-Reid, M., & Barth, R. P. (2000). From placement to prison: The path to adolescent incarceration from child welfare supervised foster or group car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2, 493-516.

29.

Lawson, J., & Berrick, J. D. (2013). Establishing CASA as an evidence-based practice. Journal of Evidence-Based Social Work, 10, 321-337.

30.

Litzelfelner, P. (2000). The effectiveness of CASAs in achieving positive outcomes for children. Child Welfare, 79, 179-193.

31.

Litzelfelner, P. (2008). Consumer satisfaction with CASAs (Court Appointed Special Advocate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0, pp. 173-186.

32.

Litzelfelner, P., & Petr, C. G. (1997). Case advocacy in child welfare. Social Work, 42, 392-402.

33.

National CASA Association (2014). Annual Report. Retrievd November 7, 2016, from www.casaforchildren.org.

34.

Pilkay, S. & Lee. S. (2015). Effects of Court-Appointe Special Advocate Intervention on Permanency Outcomes of Children in Foster Care.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41, 445-453.

35.

Piraino, M. S. (1999). Lay representation of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Variations of court appointed special advocate programs and their relationship to quality advocacy. Journal of the Center for Children and the Courts, 1, 63-71.

36.

Poertner, J., & Press, A. (1990). Who best represents the interests of the child in court? Child Welfare, 69, 537-549.

37.

Rubin, D. M., Alessandrini, E. A., Feudtner, C., Mandell, D. S., Localio, A. R., & Hadley, T. (2004). Placement stability and mental health costs for children in foster care. Pediatrics, 113, 1336-1341.

38.

Siegel, G. C., Halemba, G. J., Gunn, R. D., Zawacki, S., Bozynski, M., & Black, M. S. (2001). Arizona CASA Effectiveness Study. Pittsburgh, PA: National Center for Juvenile Justice.

39.

Waxman, H. C., Houston, W. R., Profilet, S. M., & Sanchez, B. (2009). The long-term effects of the Houston Child Advocates, Inc., program on children and family outcomes. Child Welfare, 88, 25-48.

40.

Weisz, V., & Thai, N. (2003). The Court-Appointed Special Advocate (CASA) Program: Bringing information to child abuse & neglect cases. Child Maltreatment, 8, 204-210.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