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적 공정세상신념, 삶의 의미 발견, 자기통제력, 공격성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27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개인적 공정세상신념은 성별과 무관하게 공격성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개인적 공정세상신념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단순매개 효과는 남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개인적 공정세상신념이 삶의 의미와 자기통제력을 거쳐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는 여성에게서만 유의하였다. 즉, 여성의 높은 개인적 공정세상신념이 삶의 의미 발견을 예측하며, 이것이 자기통제력과 연합되면서 공격성 저하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격성을 완화할 수 있는 구체적 기제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개입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sonal belief in a just world, presence of meaning in life, self-control, and aggression in college students. For this research, self-reported data from 427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by gende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dicated that personal belief in a just world predicted aggression regardless of gend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was non-significant among both women and men groups. The mediating effect of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nd self-control was significant among only women. It means that personal belief in a just world predicted presence of meaning in life and self-control, which consequently contributed to aggression among women. It is noteworthy that this study examined the concrete mechanism to reduce aggression by gender.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