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그릿-열정 마인드셋 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 집단별 심리특성 및 진로적응성 차이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Grit and Passion Mindset : Variation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areer Adaptabil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1, v.27 no.2, pp.167-189
https://doi.org/10.20406/kjcs.2021.5.27.2.167
진예민 (이화여자대학교)
김다혜 (이화여자대학교)
양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그릿(노력과 흥미)과 열정 마인드셋(고정 vs. 성장)에 따라 잠재집단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에 따라 우울, 불안, 행복과 같은 심리적 특성과 진로 준비를 위한 적응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에서 만 25세까지의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시행한 결과, 총 4개의 프로파일 그룹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잠재 집단으로, 그릿과 열정성장 마인드셋이 모두 높은 ‘성장적 성취형(LP1, 22.2%),’모든 기준에서 평균 수준인 ‘평균형(LP2, 63.8%),’ 그릿이 낮고 열정고정 마인드셋이 높은 ‘고정적 제한형(LP3, 8.8%),’ 그리고 그릿은 낮았으나 열정성장 마인드셋은 높았던‘성장적 표류형(LP4, 5.1%)’이 있었다. 집단별 심리적 특성 및 진로적응성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장적 성취형’집단이 가장 적응적인 수준을 보였고, ‘고정적 제한형’집단이 이와 가장 큰 대조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는 그릿이, 진로적응성에서는 열정성장 마인드셋이 보다 적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개인의 종합적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진로 준비를 위한 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으로 열정 마인드셋과 그릿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keywords
열정 마인드셋, 그릿(Grit), 잠재프로파일분석, 우울, 불안, 행복, 진로적응성, passion mindset, grit, latent profile anlysis, depression, anxiety, Happiness, career adaptabil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university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according to grit(effort vs. interest) and passion mindset(fix vs. growth), and to identify if there ar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between the profiles. To this end, we used Latent Profile Analysis(LPA) for university students age 18 between 25.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determined 4 distinct profiles are most appropriate classification. The profile1(LP1, 22.2%) had high levels of grit and passion growth mindset. The profile2(LP2, 63.8%) showed average levels in both grit and passion mindset. The profile3(LP3, 8.8%) had a low level of grit and a high level of passion fixed mindset. At last, the profile4(LP4, 5.1%) showed a low level of grit and a high level of passion growth mindset. As the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areer adaptability, the profile1 was most adaptive contrasting to the profile 3. Those findings suggest grit has more effect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ssion growth mindset in career adaptabilit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e passion growth mindset and grit need to be considered together as an intervention to enhance the individual’s comprehensiv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adaptation for career adaptation.

keywords
열정 마인드셋, 그릿(Grit), 잠재프로파일분석, 우울, 불안, 행복, 진로적응성, passion mindset, grit, latent profile anlysis, depression, anxiety, Happiness, career adaptabilit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