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통일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ttitude toward Unification of Korea (ATU-K)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1, v.27 no.3, pp.259-284
https://doi.org/10.20406/kjcs.2021.8.27.3.259
최훈석 (성균관대학교)
박주화 (통일연구원)
권영미 (성균관대학교)
이하연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민들의 남북 통일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태도의 구조 및 태도와 행동의 관계에 관한 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통일 태도의 하위 차원인 인지와 정서 차원을 규정하고,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을 기준으로 인구비례할당표집을 이용하여 총 3,0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1(N = 1,500)의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일태도 척도(ATU-K)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통일관련 태도와 개념적으로 수렴하였고, 진보-보수 정치성향 및 한민족정체성과는 변별됨을 확인하였다. 조사 2(N = 1,500)에서는 통일을 지향하는 개인행동과 집단행동 의도를 준거변수로 설정하여 ATU-K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ATU-K는 통일지향 행동의도를 예측함에 있어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통일관련 태도점수보다 예측력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한국에서 통일과 관련된 학술 및 실용연구에 적용하는 방안과 장래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keywords
통일, 통일에 대한 태도, 통일지향 행동의도, 통일연구, 통일정책, Unification of Korea, Attitude toward Unification of Korea, Unification-oriented behavioral intention, Unification study, Unification policy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a psychological scale that measures individuals’ attitude toward unification of Korea (ATU-K). Building on major theoretical perspectives on the structure of attitude and the attitude-behavior link, we specified two sub-components each representing the cognitive and the affective dimension of people’s attitude toward unification. In a survey that involved a stratified sample of Korean adults (N = 1,500), we found strong evidence show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TU-K. We also found evidence for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scale. In a second survey involving a stratified sample of 1,500 Korean adults, we found the utility of ATU-K in predicting people’s intention to engage in unification-oriented behavior. We also found that ATU-K fares better in predicting the intention vis-a-vis the other measures of unification-related beliefs reported in previous research. We discuss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통일, 통일에 대한 태도, 통일지향 행동의도, 통일연구, 통일정책, Unification of Korea, Attitude toward Unification of Korea, Unification-oriented behavioral intention, Unification study, Unification polic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