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심리적 적응과 연쇄적 변화의 구조 모형

A Structural Framework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equential Cha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1, v.27 no.4, pp.351-389
https://doi.org/10.20406/kjcs.2021.11.27.4.351
서현숙 (대구대학교)
고동우 (대구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에 처한 사람들이 심리적 수준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결과적으로 어떤 심리적 변화를 겪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구조적 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팬데믹 경험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잠정적인 분석의 틀을 설정한 후, 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방향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 성인 6명으로부터 인터뷰 자료를 구하였고, 근거이론의 절차를 부분적으로 차용한 내용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해석하고 정리하였다. 최종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심리적 적응과 변화 과정의 패러다임 구조 모형을 확장, 도출하였다. 이 패러다임 구조 틀은 ‘원인적 조건 ⇨ 중심 현상 ⇨ 연쇄적 결과’로 이어지는 심리학적 인과 과정을 중심으로 하고, 개인의 심리적 특성 범주를 ‘중개 조건’으로 추가한 패러다임 형태로 묘사되었다. 팬데믹 위기와 사회적 거리두기 및 결정적 사건 등이 ‘원인적 조건’ 범주에 해당되고, ‘중심 현상’ 범주는 긍정/부정/복합적 심리 경험을 포함하고, ‘연쇄적 결과’ 범주에는 가치관/행동양식 변화 등이 분류되었다. 중개조건 중 ‘맥락조건’으로서 직장과 가족관계 특성이 확인되었고, ‘조절적 중개 조건’으로서 공동체책임의식, 여가능력 및 긍정심리자본 등 다양한 심리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고,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OVID-19 pandemic, Structural framework, Paradigm structure,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equential changes under pandemic,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study, 코로나19 팬데믹, 심리적 적응과 연쇄적 변화, 패러다임 구조 모형, 내용분석, 질적 연구

Abstract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develop a structural framework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equential changes being perceived by Korean people under the COVID-19 Pandemic past year. Setting a tentative analysis frame induced from antecedent literatures about psychological phenomen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6 Korean adults by semi 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For the data, content analysis applied from the grounded theory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initial framework was extended and revised to describe the psychological phenomena under the pandemic. This paradigm structure includes the process of ‘causal factors ⇒ psychological main phenomena ⇒ sequential results’ being intervened by personal contextual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moderators. The category of causal factors were the COVID-19 pandemic, relevant critical incidents, and social distancing policy. The main phenomena reflected either positive, negative, or complicated experiences. The sequential psychological results included transformation of cognitive system or behavior patterns. Various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psychological capability for leisur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out as moderating factors. In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oretical/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direction to study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keywords
COVID-19 pandemic, Structural framework, Paradigm structure,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equential changes under pandemic,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study, 코로나19 팬데믹, 심리적 적응과 연쇄적 변화, 패러다임 구조 모형, 내용분석,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