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남녀의 가해동기와 폭력 정당화가데이트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PIM)의 적용

The effect of male and female motivation and justification for violence on perpetrators of dating violence: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1, v.27 no.4, pp.391-410
https://doi.org/10.20406/kjcs.2021.11.27.4.391
이숙정 (전주대학교 카운슬링센터)
권호인 (전주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남녀의 가해동기가 데이트 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폭력 정당화의 매개효과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포함하여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3개월 이상 교제 중인 만 19세 이상 성인 미혼 남녀커플 총 135쌍으로, 커플 각자에게 가해동기, 폭력 정당화, 데이트 폭력에 대한 자기보고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사용하여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남녀의 가해동기는 자신의 데이트 폭력 가해에 유의한 직접 효과를 보였으며, 여성의 가해동기는 남성의 폭력 가해에 대한 유의한 파트너 효과도 보였다. 또한 남성의 가해동기는 자신의 폭력 정당화를 매개로 자신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파트너의 데이트 폭력 가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여성의 폭력 정당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남녀의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있어서 가해동기와 폭력 정당화의 경로에 성차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가해동기, 폭력 정당화, 데이트 폭력 가해, APIM, Motivation, Justification of violence, Dating Violence, AP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violence justification, including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in the process where the offense motive affects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5 unmarried male and female couples aged 19 and over who were dating for more than 3 months, and each couple was subjected to a self-report scale on motives, justification of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Based on these paraphras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h model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Men and women’s motivations showed a direct effect on their dating violence, while women’s motivations showed a significant partner effect on men’s violence. The male’s motivation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is dating violence and partner’s abuse of dating violence as a mediator for justification of his violence.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of justifying violence in women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between the motives for violence and the paths for justifying violence in the sex violence of men and wome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가해동기, 폭력 정당화, 데이트 폭력 가해, APIM, Motivation, Justification of violence, Dating Violence, APIM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