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 성인의 사랑유형 잠재집단 및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Latent Classes and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Love Types of Korean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1, v.27 no.4, pp.561-584
https://doi.org/10.20406/kjcs.2021.11.27.4.561
하문선 (공주교육대학교)
송연주 (동의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성인 60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랑유형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별 우울 수준의 차이 및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주는 변인(성차, 연령, 결혼여부, 신경증, 불안애착, 정서조절)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잠재집단분석(LCA)을 실시한 결과, 한국 성인의 사랑유형의 잠재집단은 친밀감, 열정, 책임감의 세 요인 모두에 대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는 L-H(7.7%)집단, 세 요인 모두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L-MH(33.6%)집단, 세 요인 모두 평균 수준을 나타내는 L-M(39.8%)집단, 세 요인 모두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는 L-ML(14.6%)집단, 세 요인 모두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는 L-L(4.3%)집단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 성인의 사랑유형 각 잠재집단에 따라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ANOVA 검증 결과, L-MH집단이 L-ML집단에 비해 심리적으로 보다 건강하고 적응적인 집단으로 나타났다. 다항로지스틱 분석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L-M, L-ML 및 L-L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미혼은 기혼에 비해 L-M, L-ML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불안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L-H, L-MH집단보다 L-M, L-ML, L-L집단에, L-M집단보다 L-ML와 L-L집단에, L-ML집단보다 L-L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나, 연령과 신경증, 정서조절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사랑유형에 대한 다양한 하위 잠재집단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여 집단별 특성에 따른 차별적 개입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keywords
사랑, 사랑유형, 잠재집단분석, 성인, love, love type, latent class analysis, adult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601 Korean adults into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ir love types and identify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find variables that affect the latent classes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latent class analysis, the latent group for love types of Korean ad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L-H (7.7%) group, which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ll three factors of intimacy, passion, and commitment, and the L-MH (33.6%) group, which all three factor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the L-M (39.8%) group with the mean of all three factors, the L-ML (14.6%) group with all three factors lower than the mean, and the L-L (4.3%) group with the lowest all three factors. Also, as a result of ANOVA, the L-MH group was psychologically healthier and more adaptive than the L-ML group.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femal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L-M, L-ML and L-L groups than males. In addition, singl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M and L-ML groups than those who were married. Also, the higher the anxiety attachment level,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L-M, L-ML, and L-L groups than the L-H and L-MH groups, the L-ML and L-L groups than the L-M groups, and the L-L group rather than the L-ML groups. However, age, neuroticism, and emotional regulation did no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various latent classes for the love types of Korean adults more three-dimensionally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l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keywords
사랑, 사랑유형, 잠재집단분석, 성인, love, love type, latent class analysis, adul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