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영유아기 자녀가 있는 아버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관계: 아버지 우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on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The Mediating Effect of Paternal Dep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2, v.28 no.1, pp.23-41
https://doi.org/10.20406/kjcs.2022.2.28.1.23
이슬기 (이화여자대학교)
유성경 (이화여자대학교)
방지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가 있는 아버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관계에서 아버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7세 이하 자녀가 있는 기혼 남성 36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일수록 아버지의 우울이 증가하였고, 어머니 문닫기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으며, 어머니 문열기에 대한 인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 문닫기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고, 어머니 문열기에 대한 인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스트래핑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아버지의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의 관계를 아버지의 우울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공동양육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아버지, 전통적인 성역할태도, 우울, 어머니 문지기 역할, fathers,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depression, maternal gatekeeping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aternal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the perceived maternal gatekeeping role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366 married fathers who raises at least one child who is under seven years old. Mplus 7.0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sult showed that higher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relate to more depressive symptoms, higher perceptions of maternal gate closing and lower perceptions of maternal gate opening. Also, more depressive symptoms were related to higher perceptions of maternal gate closing and lower perceptions of maternal gate opening. Additionally, the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maternal gate keeping.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keywords
아버지, 전통적인 성역할태도, 우울, 어머니 문지기 역할, fathers,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depression, maternal gatekeeping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