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의 샤덴프로이데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인식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adenfreude and Cyberbullying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2, v.28 no.4, pp.597-625
https://doi.org/10.20406/kjcs.2022.11.28.4.597
조명현 (고려대학교)
안도연 (한신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불행을 보고 즐거워하는 정서인 샤덴프로이데가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예측하며, 이를 내적, 대인관계적, 환경적 자기인식이 조절할 것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샤덴프로이데,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자기인식(내적, 대인관계적, 환경적), 우울, 불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통제변인으로 우울과 불안을 투입한 후 분석한그 결과, 첫째, 샤덴프로이데는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예측하여, 샤덴프로이데 경향이 높은 사람들이 온라인상에서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적 자기인식과 대인관계적 자기인식이 평균 이상인 경우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절효과를 보인 반면, 평균 미만인 경우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환경적 자기인식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불행을 기대하는정서이자 반사회적 특성이 잠재할 가능성이 있는 샤덴프로이데 경향이 청소년들의 실제적인 사이버불링가해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일정 수준 이상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알아차리는 것과 대인관계 상에서 자신의 모습을 파악하는 것이 두 변인의 관계를 강화시킨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본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에 대한 논의가 함께 이루어졌다.

keywords
샤덴프로이데,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자기인식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ypothesis that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environmental self-awareness would allev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Schadenfreude and cyberbullying. 3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swered survey questionnaires including sSchadenfreude, cyberbullying behavior,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environmental) self-awareness,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controlling depression and anxiety, theThe results reveal that first, Schadenfreude predicts cyberbullying behavior, so those who have a high level of Schadenfreude commit more online cyberbullying behavior. Second,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self-awareness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chadenfreude and cyberbullying, and those who were above average on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self-awareness were more liable to commit cyberbullying, but those below average did not show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Third, whereas environmental self-awareness did not show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Specifically, those who know well what they think and do and what they look lik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petrate more cyberbullying when their schadenfreude was high. However, knowing well about what was happening around them was not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schadenfreude that lead to cyberbul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chadenfreude, which deals with emotions on expecting the misfortune of others and the possibility of having antisocial characteristics, lead to actual cyberbullying behaviors of adolescents.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at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self-awareness are harmful in causing cyberbullying in those with high Schadenfreude. Finally,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Schadenfreude, Cyberbullying, Self-Awarene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7-27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9-2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