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6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가치와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에서 연령과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500명에게 문화보편적 가치(변화에 대한 개방성, 자기고양, 보수주의, 자기초월), 문화특수적 가치(집단주의, 규범에 대한 동조, 정서적 자기통제, 성취를 통한 가족의 인정, 겸손),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 그리고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을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 본 결과, 자기고양, 정서적 자기통제, 자기초월은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변화에 대한 개방성, 자기고양, 규범에 대한 동조, 정서적 자기통제, 성별은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자기고양과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를 연령이 조절하였다. 자기고양이 높고 연령이 낮은 경우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현저하게 높아졌다. 셋째, 규범에 대한 동조와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를 연령과 성별이 조절하였다. 규범에 대한 동조가 높고 연령이 낮은 남성의 경우 고-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현저하게 높아졌다. 넷째, 집단주의와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를 성별이 조절하였다. 집단주의가 높아질수록 남성은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여성은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겸손과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를 성별이 조절하였다. 겸손이 높은 여성의 경우 저-맥락 의사소통 방식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본 연구 결과의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Korean adults. Five hundred adult men and women across the country responded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cultural universal values (openness to change, self-enhancement, conservatism, and self-transcendence), cultural-specific values (collectivism, conformity to norms, emotional self-control, family recognition through achievement, and humility),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and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style, self-enhancement, emotional self-control, and self-transcend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Whereas openness to change, self-enhancement, conformity to norms, emotional self-control, and gender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Second, ag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hancement and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The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level of self-enhancement was high and the age was younger. Third, age and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norms and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In the case of males with high conformity to norms and younger age, the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significantly increased. Fourth,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sm and low-context communication. As collectivism increased, men tended to increase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s, while women tended to decrease it. Fifth,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ility and low-context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women with high humility, their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was significantly lower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