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코로나 대유행 시기 지각된 스트레스가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의 종단매개효과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ieved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3, v.29 no.2, pp.223-252
https://doi.org/10.20406/kjcs.2023.5.29.2.223
이다미 (성균관대학교)
이덕희 (성균관대학교)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대유행 시기에 지각된 스트레스가 심리적 디스트레스(부정정서, 우울, 불안, 분노)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전략의 종단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코로나 대유행 상황에서 각 연령별로 대처전략의 사용에 차이가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8개월의 간격을 두고 두 번에 걸쳐 수집된 성인 941명의 두 시점 종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 스트레스(시점1)는 심리적 디스트레스(시점2) 중 우울을 제외한 부정정서, 불안, 분노에 종단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단매개효과 분석결과, 대처전략 중 부적응적 대처전략만(시점2)이 코로나 스트레스(시점1)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시점2)의 관계에서 종단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다집단 분석결과, 대처전략의 사용에 있어서 연령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 대유행 상황에서 일반 성인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종단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코로나 대유행시기,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전략, 심리적 디스트레스, 종단매개효과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coping strategies(emotion-focused, problem-focused, and maladap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sychological distress(negative affect,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 Also, This study sought to find gen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coping strategies u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participants were 941 adult aged between twenties and seventies. The fina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on two separated longitudinal time points, Time 1 and Time 2. The result were as follows: Only Maladaptive coping strategy(Time 2)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Time 1) and psychological distress(Time 2). . The result of the generation-based multi-group analysis did not yiel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coping strategie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longitudinally examined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keywords
COVID-19 pandemic, perceived stress, psychological distress, coping strategies, longditudinal mediation effect, longditudinal Study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12-13
수정일Revised Date
2022-12-2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05-0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