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61
비판적 의식 척도(CCS: Critical Consciousness Scale)는 Diemer와 동료들(2017)이 개발한 척도로서 억압받거나 소외된 사람들이 자신의 사회적 정치적 조건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사회적 평등을 지지하며 인지된 불평등을 변화시키는 행동의 정도를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 번안한 비판적 의식 척도를 현지화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였다. 심리학 관련 석사 및 박사 5명에게 번안 문항의 적합성을 평정하도록 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전국 대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비판적 의식 척도, 기회불평등인식 척도, 환경 변화 필요 인식 척도, 사회 참여 척도, 공정한 세상에 대한 신념 척도를 설문조사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여 3개의 하위 요인을 확정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원안의 22개 문항 중 14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요인분석을 마친 14개 문항의 구인타당도와 신뢰도는 양호하였다. 또한 비판적 의식 척도와 유사 척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비판적 의식은 유사 척도와 상관관계가 명확히 나타났다. 비판적 의식은 기회불평등인식 척도, 환경 변화 필요 인식 척도, 사회참여 척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공정한 세상에 대한 신념 척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비판적 의식 척도는 타당도가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를 논하였다.
The Critical Consciousness Scale (CCS) is a scale developed by Diemer and colleagues (2017) that can measure the capacity of the oppressed or marginalized people to critically analyze their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support societal equality, and take action to change the perceived inequities. In this study, we validated the CCS for Korea by adapting and localizing the scale and validating it among university students.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having five individuals with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in psychology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translated items. Afterward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314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using the CCS, along with the opportunity inequality recognition scal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environmental change scale, social participation scale, and belief in a just world scale. To verify the scale’s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confirming three subfactors.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where 14 items out of the original 22 were retained.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se 14 items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Additionall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CS and similar scales, a significant clear relationship was found. The CC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ales such as opportunity inequality recognition, need for environmental change recogni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elief in a just world scale. Based on these results, the CCS can be considered valid and reliabl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