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만 2세 이하 자녀를 둔 취업모의 육아지원 서비스 이용 과정

The Process of Utilizing Childcare Support Services for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under Age 2 in South Korea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4, v.30 no.3, pp.267-298
https://doi.org/10.20406/kjcs.2024.8.30.3.267
김은지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한주연 (남서울대학교 교양대학교)
도승이 (무소속)
최은수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박준하 (교토대학교 교육학연구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육아지원 서비스는 여성의 원만한 사회 진출과 커리어 발전, 웰빙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본 논문은 국내 만 2세 이하 자녀를 둔 취업모 10명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근거이론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육아지원 서비스 이용 과정과 심리적 경험, 일-가정 양립 계획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육아지원 서비스 이용 전 결정 과정, 육아지원 서비스 이용 중 경험, 향후 일-가정 양립 계획 범주가 도출되었다. 서비스 이용 전 결정 과정은 육아지원 서비스 정보 탐색, 선택 시 가족과의 대화, 서비스 제안과 결정의 주체, 육아지원 서비스 최종 결정의 범주로 이루어졌다. 서비스 이용 중 경험은 경제적 부담, 산후 경력에 변화, 일-가정 양립에서 기대와 실제의 차이, 삶의 질 영향 요인, 남편과의 가사 및 육아 분담이 도출되었다. 향후 일-가정 양립 계획에서는 커리어 발전 희망, 커리어 유지 희망, 커리어 일시 중단 및 축소 희망, 향후 커리어에 대한 생각이 미정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일-가정 양립 계획에 따라 서비스 이용 과정과 경험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과 웰빙을 위한 다차원적 지원과 여성의 향후 커리어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취업모, 육아지원, 영유아 자녀, 일-가정 양립, 삶의 만족도

Abstract

Childcare support for working mothers is crucial for women’s smooth transition into society, career development, and well-being. Based on interviews with 10 Korean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aged 0-2,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utilizing childcare support services,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plans for work-life balance using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three categories: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fore using the childcare services (past), experiences during the use of childcare support (present), and future plans for work-life balance (future).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fore using childcare support services consisted of the following categories: seeking information about childcare support services, having family discussions dur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proposer and decision-maker of the services, and the final decision on childcare support services. Experiences during the use of services included economic burdens, changes in postnatal career paths, disparities between expectations and the reality of pre- and post-childbirth, discrepancies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y in work-family balance, factors affecting of quality of lif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and childcare responsibilities with husbands. Plans for future work-life balance included categories such as the desire for career advancement, the desire to maintain a career, the desire for temporary or reduced career commitment, and uncertainty regarding future career plans. Finally,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st and present service usage processes and experiences based on plans for future work-life balance.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ed for multidimensional support for working mothers’ work-family balance and well-being, and highlights the need to reduce uncertainty about women’s future careers.

keywords
working mothers, childcare support, infants, work-life balance, life satisfac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2-06
수정일Revised Date
2024-04-0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5-22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