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부부의 외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갈등대처방식의 상호의존 매개효과: APIMeM 적용

Interdependenc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Sty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4, v.30 no.3, pp.299-319
https://doi.org/10.20406/kjcs.2024.8.30.3.299
고수연 (중앙대학교)
박정윤 (중앙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부부의 성격요인인 외현적 자기애 특성과 상호관계적인 요인인 갈등대처방식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전문기관을 통해 부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부 337쌍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을 사용하여 AMOS 28.0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모형분석과 개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과 아내의 외현적 자기애는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남편의 외현적 자기애는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남편과 아내의 외현적 자기애는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갈등대처방식의 간접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남편의 외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아내의 부적응적인 갈등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쳐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편의 외현적 자기애와 아내의 갈등대처방식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외현적 자기애 특성과 성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개입을 통해 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의 효과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keywords
외현적 자기애, 갈등대처방식, 결혼만족도, 상호의존 매개모형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ctor-effects and partner-effects of overt narcissism as a personality factor and conflict resolution styles as an interpersonal factor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couples. Data were collected from 337 couples through a survey conducted by a research institut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individual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 in the AMOS 2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husbands' and wives' extraversion showed direct self-effects on their own marital satisfaction. Additionally, husbands' overt narcissism demonstrated a direct partner-effect 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Second, overt narcissism in both husbands and wives showed indirect self-effects through conflict resolution styles on marital satisfaction. Higher levels of husbands' overt narcissism influenced wives' mal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yles, which in turn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for both husbands and wiv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usbands' overt narcissism and wives' conflict resolution styles as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It suggests that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considering overt narcissism traits and gender-specific characteristics could potentially enhance marital satisfaction for couples.

keywords
Overt Narcissism, Conflict Resolution Style, Marital Satisfaction, APIMeM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6-17
수정일Revised Date
2024-07-2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8-07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