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61
한국은 계층, 성별, 세대, 정치이념, 종교 등 다양한 이슈에 있어 높은 사회적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다양한 사회갈등의 현황과 유형을 파악하거나, 사회갈등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관리 방향을 거시적 관점에서 모색하는 정치, 행정, 사회학 분야의 연구는 적지 않지만, 개인들의 의사소통과정에서 사회갈등이 증폭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심리학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은 한국의 사회갈등을 언어적 의사소통 관점에서 고찰하면서, 어떤 언어가 사회갈등을 조장하는지 그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Beukeboom과 Burgers(2019)가 제안한 사회범주 및 고정관념 의사소통 모형(Social Category and Stereotypes Communication Framework)을 소개하고, 이 모형을 통해 의사소통 과정에 사용되는 언어적 명칭과 서술 편향이 어떻게 사회범주에 대한 고정관념을 형성하고 강화할 수 있는지 그 심리적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모형을 한국 상황에 적용하여, 한국의 성별, 세대, 이념/정치적 갈등을 조장하는 몇 가지 언어적 명칭과 서술 편향을 살펴보면서 그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수롭지 않게 사용하는 언어의 미묘한 차이가 사회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앞으로 실증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명칭과 서술 편향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Korea is experiencing significant social conflicts across various issues, including class, gender, generation, political ideology, and religion. While there are numerous studies in the fields of politics, administration, and sociology that aim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and types of social conflicts or explore management strategies from a macro perspective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se conflicts, there is a lack of psychological research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social conflicts intensifying during individual communication process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social conflicts in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verbal communication, with the goal of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behind language that triggers social conflicts. To achieve this, the Social Category and Stereotypes Communication Framework proposed by Beukeboom and Burgers (2019) is addressed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are explored through which linguistic labels and descriptive biases used in communication can form and reinforce stereotypes related to social categories. The framework is then applied to the South Korean context, analyzing several linguistic labels and descriptive biases that fuel conflicts related to gender, generation, and ideology/politics in the country. Finally, this article asserts that subtle differences in carelessly used language can amplify social conflicts, emphasizing the need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to scientif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linguistic labels and descriptive biases used in South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