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내면화된 수치심이 초기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Early Adult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4, v.30 no.4, pp.593-611
https://doi.org/10.20406/kjcs.2024.11.30.4.593
이성택 (건양대학교)
손영미 (건양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초기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유능성, 자기수용,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전국 만 18세∼39세 성인 남녀 2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7.0과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수용을 덜 하는 경향이 있으며, 낮은 자기수용은 낮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로 이어져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 유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수용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early adulthood. To achieve this,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using scales measuring internalized shame, interpersonal competence, self-accepta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Data were collected from 235 men and women aged 18 to 39 across South Korea.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and PROCESS Macro 4.2.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method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accept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perceived social support also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er levels of internalized shame are associated with lower self-acceptance, which in turn leads to reduced perceived social support, negatively impacting interpersonal competence.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internalized shame, interpersonal competence,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acceptance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10-03
수정일Revised Date
2024-11-0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11-2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