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61
본 연구에서는 사회비교경향성이 자기은폐에 미치는 영향을 두 하위요인인 능력비교경향성과 의견비교경향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은폐 사이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성별에 따라 살펴보았다. 20-50대 남녀 160명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우선 남성의 경우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은폐 간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은폐 사이에 정서표현 양가성을 투입한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였는데, 즉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을수록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았고,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을수록 자기은폐 경향이 높았다. 여성은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은폐 간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더불어,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은폐 간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는데, 즉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을수록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강하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강할수록 자기은폐 경향이 높았다. 한편, 사회비교경향성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능력비교경향성과 자기은폐 사이에서 남녀 모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self-concealment using two subscales (ability and opinion) and examine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concealment by gender. Based on the data from 80 males and 80 females in their 20~50s, the double mediation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the relationship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concealment were not significant for men. But,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concealment. The double mediation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concealment were significant for women. In additi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concealment. Highe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predicte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predicted self-concealment. For both men and women, the double mediation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ability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concealment were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