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청소년 비행과 성취행동: 가정환경, 귀인양식, 건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among Attributional Style, Home Environment, Health, and Delinquency: Comparative Analysis of Incarcerated Adolesc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1998, v.4 no.1, pp.29-53
박영신(Young-Shin Park)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김의철(Uichol Kim)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이 연구에서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비행과, 동시에 청소년 행동의 긍정적 측면으로서 성취행동이,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귀인양식 및 건강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표집대상은 소년원에 수감되어 있는 비행청소년(N=143)과 중 고등학생(N=189)이었다. 분석결과, 가정환경은 청소년의 비행이나 성취행동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학생보다 비행청소년의 부모들은 자녀의 성취에 대한 관심을 갖고 격려하는 정도가 낮았으며, 사회경제적지위도 낮았다. 또한 비행청소년은 부모의 통제가 많을 때 학업성취도가 높은 반면 학생은 부모의 통제가 적을 때 학업성취도가 높으므로써,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 개인의 특성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비행이나 성취와 같은 행동적 특징들은 개인의 귀인양식과도 관련이 있었다. 즉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내적통제신념이 높고 운명귀인은 낮으며, 비행청소년일수록 외족통제신념이 높고 외집단영향귀인은 낮았다. 비행여부와 건강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생은 비행청소년과 동일한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고 생활만족도 수준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성취행동과 건강의 관계는, 학업성취수준이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많고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attributional style, health (assessed by life-satisfaction, stress), academic grade, and home environment (assessed by perceived parental control,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with a sample of adolescents incarcerated in detention centers (n=143) and high school students (n=189). The following pattern of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hen compared to the incarcerated adolescents,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academic grade.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perceived parental control of the high achievers was lower when compared to the low achievers, but the exact opposite was found for the incarcerated adolescents. Third, in terms of attributional styl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hen compared to the low achievers, the high achievers were more likely to score higher on internal attribution and lower on fate attribution. Fourth, the incarcerated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score higher on external attribution and lower on outgroup influence when compared to the high school students. Fifth, for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incarcerated adolescents. Sixth, the high achievers had higher life-satisfaction and lower stress scores when compared to the low achievers in both sample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