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한국사회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특성에 대한 발달심리학적 탐색

Developmental explo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Korean societ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0, v.6 no.특집, pp.41-65
방희정(Hee-jeong Bang) (경기대학교 사회과학부)

초록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의 부모자녀관계에서 관찰되는 특징적 현상들을 비교문화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선행 발달연구들에서 제안된 양육행동의 주요 차원 및 그 효과를 종합적으로 개관했다. 이를 토대로 분석된 한국 가정의 부모자녀관계의 특성을 요약하면 '엄부자모'이다. 한국 가정에서의 일반적인 양육태도는 서구 모형의 권위적 태도와 권위주의적 태도의 혼합 형태에 가깝다. 특히 토착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에서의 부모자녀관계의 특징적 현상은 효의 원리, 부자유친 성정, 부모자녀 동일체감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가정이 상당부분 유교적 전통을 따르고 있으며, 급변하는 포스트모던적 시대 상황 속에서도 부모자녀관계는 비교적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1) to review the diverse suggestions about parenting behaviors based on the developmental approach over the past few years, (2) to explicate the characteristics of a parent-child reationship in Korean family through the cross-cultural perspectives, and (3) to discuss the observable changing patterns of a parent-child relationship in postmodern society. According to the written records the characteristic of a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family was still summarized 'Om bu-Ja mo'. It means strict father, benevolent mother. Devotion to child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both father and mother in Korean society. Korean mother shows her devotion to child through indulgence. In a father-child relationship, devotion is complemented with strictness. The general pattern of parenting in Korean family is similiar with the mixed type of authoritative & authoriatiran attitude. Interestingly core concept sustain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have not changed significantly, although social change has radically altered the social ecology in Korea in recent years. This paper concluded The traditional features and mechanisms of a parent-child relationship such as filial piety, parent-child attachment, parent-child oneness still remain strong and influence pervasively over the generations in Korean famil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