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인의 성취의식과 귀인양식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분석

Indigenous analysis of achievement and attributional style: A Korean perspectiv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0, v.6 no.특집, pp.67-98
박영신(Young-Shin Park)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성취의식과 귀인양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독특한 심리 행동적 특성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 토착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분석한 한국인의 성취의식 및 귀인양식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였다. 이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1) 한국인의 토착심리, 2) 한국인의 성공의식, 실패의식, 미래성취의식, 3) 한국인의 귀인양식 개념구조와 발달로 요약된다. 첫째, 한국인의 토착심리에서는, 토착심리학의 개념과 의의, 한국에서의 토착심리학적 연구, 한국인의 토착심리에 대한 이해를 위한 이 연구에서의 접근방식을 간략히 설명하였다. 둘째, 한국인의 성취의식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한국인은 노력이나 의지 인내와 같은 자기조절을 성취의 핵심적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뿐만 아니라 성인도 학업성취에 대한 강한 열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사회적 지원이 자녀의 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한국인의 성취행통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사회적 지원 중에서도 정서적 지원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또한 행복한 가정생활에 대한 열망과 같은 가족중심의 가치지향이 강하였으며, 성취를 위해 인간관계를 성공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한국인들은 인식하였다. 셋째, 귀인양식의 개념구조와 발달에 대한 분석 결과, 학생과 성인 모두 현저한 노력귀인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노력과 능력이 서양의 귀인이론에서 분류하는 것처럼 내부귀인으로서 동질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기 보다는, 현저하게 다른 구조적 특성을 지닌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즉 노력은 자기조절과 관련되는 요인에, 능력은 운명과 같이 통제가 불가능한 요인에 포함되었다. 또한 의미있는 타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는데, 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자기조절적이며 내적인 속성을 지닌 노력귀인을 많이 하는 동시에, 외부귀인의 속성을 지닌 타인귀인의 정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한국인의 성취의식과 귀인양식은 서양의 이론 틀과 연구방법 만으로 충분히 설명될 수 없고, 한국인 고유의 심리적이고 행동적인 특성을 내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examine Koreans' conception of achievement and attributional style and their behavioral correlates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es approach. This article reviews the following three areas: (1) indigenous Korean psychology, (2) Korean conception of success, failure, and future aspirations, and (3) developmental trend in attributional style. In the first section, theoretical rationale and research methodology of the indigenous Korean psychology will be outlined. Secondly,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ies of achievement indicate that both students and adults attribute their success to self-regulation (e.g., effort, persistence, and diligence). For students, parental support, especially emotional support, were reported as being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their succ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s play to an important contributing role in their children success. Maintaining a harmonious family relationship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important future aspiration mentioned by students and especially by adulcs. For attributional style, both students and adults scored high on effort attribution. In Korea, effort was correlated to internal self-regulation factor, while ability was correlated to external uncontrollable factor (such as fare and luck). Individuals who had high achievement levels were more likely to score higher effort and we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ir parent and teachers. Existing Western theories have difficulties explaining the pattern of results obtained in Korea and the indigenous Korean psychology can more accurately describe and explain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of achievement and attributional styl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