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이제껏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운전수행 분야에 있어서의 운전적성을 탐색하여 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기존의 운전정밀검사에 대한 타당화 연구를 통해 운전적성의 능력요인을 찾아보았고 이어 설문연구를 통하여 운전관련 성격특성들을 부가적으로 탐색하였다. 운전적성을 가려내기 위한 준거행동 자료로는 연구 1에서 교통사고 기록을, 연구 2에서는 운전행동 측정치들을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여러 가지 적성요인들과 준거 측정치들 사이의 정준 상관분석, 그리고 사고자, 무사고자들을 가려내기 위한 판별분석, 이와 함께 수행된 단계적 회귀분석은 안전운전을 예측하는 데에 있어서 운전경력이나 교육연한 등의 인구학적인 변인들보다는 능력요인들(연구 1)이, 나아가 이들 능력요인들보다는 성격적인 특성(연구 2)이 더 유용하다는 사실들을 보여 주었다. 능력요인들 중에서는 속도추정검사의 평균반응시간, 지각속도 검사, 운동능력 검사 등이 운전행동을 잘 예측하여 주는 유용한 지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요인들 중에서는 정신증과 충동성, 그리고 분노 요인이 상당히 큰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방식으로 측정된 능력요인은 교통사고를 예측하여 줌에 있어, 표본의 크기가 상당히 컸던데 비해 설명량이 지나치게 적었으며, 운전관련 성격요인의 경우 설명력은 더 우수하였으나 자기보고식 질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Present research is an attempt to theorize driving aptitude on which have not been studied much. Even though the original purpose of driving test battery was to screen examinees only based on ability indices, this study aimed to add functions to provide diagnostic indices on driving related aptitude as well a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looked into driving aptitude composed of ability components based on the present commercial driving test battery. The second part explore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necessary for safe driving. The criterion measures included in these sections of this study were accident records in study 1 and data on driving behavior in study 2. A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driving aptitudes and criterion measures, a discriminant analysis to distinguish accident oriented driver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e relatively more effectivenes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o predict drivers' future driving behavior compared to ability components as well as demographic variables. Among ability components, speed calculation test, perceptual speed test, motor ability test were found to be useful to predict future accidents. Furthermore, psychoticism, impulsivity, and anger scales were found effective to explain driving behaviors. However, this research had several limitations. The first one was an excessively small explanatory power in study 1 in spite of a huge sample size. The second one was the primary findings of study 2 came from self-reported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