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학교폭력과 인간관계 및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 폭력가해, 폭력피해, 폭력무경험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Psychological, behaviori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 Comparative analysis of victims, bullies, non - participants of aggress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1, v.7 no.1, pp.63-89
박영신(Young Shin Park)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김의철(Ui Chol Kim)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경험과 심리-행동의 형성에 대한 개념모형을 기초로, 학교폭력행동과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폭력가해, 폭력피해, 폭력무경험 집단의 인간관계와 심리 행동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각 집단 내에서 폭력가해행동 폭력피해경험 및 학업성취가 청소년의 인간관계 및 심리 행동특성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인간관계란 부모자녀관계(애정, 적대), 교사학생관계(애정, 적대), 친구관계(애정, 따돌림)를, 심리특성으로는 도덕적 이탈과 자기효능감(폭력대처, 자기조절학습, 어려움극복)을, 행동특성으로는 학교폭력행동(폭력가해행동, 폭력피해경험), 일탈행동, 학교에서의 처벌경험을 의미한다. 표집대상은 총 854명(초, 221; 중, 205; 인문고, 213; 실업고, 212; 무응답, 3)이었다. 연구자가 제작한 측정도구에 기초하여, 폭력행동 집단을 폭력가해집단(239명, 28.0%) 폭력피해집단(191명 22.4%), 폭력무경험집단(415명, 48.6%)으로 분류하였다. 폭력행동별, 학교수준별, 성별 인간관계와 심리 행동특성의 차이를 삼원변량분석한 결과, 폭력행동 집단별로 인간관계와 심리 행동특성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폭력가해집단과 폭력피해집단은 폭력무경험집단보다 부모나 교사와의 관계가 적대적이었으며, 친구관계에서도 따돌림을 받았다. 특히 폭력가해집단은 폭력피해집단이나 폭력무경험집단보다 심리적으로 도덕적 이탈이 심하였으며, 일탈행동도 많이 하였다. 학교폭력행동과 관련변인의 상관을 검토한 결과, 폭력가해행동과 폭력피해경험은 일탈행동, 도덕적 이탈, 교사와 적대적 관계, 친구의 따돌림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victims, bullies, and non-participants of aggression.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e author outlines a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chool violence and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854 students, who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primary school N=221, junior high school N=205, preparatory high school N=213, vocational high school N=212, no response N=3). The questionnaire included Relationship with Parents (Rohner's Warmth and Hostility scale), Relationship with Teachers (Rohner's Warmth and Hostility scale),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Warmth and Exclusion scal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by Self-Efficacy and Moral Disengagement scales developed by Albert Bandura. For behavioral measures, experience as a victim or perpetrator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f punishment, delinquent behavior, and academic grade were obtained. Background information that included sex, socio-economic status, and friend's grade were obtained. Within the sample, a total of 239 students were identified as bullies, 191 as victims, and 415 were identified as non-participants of school viol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ullies perceived their parents and teacher to be more hostile and friends to be more exclusionary whe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y also scored higher on moral disengagement and delinquent behavior.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engagement in school viol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linquent behavior, moral disengagement, perceived hostility from teachers, and perceived exclusion from friend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11-20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