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에너지 절약행동을 위한 선행요인들의 효과모델 검증

An examination of a model for energy consumption behavior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1, v.7 no.1, pp.37-62
오세진(Shezeen Oah)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양병화(Byung Hwa Yang)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현보성(Bo Seong Hyeon)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김형수(Hyeong Soo Kim)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에너지 절약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의 효과를 검증하고 합리적인 행동모델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에너지 절약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기초로 경로모델을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이론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ㆍ경기지역의 아파트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36명을 타당한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을 통해 14개의 에너지 행동관련 구성개념을 측정하였으며, 각 개념간의 관계성을 경로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에너지절약 행동모델은 기본모델에서 최종모델로 수정되면서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GFI=.98, RMR=.04). 또한 각 변수들의 효과를 살펴보면, 환경에 대한 태도는 환경관련지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환경에 대한 염려는 직접적으로 행동의도와 실제에너지 절약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성격변수인 내적통제 및 개인적 책임감은 직ㆍ간접적으로 에너지 절약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한편, 이론적으로 가정된 행동의도와 실제행동의 관계성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에너지 절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들의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추후 이들 요인들에 대한 효과가 보다 다양한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향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nergy consumption behavior and its relevant variabl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existing theoretical model by collecting empirical data and identifying path model based on the data.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6 residents in apartment complexes who lived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in Korea. By administering a set of questionnaires, 14 constructs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behavior were measured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was acceptable but it was modified so that the model could have a better goodness of fit. As a result, the modified model was found to have a better goodness of fit(GFI=.98, RMR=.04). More specifically, 'environmental attitude' significantly predicted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nvironmental concern' had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actual consumption behavior' Especially,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sonal responsibility', as personality factors,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actual consump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behavioral intention' and 'actual consumption behavior' which was propo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was not demonstrated in this study. In sum,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nergy consumption behavior and its relevant variables were examined and the relationships demonstrated in this study should be a basis for the future studies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energy preservation.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12-23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