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의 민주주의, 리더십과 정치문화: 정치효능감과 신뢰를 중심으로

Democracy, leadership and political culture in Korea: With specific focus on political efficacy and trus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2, v.8 no.2, pp.137-170
김의철 (중앙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서양의 민주주의 발전과 관련된 내용들을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과 서양의 민주주의 발전을 이해하기 위한 문화적 틀을 제시하였다. 나아가서 한국에서 실시된 경험적 연구 결과를 소개하였다. 경험적 연구에서는 정치적 참여, 정치효능감, 신뢰, 리더십,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개념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전국에서 표본한 1,000명을 표집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사람들은 투표권, 참정권, 언론의 자유, 그리고 정부 비판에 대한 권리와 같은 자유 민주주의의 기본 이념에 동의하였다. 또한 화목한 가정생활, 원만한 사회적 관계, 그리고 정부의 복지 프로그램과 같은 집단주의 가치를 옹호하였다. 한국 사람들은 자신의 동료나 외집단 구성원보다는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친밀한 내집단 구성원을 신뢰하였고, 정치 집단이나 정부 기관을 거의 신뢰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 사람들은 정치 참여나 정치효능감의 수준이 낮았고, 정치적 소외의 정도가 높았다. 리더십에 대한 분석결과, 한국 사람들은 도덕적이고 강한 지도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들이 민주주의의 기본 이념을 존중하지만, 이를 실현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서양과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결과와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민주주의, 리더쉽, 정치문화, 정치효능감, 신뢰, Democracy, leadership, political culture, political efficacy, trust, Democracy, leadership, political culture, political efficacy, trust

Abstract

The present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the West and Korea. The first part of the paper provide a cultur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West and Korea.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an empirical study conducted in Korea will be presented.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ssess respondents' concep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efficacy, trust, leadership, and social relations and it has been administered to national stratified sample in Korea (n=1,000).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respondents support the basic ideas of liberal democracy, such as the right to vote, participate in political organization, freedom of speech, and criticize government. At the same time, Korean respondents supported collective values, such as harmonious family life, harmonious social relations, and governmental welfare programs. Although Koreans trusted close ingroup members, such as family members and friends, they were less likely to trust their colleagues and outgroup members and were not likely to trust political and governmental institutions. Moreover, Korean respondents showed a low degree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efficacy and a high degree of political alienation. As for leadership, Koreans preferred moral and strong leaders.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in Korea, although the basic ideals of democracy are valued,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se ideals is different from the West. Detailed analysis of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ill be presented.

keywords
민주주의, 리더쉽, 정치문화, 정치효능감, 신뢰, Democracy, leadership, political culture, political efficacy, trust, Democracy, leadership, political culture, political efficacy, trus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