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추체로 및 추체외로 운동유발전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yramidal and extrapyramidal motor evoked potential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9, v.11 no.1, pp.21-29
류재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조춘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이배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박용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정상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운동유발전위(motor evoked potential;MEP)는 척수 및 운동신경계의 기능에 대한 임상 및 진단, 그리고 척수손상 연구 모형에서와 같은 동물을 이용한 실험적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간에는 자극대상, 즉 뇌용적이 작고 추체외로가 상대적으로 잘 발달한 쥐와 같은 설치류에서는 자극방법이나 자극위치에 따라서 MEP의 발생과 형태가 상이하며, 추체로운동유발전위(pyramidal motor evoked potential;PMEP)와 추체외로운동유발전위(extrapyramidal motor evoked potential;EPMEP)가 혼입되어 포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새로운 전극을 사용해서 쥐의 대뇌피질을 자극하여 발생시킨 PMEP와 망상핵을 자극하여 발생시킨 EPMEP의 특성을 관찰기록하여, PMEP와 EPMEP의 특성을 비교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새로운 전극은 대뇌피질에 직경이 약 1.4mm인 원판을 접촉시켜서 이를 음전극으로 하고, 원판의 중심부에서 돌출된 0.2mm의 두께와 1.5mm 길이의 절연된 심을 양전극으로 이용할 수 있게 제작되었다. 그리고 PMEP와 EPMEP는 제6경수위와 제9흉수위에서 기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운 자극전극을 이용하여 대뇌피질을 자극함으로써 전류의 전파를 국소화시킨 결과 비교적 일관적인 PMEP를 포착할 수 있었으며, PMEP와 EPMEP의 파형이 상이함을 보여주었다.

keywords

Abstract

Motor evoked potentials(MEPs) have been used widely both experimentally and clinically to study the function of the motor nervous system. However, the origins and the waveforms of MEPs in small animals like rat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potentials evoked by intracortical microstimulation in carnivore like cats because of current sprea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MEPs also could be affected by recording techinques and methods of stimul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a specially designed electrode to stimulate localized cortical area. The pointed tip of a special stimulating electrode was inserted into the cerebral cortex perpendicular to the cortical surface so that the round area gently contacted with the cortical surfac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yramidal motor evoked potentials (PMEPs) and extrapyramidal motor evoked potentials (EPMEPs) evoked by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mortex cortex and the gigantocellular reticular nucleus. Using this technique, we could constantly obtain the PMEP and EPMEP.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PMEP and the EPMEP were different in their latencies and waveform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