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음정과 음계 및 화음에 대한 지각적 범주화

Perceptual categorization of musical intervals, scales and ch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6, v.8 no.2, pp.387-409
반세범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정찬섭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음악 초심자와 전공자를 대상으로 음정 확인에 대한 지각적 범주화 효과를 비교하고, 음계의 유형과 장단조 선법, 음계의 반음구조 및 화음구조가 선율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네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음정 확인에서 음악전공자는 12가지 음정을 범주화하여 음정 크기를 정확히 확인하지만, 비전공자는 큰 음정을 과소평가하고 작은 음정을 과대평가 하여 음정 범주가 5개 정도로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음계의 유형과 장단조 선법, 음계의 반음구조와 화음구조에 따른 선율지각에 있어서는 음악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조성 음계와 비조성 음계의 변별에 있어서는 음악전공자가 초심자보다 일관성 있고 민감한 반응경향을 보여주었다. 두집단 모두에서 선율의 음계유형의 변화에 따른 지각적 차이가 장단조 선법의 변화에 따른 차이보다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장단조 선법의 차이는 서양 칠음계에서보다 국악 오음계에서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음계의 유형은 주로 반음구조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선율의 유사성 지각에 영향을 주었는데, 서양 칠음계와 일본 오음계는 비슷한 유형으로 함께 범주화되지만, 국악 오음계는 일반적인 조성음계와 비조성음계 어느 쪽과도 유사하지 않은 독특한 조성을 지니는 경향이 있었다. 국악 오음계 선율에 화음을 조합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화음의 협화성에 따라 선율의 유사성 지각에 영향을 주었는데, 예외적으로 단3도 화음의 경우에는 장3도 화음보다 더 기준선율과 잘 어울린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는 조표거리(key distance) 효과가 반영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ual categorization between musicians and non-musicians for musical intervals, scales, modes and chords. In the interval identification, musicians were able to exactly identify twelve interval size of categorization, while non-musicians overestimated narrow intervals and underestimated wide intervals. As a result, twelve interval categories tended to be reduced to five or six. In the discrimination of various scale types, major-minor modes, semitones and chord structures, both groups did not show much differences. However, in the discrimination of tonal and atonal melody, the musicians showed more consistent and sensitive responses than non-musicians. Both group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melody changes with type of scales than with major-minor modes. The differences between major-minor mode was more significant with the western heptatonic scale than with the Korean pentatonic scale. Perception of melody similarity was influenced by differences in the semitone structure of each scale. As a consequence, the western heptatonic scale and the Japanese pentatonic scale was categorized as similar, but Korean pentatonic scale showed distinctive tonality since it was not classified into any general tonal or atonal scale. When the melody of the Korean pentatonic scale was added to the parallel chord, the perception of melody similarity was generally influenced by the consonancy of the chord. Exceptionally, the parallel chord of the minor third was found to be better suited to the baseline melody than that of the major third. This suggests the key distance effect was affected on the result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