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운전자의 속도통제와 정보처리에서의 인간요인: 운전자의 눈높이와 인지부하의 효과

Human Factors in Driver's Speed Control and Information Processing : Effect of Driver's Eye-Level and Cognitive Load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6, v.8 no.2, pp.345-366
이재식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운전자가 세단형 차량을 운전하거나 트럭을 운전하는 경우와 같이, 운전자의 눈높이가 지상으로부터 달라졌을때, 운전자의 속도 통제와 정보처리 양상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운전 시뮬레이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운전자의 눈높이와 도로의 복잡도를 달리하여, 운전자의 평균 운전속도, 자유 회상율, 그리고 주관적인 경과시간 추정치를 분석하였고, 실험 2에서는 운전자의 눈높이와 인지 부하 수준의 운전 속도 통제 및 정보처리 수행에 대한 효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운전자의 주의를 서로 다른 감각양식(청각 vs. 시각)과 과제의 복잡도(복잡 vs. 단순)에 따라 분산시켰을 때의 수행을 측정하였다. 두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요약하면, (1) 높은 눈높이 조건(6피트)의 피험자들은 낮은 눈높이 조건(4피트) 조건의 피험자들에 비해 더 빠른 운전 속도와, 더 나은 자유 회상율, 그리고 더 과소 추정된 주관적 경과 시간을 보고하는 경향을 보였고, (2) 또한 이전 연구들의 결과가 보인 대로, 도로의 복잡성은 운전자의 속도 조절 행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복잡한 도로 일수록 운전자는 단순한 도로에 비해 느린 속도로 운전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3) 운전자의 눈높이 효과의 크기는 여러 목표 속도들의 수준에 따라 일정하였으며, 운전자의 주의가 시각적으로 혹은 복잡한 과제에 의해 분산될 때가 청각적 혹은 단순한 과제에 의해 분산될 때보다, 더 느린 운전 속도와 저조한 정보처리 수행을 보였다. 인지적 부하의 수준이 운전 속도와 자유 회상율과는 부적 상관이, 반면 주관적 경과 시간의 추정과는 정적상관이 있다는 이전의 연구 결과들과, 본 연구에서 밝혀진 운전자 눈높이 효과, 즉 높은 눈높이에 의한 운전 속도와 자유 회상율의 증가, 그리고 주관적 경과 시간의 과소 추정 경향은 운전자의 눈높이의 변화가 지각적 속성의 변화이기는 하나, 지각적 수준을 넘어서 인지적 수준까지 영향을 준다는 것이 본 연구에서 시사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vers' eye-level from ground and cognitive load on their driving speed control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rough driving simulation. In Experiment 1, the effects of drivers' eye-level and road complexity on driving speed when no speedometer was available, free recall performance, and subjective elapsed time estimation were examined. In Experiment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rs' eye-level and cognitive load was investigated when their attention was systematically divided with regard to two different modalities of information processing (visual vs. auditory) and levels of task difficulty (complex vs. simple).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s showed that (1) the drivers who were test at a higher eye-level condition (6-feet) showed significant tendencies towards faster driving speed, greater free recall ability, and lower estimates of elapsed time than those who were tested at a lower eye-level condition (4-feet), and (2)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road complexity proved to be very important in controlling driving speed: the subjects drove significantly slower in the complex road condition than in the simple road condition. In particular, (3) the effect of drivers eye-level on driving speed was homogeneous at various levels of target driving speeds (35, 45, 55, and 65 mph), and the subjects showed slower driving speed and worse information processing performance when their attention was divided by visual or complex distracters than by auditory or simple distracter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field which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oad and driving speed or free recall performance, bu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oad and subjective time estimates, the drives' faster driving speed, greater free recall ability, and lower elapsed time estimates at a higher eye-level condition than those at a lower eye-level condition i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effect of driver's different levels of eye-height which is generally assumed to be a perceptual factor also can affect driver's cognitive factor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