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에서 타인의 규범 위반 행위에 대한 도덕적 평가에 수반된 화 관련 정서 표현의 형태는 ‘나쁜’, ‘못된’, ‘어떻게 그럴 수가’, ‘짐승만도 못한’, ‘기막힐 노릇’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평가적 정서 표현은 사람으로서 혹은 인간으로서 해야 할 도리를 다하지 못한 기준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정서 발현과 기준이 통합되어 도덕적 화를 불러일으키게 된다고 가정해 볼 수 있다.어떠한 사건이나 행위에 대한 평가, 특히 부정적 사건이나 위반 행위에 대한 평가는 도덕적 판단 준거에 의해 평가자 혹은 판단자의 내재된 준거에 의해 도덕적인지 혹은 비도덕적인지 판단되고, 이는 기능적으로 그러한 행위를 하거나 하지 말아야 한다는 심리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도덕적 정서(부끄러움, 화 등)는 판단을 촉발하고, 그 판단의 준거는 사회문화적인 가치나 태도 등 사회적 제도나 실천행위 속에 내재되어 있으며 심리적 기능을 가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먼저 사회규범을 위반하는 타인을 보고 비판하는데서 비롯되는 도덕적 정서인 화가 어떠한 상황에서 무슨 이유로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타인의 위반 행위가 어떠한 화 관련 정서를 유발시키는지, 그리고 그러한 화 관련 정서를 유발시키는 개인적, 대인관계적 맥락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은 두 차례의 FGI와 개별 면접을 실시하고자 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화 유발 상황을 두 가지 차원(대인관계 윤리와 자율성)으로 구분하여 각 상황에 따른 화 감정의 차이와 귀인 및 심리적 기능에서의 차이를 실험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Many researches have argued the most important dimension of perception or evaluation of person is morality and competence in Korean cultu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riteria of personhood.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iteria used to evaluate person by qualitative approach and the differences of evaluation of wrongdoer who violates interpersonal norm or individual autonomy by experimental method. In addition, anger as emotional response to wrongdoer is conceptualized in terms of moral and self-conscious emotion. Expression of anger is less an outpouring of emotion and more a culturally regulated and normative mode of managing and putting into practice our society's system of rights and obligations - its moral code. According to results of qualitative data by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most important criteria used to evaluate personhood was interpersonal concern, esp, expectation and norm. The results of experiment revealed that violation of interpersonal norm domain evoked angrier towards violator than autonomy domain. The subjects ascribed more blame and responsibility to interpersonal norm violator than autonomy keeper. Also function of behavior inhibition of anger was higher in interpersonal norm domain than autonomy domain.
(2002) 한국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죄책감을 중심으로,
(2004) 자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분석,
(2003)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감정의 관계 도덕적 self로서의 염치와 도덕적 감정으로서의 부끄러움 분석 ,
(2000) 토착심리학과 문화심리학의 과학적 토대,
(2004)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 청소년과 성인의 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 분석,
(1998)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0) 대인평가차원의 이원모형,
(2003)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나남출판
(2000)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0) 체면의 심리적 구조,
(2004) 한국사회에서의 사람 판단의 준거 된 사람과 난 사람의 평가를 중심으로 사회 및 성격,
(1999) On becoming a person.,
(2002) The person in social psychology, Psychology Press
(2002) Lured by the spirit to the ethical life,
(2002) The essence of women's moral perspectives in anger expression situations,
(2000) Emotion, regulation, and moral development. ,
(1993) or is it wrong to eat your do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1) implications for cognition,
(1997) Understanding the role of worldviews in morality,
(1993) Understanding oughts by assessing moral reasoning or moral emotions The MIT Press,
(1991) Thinking through Cultur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The future of psychology,
(1999) The CAD triad hypothesis: A mapping between three moral emotions (contempt, anger, disgust) and three moral codes(community, autonomy, divinity).,
(1991) Thinking through Cultur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The future of psychology,
(1995) Emotion. In R. Harre, & P. Stearns (Eds.) Discursive psychology in practice , Sage Publications
(1992) Shamed into anger?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anger and self-reported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constructive versus destructive responses to anger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8) The social being in social psychology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1983b) Domains and categories in social cogn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