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귀인 양식을 좀 더 정확하게 밝히기 위해 만화형 귀인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북한이탈주민 61명과 남한주민을 68명을 포함하여 총 129명이었다. 연구 결과, 양측 주민들 간의 귀인 양식 면에서 유사한 점과 상이한 점이 동시에 드러났다. 즉, 양측 주민이 여러 가지 시나리오 형태에 대해 대체로 내부 귀인을 많이 하였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북한이탈주민에 비해 남한주민이 내부 귀인 경향을 많이 보였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통제가능-통제불가능 귀인 차원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 하지만 안정-불안정 귀인 차원에서는 남한주민은 안정 귀인을, 북한이탈주민은 불안정 귀인을 주로 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그리고 이상의 차이는 다양한 속성의 시나리오에서 상당히 일관되게 나타났다. 또한, 시나리오의 주인공이 남한출신인가 북한출신인가에 따라서 양측 주민 간의 귀인 양식의 차이가 발생하였고, 개인의 검증된 능력과 속성에 대해서도 이주(migration)와 같이 상황이 달라지면 그 능력과 속성의 영향력이 낮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와 귀인 양식의 관련성이 남한주민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identify attribution styl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more accurately. For this purpose, cartoon-form method designed to measure attributions is used and total 129 subjects including comparison group of South Koreans a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nterestingly, the result showed that two groups had similar and different attribution styles at the same time. That is, there is a common aspect in using internal attributions more in general, but there is also a different aspect in that South Koreans used internal attribution much more. These tendencies emerged similarly at the controllable and uncontrollable attribution dimension. Howev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outh Koreans mainly used stable attribution 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used unstable attribution at the stable and unstable attribution dimension. And, the attributional styles of both koreans appeared consistently in a variety of scenarios. Finally, there was the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life satisfaction and attributional styles.
(1988) 귀인과정의 측정 방법 및 문제점,
(1999) 문화적 맥락에서 본 개별성-관계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2004) 탈북자 어떻게 살고 있는가,
(2001) 탈북주민의 가치정향에 대한 비교 연구,
(2003) 동서독의 이질감에 대한 성찰, 역사비평사
(2001) 북한이탈주민후원회,
(2004) 귀인훈련이 지체부자유아의 학습된 무력감과 통제소재에 미치는 효과,
(2004) 금강산 관광-우여곡절 끝에 작별상봉 열려,
(2003) 북한 응원단이 남한사회에 남기고 간 것,
(2001) 탈북자는 2등 국민인가?,
(2005) 수료 후 심리적 부적응 사례와 몇 가지 제언,
(2005) 통일 이후 동독지역 주민의 상대적 박탈감 포커스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2001) 독일통일의 경제사회적 충격과 영향 : 두 개의 독일, 삼성경제연구소
(1999) 남북한 통합의 사회문화적 접근: 의의, 현실 및 모색,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북한탈북자들의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2004)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남북한 문화이질성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을 중심으로,
(2003) 탈북자 면접조사 방법, 한울아카데미
(1987) 귀인이론의 비평적 고찰 및 개인-사회 수준으로의 확대 모형 제안,
(2002) 남북한 주민용 귀인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남한 대학생을 중심으로,
(2004) Belief in the controllability of weight and attributions to prejudice among heavyweight women,
(1999) Stereotypes and attribution processes in a multi-ethnic Italian province,
(1998) Situational salience and cultural differences in the correspondence bias and the actor-observer bias,
(1988) Structure of causes for success and failure A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of preference judge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78) An analysis of learned helplessness continuous changes in performance and achievement cognitions following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5) The correspondence bias,
(1958)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ley
An investigation of the link between attributional judgments and stereotype-based judgments,
(1967) The attribution of attitudes,
(2004) College Students' Attributions of Teacher Misbehaviors,
(2002) Palza as self-reflective mode and attributional dimension for Korean women's rugged life story,
(1991) Emotion and adap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Implications for cognition,
(1992) 변화과정의 성향변화 비용 정신적인 방향상실이 경제적 문제가 되는가 통일된 독일 통합과 체제전환,
(1994) Culture and cause:American and Chinese attributions for social and physical events,
(2002)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ocial inference: Evidence from behavioral predictions and lay theories of behavior,
(1984) Does the concept of the person vary cross-culturally? In R Easy on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신연방주에서 경제적 도양의 심리적 조건들 독일통합과 체제전환,
(2005) When looking back on my past life I regret,
(1986) An attributional theory of motivation and emotion, Sipringer
(1979) A theory of motivation for some classroom experience,
(1981) and the heuristics of attributional 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