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보행자 교통사고 조사자료 분석을 통해 고령보행자 사고가 가지는 특성을 알아보고, 증가추세에 있는 고령보행자 사망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보행자 사망사고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보행자가 피해를 입은 3,853건과 비교군 사고로 20세에서 44세 사이의 보행자 피해사건 1,786건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들 두 집단의 사고특성을 각 항목별 점유율로 비교한 결과, 고령자의 사고는 대도시보다는 규모가 더 작은 지역에서 가을철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보행자가 더 안전한 환경에서 보행행동을 하고자 하는 보상행동을 보이지만 실제로는 교통사고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보행자는 청년기 보행자들에 비하여 도로횡단을 하는데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었으며 특히 단순한 구조보다는 복잡한 도로구조에서 더 사고를 많이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차량과의 상충상황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중인 차량이나 후진중인 차량에 상대적으로 더 위험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고령보행자 사고의 특성은 고령자들의 연령증가에 따른 신체적․정신적 능력의 손실과 확신수준의 저하와 같은 심리적 상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elderly pedestrians by analyzing relevant data vis-à-vis fatal pedestrian accidents and proposes solutions to reduce such accidents. We analyzed 3,853 cases of fatal accidents involving elderly pedestrians and 1,786 cases involving younger pedestrian (these cases reflect accidents that occurred from 2005 to 2008). The results show that accidents involving the elderly occur more frequently in rural areas than urban areas, especially in autumn; this condition applies even in situations where the elderly exhibit compensation behaviors such as walking on safer roads. We found that elderly pedestrians exhibit a defective behavior in crossing roads, especially in complicated road conditions where intersections and turning/reversing vehicles represent a menacing threat. These characteristics could be explained by the degenerated physical/mental ability of the elderly and by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reduced level of self-confidence.
경찰청 (2008). 2008년판 교통사고통계. 서울: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1998). 노년층 교통참가자의 운전행동 및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서울: 도로교통공단.
도로교통공단 (2008). 2008년판 교통사고 통계분석. 서울: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박선진, 이순철, 김인석 (2009). 고령자의 보행능력과 횡단행동 특징. Journal of the Korea Data Analysis Society, 11, 3071~3088.
윤 진 (1985). 성인․노인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순열, 이순철, 김인석 (2006). 고령운전자 차량 좌회전 상황에서의 위험요인 분석. Journal of the Korea Data Analysis Society, 8, 375~390.
이순철 (2006). 고령운전자 교통사고의 심리적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149 ~167.
이순철, 오주석, 박선진, 이순열, 김인석 (2006). 고령운전자와 청소년운전자의 운전확신차이와 운전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81~102.
이용재, 이상규 (2005). 고령화 시대를 위한 도로설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 3D, 409~421.
이준범, 이재식 (2007). 신호탐지론을 이용한 도로횡단 행동의 연령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 253~265.
최순남 (2005). 현대노인복지론. 법문사: 경기 파주.
통계청 (2009). 국가통계포털 인구부문 2005년도 총 조사인구(연령/성별인구). http:// www.kosis.kr/에서 2009, 8, 3 인출.
Burg, A. (1968). Lateral vision field as related to age and sex.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2, 1, 10~15.
Giambra, L. M. & Quilter, R. E. (1988). Sustained attention in adulthood: A unique, large-sample, longitudinal and multicohort analysis using the Mackworth clock test. Psychology and Aging, 3, 75~83.
Hasher, L., Stoltzfus, E. R., Zacks, R. T., & Rypma, B. (1991). Age and inhibi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7, 163~169.
Kane, M. J., Hasher, L., Stoltzfus, E. R., Zacks, R. T., & Connelly, S. L. (1994). Inhabitory attentional mechanisms and aging. Psychology and Aging. 9, 103~112.
Kramer, A. F. & Larsh, J. E. (1996). Aging and dual-task performance. In W. R. Rogers, A. D. Fisk, & N. Walker(Eds.), Aging and skilled performance. Hilla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Kuhlman, K. A. (1993). Cervical range of motionin the elderl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4, 1071~1079.
Mouloua, M. & Parasuraman, R. (1995). Aging and cognitive vigillance: Effects of spatial uncertainty and event rate. Experimental Aging Research, 21, 17~32.
Olsho, L., et al. (1985). Aging and the auditory system. 332~374. in J. E. Birren & K. Schaie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Sivak, M. (1995). Vision, perception, and attention of older drivers in: UMTRI Research review: the safety and mobility of older drivers, What we know & Promising research issues. 26(1) 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