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직장인의 일에 대한 재미지각척도 개발 및 구성타당도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un Perception Scale for the Korean Employe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1, v.17 no.2, pp.241-260
박정열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손영미 (명지대학교)
김정운 (명지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직장인들이 일의 상황에서 재미를 느끼는 요인을 측정하는 척도인 재미지각척도를 개발하고, 그것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 심층면접, 개방형설문, 사전조사 등의 예비연구를 통해 40개의 재미지각척도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조사는 직장인 250명(남: 125명, 여: 12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결과, 전체 29문항으로 구성된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 바, 자기결정성, 외적 보상, 목표의식, 과정의 즐거움, 회사기여, 무가치성, 도전성이 그것이다. 각 요인의 내적일관성 수준도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다음으로, 척도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 16.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적합도지수(X2/df, TLI, CFI, RMSEA)가 유의미하게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나, 구성타당도가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재미지각척도가 갖는 의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재미, 척도 개발, 타당화, 몰입, 내적동기, 긍정심리학, 일, 직장인, fun,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flow, intrinsic motivation, positive psychology, work, employee

Abstract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un perception scale measuring what conditions employees experience fun feeling in work an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it. For this, the pre-studies(open-ended questionnaire, in-depth interviews, literature survey, pre-survey) were conducted to develop the preliminary questions of fun scale. In main study, 250 employees(male: 125, female, 125) were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40 questions of fun perception scale extracted by pre-stu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rough the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7 factors composed of 29 items were extracted: ‘self-determination’, ‘extrinsic reward’, ‘goal achievement’, ‘pleasure in the process’, ‘contribution to the company’, ‘worthless’, ‘challenge’. Cronbach's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of each factor was suitable. Secondly, EFA was conducted to test the construct validity of fun scale with AMOS 16.0. Several goodness of fit indexes were used to assess model fit: X2/df, TLI, CFI, RMSEA. The results were revealed that all the indexes were acceptable with no additional modif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fun perception scale were discussed.

keywords
재미, 척도 개발, 타당화, 몰입, 내적동기, 긍정심리학, 일, 직장인, fun, scale development, validation, flow, intrinsic motivation, positive psychology, work, employee

참고문헌

1.

고동우 (2002). 여가 경험의 변화 과정: 재미진화모형.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65-471.

2.

고동우 (2004). 재미진화모형을 적용한 여가체험: 프로야구와 프로축구를 중심으로. 한국관광․레저학회, 관광․레저연구, 16(2), 85-105.

3.

고동우 (2007). 여가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4.

국립국어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5.

권석만 (2008).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6.

김계수 (2009). Amos 16.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7.

김병준, 성창훈 (1997). 청소년 스포츠 참가자 심층이해(Ⅰ): 스포츠 재미거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8(2), 43-60.

8.

김승래 (2011. 3. 3). Hi CEO 경영교실. 빌 게이츠 압도한 조앤 롤링 年 수입. 이야기가 富를 만든다. 한국경제신문.

9.

김영선 (2011). 잃어버린 10일: 경영 담론으로 본 한국의 휴가 정치. 서울: 이학사.

10.

김영재 (2004). 한국형 여가만족척도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43(1), 291 -299.

11.

김정운 (2005). 노는 만큼 성공한다. 서울: 21세기북스.

12.

김정운 (2007). 관점의 소비와 재미의 탄생.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4-15.

13.

김지태 (2010). 고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여가스포츠참가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4), 17-26.

14.

김효준 (2009). 창의성의 또 다른 이름 트리즈(TRIZ). 서울: 인피니티북스.

15.

박원임, 김길양 (1995). 여가속의 즐거움(Enjoyment)과 재미(Fun)에 대한 고찰.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여가레크리에이션연구, 12(1), 134-141.

16.

배병렬 (2009). Amos17.0 구조방적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7.

유영화, 조경자, 한광희 (2002). 놀라움과 사후추정이 인지적 재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4(2), 87-106.

18.

윤홍미, 안신호, 이승혜 (1996).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들: 재미 유발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91-506.

19.

이범일, 이용화 (2009). SERI 경영 노트 1.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

이종길 (2001). 청소년 스포츠활동의 재미(fun)유형과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14(1), 37-54.

21.

이창섭, 남창우 (2003).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척도개발. 한국체육학회지, 42(3), 161-173.

22.

장혁석 (1999). 일의 의미 척도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硏究報, 31, 109-140.

23.

조귀동, 정창민 (2011. 3. 11). 정준양 회장 “트리즈는 ‘포스코 3.0’ 창조경영의 핵심 도구”. 한국경제신문.

24.

조은예, 최인수 (2008). 재미에 관한 아동의 암묵적 지식과 플로우와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15-132.

25.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6.

Brustad, R. J. (1988). Affective outcomes in competitive youth sport: The influence of intrapersonal and socialization factors.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0, 307-321.

27.

Choe, I. S. (2006). Creativity: A Sudden rising star in Korea. J. C Kaufman, R. J. Sternberg(Eds.),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creativity.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29.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Y: Harper & Perennial.

30.

Csikszentmihalyi, M. (1993). The evolving self. NY: Harper & Row.

31.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Y: Harper Perennial.

32.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Y: Harper Collins.

33.

Deci, E. L. (1975). Intrinsic motivation. NY: Plenum.

34.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Y: Plenum.

35.

Dewey, J. (1913).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NY: Houghton Mifflin Company.

36.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37.

Hidi, S., & Baird, W. (1986). Interestingness: A neglected variable in discourse processing. Cognitive Science, 10, 179-194.

38.

Hoyle, R. H., & Panter, A. T. (1995). Wirting About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lif: Sage

39.

Izard, C. E. (1991). The psychology of emotions. NY: Plenum.

40.

Kelly, J. R. (1987). Freedom to be: A new sociology of leisure. NY: Mac Millan.

41.

Koster, R. (2004). A theory of fun for game design. Paraglyph Press. (안소혁 역. 라프 코스트의 재미이론. 서울: 디지털미디어리서치, 2005)

42.

Krapp, A., Hidi, S., & Renninger, K. A. (1992). Interest, learning, and development. In K. A. Renninger, S. Hidi, & A. Krapp (Eds.), The role of interes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pp. 3-25. Hillsdale, NJ: Erlbaum.

43.

Mannell, R. C., Zuzanek, J., & Larson, R. W. (1988). Leisure states and “flow” experiences: Testing perceived freedom and intrinsic motivation hypothes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0, 289-304.

44.

Neulinger, J. (1981). The psychology of leisure. (2nd ed.). Springfield, Ⅲ.: Charles C. Thomas.

45.

Peterson, C. (2006).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Y: Oxford University Press.

46.

Podilchak, W. (1985). The social organization of fun. Leisure and Society, 8(2), 685-691.

47.

Podilchak, W. (1991). Distinctions of fun, enjoyment and leisure. Leisure Studies, 10(2), 133-148.

48.

Rigby, C. S., Deci, E. L., Patrick, B. C., & Ryan, R. M. (1992). Beyond the Intrinsic-Extrinsic Dichotomy: Self-determination in motiv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nd Emotions, 16, 165-185

49.

Scanlan, T. K., Carpenter, P. J., Lobel, M., & Simons, J. P. (1993). Sources of enjoyment for youth sport athletes. Pediatric Exercise Science, 5, 275-285.

50.

Scanlan, T. K., Stein, G. L., & Ravizza, K. (1989). An in-depth study of former elite figure skaters: Ⅱ. Sources of enjoyment.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1, 65-83.

51.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NY: Free Press. (김인자 역. 긍정 심리학. 서울: 물푸레, 2006)

52.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53.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Y: Harper & Row.

54.

Wankel, L. M., & Kreisel, P. S. (1985). Factors underlying enjoyment of youth sports: Sport and age group comparison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7, 51-64.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