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관계를 바탕으로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을 밝히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207명이 서두름 행동 질문지와 A형 행동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A형 행동 질문지는 A형 행동 및 성격을 측정하는 기존 문항을 바탕으로 총 136개 문항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29개 문항으로 축소되었다. A형 행동의 구성요인으로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과제몰입, 활동성, 민첩성이 나타났다. 서두름 행동 요인분석 결과, 서두름 행동은 기존 연구와 동일한 5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상관분석 결과, 시간압력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실패불안, 과제몰입,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불편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과 고립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인내심부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지루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와 활동성 및 민첩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보상기대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five factors of Hasteful behavior and conduct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s with relationship between Hasteful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207 adults(18-59 aged) answered the Hasteful Behavior Questionnaire and Type A Behavior Questionnaire. 136 items in established type A behavior or type A personality scale were collected. 136 items were reduced to 6 factors and 29 items. The components of Type A Behavior consists of success striving, impatience, failure anxiety, job immersion, activity, quickness. The factor analysis of Hasteful Behavior resulted in five factors. This was consistent in priority research. Each factors of Hasteful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Hasteful behavior under time pressure had positive relations with success striving, failure anxiety, job immersion, activity, and quickness. Hasteful behavior under uncomfortable or isolation had a relation with impatience. Hasteful behavior in bordem had positive relations success striving, activity and quickness. Hasteful behavior in expectation of rewards had positive relations with success striving, impatience, failure anxiety, and quickness.
김동우, 박선진, 이순철 (2009). 서두름 행동이 운전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4), 487-505.
박선진 (2011). 서두름 행동에 관여하는 개인특성 및 서두름 행동이 과업달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박선진, 이순철 (2011). 성과 연령에 따른 서두름 행동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7(4). 365-380.
유창열 (1986). 성취동기 측정척도 개발.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논문집, 8(3), 10-16.
유태용, 민병모 (2001). 다양한 장면에서 수행을 예측하기 위한 5요인 성격모델의 사용가능성과 한계: 국내 연구결과의 통합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조직, 14(2), 115- 134.
유태용, 이기범, Ashton, M. C. (2004). 한국판 HEXACO 성격검사의 구성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18(3), 61-75.
이순철, 박선진 (2008). 서두름 행동의 심리적 구조 및 특성 파악: 서두름 행동, 확인생략행동, 성취욕구 간의 관계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2), 63-81.
조선미, 이형초, 박현진, 서지영, 홍성묵 (1995). ‘빨리 빨리 빨리’: 조급성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임상심리학회 95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5-216.
Dembroski, T. M., MacDougall, J. M., Williams, R. B., Haney, T. L., & Blumenthal, J, A. (1985). Components of Type A, Hostility, And Anger-In: Relationship to Angiographic Findings. Psychomatic Medicine, 47, 3, 219-233.
Eysenck, H. J., & Fuler, D. (1983). The component of type A behavior and its genetic determina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4, 499-505.
Glass, D. C. (1977). Behavior patterns, stress, and cornonary disease. Oxford, England: Lawrence Erlbaum.
Haynes, S. G., Levine, S., Scotch, N., Feinleib, M., & Kannel, K. W. (1978). Original contributions: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to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Framingham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07, 362-383.
Jamal, M. (1985). Type A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Some suggestive findings. Journal of Human Stress. 11, 60-68.
Jenkins, C. D., Zyzanski, S. J., & Rosenman, R. H. (1971). Progress toward validation of computer-scored test for the type A coronary-prone behavior pattern. Psychosomatic Medicine, 33, 193-202.
Lee, C., Earley, P. C., & Hanson, L. A. (1988). Are Type as better performe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9, 263-269.
Muchinsky, P. M. (2003). 산업 및 조직심리학. [Psychology Applied to work]. (유태용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 2000년에 출판)
Smith, T., & Ruiz, J. (2002). Psychological influences on development abnd course of cirinary heart disease: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 548- 568.
Winderl, M., & Lermer, R. M. (1986). Reassessing the dimensions of temperanmental individuality across the life: The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DOTS-R). Journal of Adolescents Research, 1(2), 213-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