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중․고등학생의 성장과정 상처와 열등감, 성격장애,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Wounds in the Growth Period, Inferiority Complex, Personality Disorder and Mental-Health among Secondary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2, v.18 no.4, pp.505-532
이만표 (인하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학생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성장과정의 상처, 열등감, 성격장애 간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중․고교생 2,119명을 표집, 조사․수집된 자료를 분석했다. 차이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 결과, 성장과정의 상처, 열등감, 성격장애, 정신건강 요인 면에서 여학생들과 고등학생들이, 그리고 가정경제 환경이 곤란한 학생들과 학업성적 수준이 하위권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문제가 있음이 의미 있게 밝혀졌다. 열등감에 영향을 주는 성장과정의 상처 요인은 행복감, 안정감, 인정감의 상처 순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성격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성장과정의 상처 요인은 행복감, 안정감, 자신감, 사랑, 평등감의 상처 순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정신건강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성장과정의 상처 요인은 행복감, 안정감, 자신감, 사랑, 평등감의 상처 순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정신건강에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은 전반적으로 성장과정 상처의 직접효과보다 성격장애와 열등감을 통한 간접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성장과정의 상처가 열등감과 성격장애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 정신건강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과 함께 가정환경의 건강성과 교육적 성장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

keywords
성장과정 상처, 열등감, 성격장애, 정신건강, wounds in the growth period, inferiority complex, personality disorder, mental-health.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growth period wounds, inferiority complex and personality disorder of teenaged students, which affected their ment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10 secondary student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the adolescents in those factors were analyz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there were relatively more significant problems with the growth period wounds, inferiority complex, personality disorder and mental health of the students who were girls, who were high schoolers, whose household economy was more vulnerable and whose academic standing was lower. The growth period wound that exerted the largest significant influence on inferiority complex was happiness, followed by wound of security and wound of recognition, and the growth period wound that had the greatest significant impact on personality disorder was happiness, followed by wound of security, wound of confidence, wound of love and wound of equity. The growth period wound that exercised the biggest influence on mental health was happiness, followed by wound of security, wound of confidence, wound of love and wound of equity. As for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mental health, the indirect effects of the growth period wounds through personality disorder and inferiority complex were greater than their direct eff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growth period wounds are likely to lead to inferiority complex and personality disorder and ultimately to the injury of mental health, and indicate the importance of healthy family environments and of educational environments in the growth period.and mental health was analyz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all the variables. Third, the wound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and stability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hat affected inferiority complex among the growth period wound factors. Personality disorder was found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the wound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stability, love, confidence and a sense of equality in the growth period, and mental health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wound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stability, confidence, love and a sense of equality. Fourth, the growth period wounds had a direct impact on mental health, and inferiority complex played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at that time. Every subfactor of personality disorder also produc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except the wound factor of pride.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every possible effort should be made to let secondary students get hurt less to promote their mental health and resolve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at profess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and institutional assistance are required to help them to remove their inferiority complex and personality disorder.

keywords
성장과정 상처, 열등감, 성격장애, 정신건강, wounds in the growth period, inferiority complex, personality disorder, mental-health.

참고문헌

1.

강병철, 하경희 (2005). 청소년 동성애자의 동성애 관련 특성이 자살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2(3), 267-289.

2.

고유미, 이정윤 (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 청소년상담연구, 17(1), 49-63.

3.

곽수란 (2006). 청소년의 학교 적응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1), 1-26.

4.

곽수란 (2011).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관계가 자아개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제1회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 109-129.

5.

구자경 (2003).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교자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3), 309-329.

6.

구자경 (2004).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2), 217-239.

7.

구현영 (2009). 청소년을 위한 휴대전화 중독 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9(6), 818-828.

8.

구현영 (2010).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과 예측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16(3), 203-210.

9.

권해수 (2003). 성학대 피해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교헌 (2004). 한국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특집호), 55-68.

11.

김기환, 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27- 152.

12.

김미윤 (2003). 사이버공간 경험의 의미와 청소년 문화. 청소년학연구, 10(3), 211-231.

13.

김 민 (2001). 자발적 학업중도탈락현상 발생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4.

김순규 (2011).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청소년학연구, 18(3), 247-272.

15.

김아다미 (2001). 아동의 학대 경험이 자아 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연희, 유미숙 (2009).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제6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3-15.

17.

김영민, 임영식 (2011). 민주적 양육방식, 자아탄력성 및 휴대전화의존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구조모형 검증. 제1회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 201-220.

18.

김오남 (2005).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그 대처행동 및 정신건강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2(4), 99-119.

19.

김윤희 (2005).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정신건강 모형 구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김은정 (2000).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김은정, 김진숙 (2008).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2(3), 605-630.

22.

김정운 (2006). 노는 만큼 성공한다. 서울: 21세기 북스.

23.

김천기 (2002). 평준화의 왜곡과 자립형 사립고의 문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12(3), 55-73.

24.

김천기 (2004). 중등학생의 중퇴 방지를 위한 사회자본론적 접근에 대한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4(3), 21-39.

25.

김현성 (2004). 집단따돌림 담론을 토해 본 청소년 주체형성과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4(3), 41-63.

26.

김현실 (2005). 청소년의 자살시도 예측요인. 아동간호학회지, 11(1), 34-42.

27.

김현주 (2002).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과 우상화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9(1), 115-139.

28.

김형수, 김흥규 (2006). 초․중․고 및 대학생들의 열등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교육의 이론과 실천, 11(1), 38-69.

29.

김혜미, 원서진, 최선화 (2011).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차별경험과 심리적 적응. 사회복지연구, 42(1), 117-149.

30.

김혜수, 배성만, 현명호 (2007). 휴대전화 중독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환경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83-393.

31.

김혜영 (2002). 학교중도탈락의 사회적 맥락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9(3), 213-242.

32.

김혜진 (2006).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김흥규, 원애경, 최재향, 이호정 (2006). 인천 초․중․고교 학생들의 삶의 질에 대한 비교연구. 인천학술진흥재단.

34.

김흥규, 이기순, 한순미, 김광애, 이만표, 최재향 (2012). 인천지역 초․중․고교 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성숙 및 성적․정신적 건강에 대한 연구. 인천학술진흥재단, 8-182.

35.

김흥규, 원애경 (2007). 상담심리학. 파주출판단지, 양서원.

36.

김흥규, 이만표 (2009). 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미래교육연구, 16(2), (사)참마음교육학회, 1-54.

37.

김흥규, 이호정 (2009). 최신특수교육학. 파주출판단지: 양서원.

38.

노 혁, 김미숙 (2003). 한국과 일본의 원조교제 성격 비교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187-209.

39.

동아일보 (2011.11.22). http://news.donga.com/ Society

40.

문경숙 (2006).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5), 143-157.

41.

민동일 (2007). 청소년의 가정 건강성, 학교생활 건강성 및 자아 탄력성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박선웅 (2002). 학생다운 몸의 규율과 학교위기. 교육사회학연구, 12(3), 75-99.

43.

박수억 (2011). 낮은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교효과. 교육사회학연구, 21(1), 55-76.

44.

박순희 (2009).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과 사회 적응. 한국아동복지학, 29, 125-154.

45.

박영신, 김의철 (2000).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38(2), 109-147.

46.

박영신, 김의철 (2001). 청소년 학교폭력행동과 환경 및 심리특성의 한계. 교육심리연구, 15(2), 25-52.

47.

박영신, 김의철 (2002). 한국사회의 교육적 성취. 교육심리연구, 16(4), 325-351.

48.

박영신, 김의철 (2003). 한국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1), 81-114.

49.

박영신, 김의철 (2004). 청소년의 인간관계와 일탈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특집호), 87-115.

50.

박영신, 김의철 (2010). 친구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3), 385-422.

51.

박윤배, 김경식 (2002). 학교교육 주체들이 지각하는 교실붕괴 현상의 원인. 교육사회학연구, 12(3), 101-120.

52.

박정희 (2010). 부부갈등과 초등학생의 표출 불안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12), 27- 48.

53.

박정희, 박정미 (2010).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시험불안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6), 125-134.

54.

박진아, 이경숙, 신의진 (2008). 정서 및 행동장애 유아의 정신병리 유형에 따른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 한국심리학회지, 27(2), 523-545.

55.

박창남, 도종수 (2003). 청소년 학교중퇴의도의 원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207-238.

56.

변은주, 심혜숙 (2010).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지지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4), 175-176.

57.

보건복지부 (2005). 자살예방 5개년 종합대책.

58.

서순림, 김정복 (2002).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5(2), 219-232.

59.

성윤숙 (2006).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및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7(2), 291-321.

60.

성윤숙 (2008).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이용동기 및 결과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9(4), 181-197.

61.

신군자 (2004). 청소년 위기와 학교의 구조적 혁신 과제. 교육사회학연구, 14(3), 133-155.

62.

신기철 (2006). 가정환경의 건강성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성숙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3.

신혜섭, 송미연 (2006). 부적응행동과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 초기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복지학, 11(1), 23-38.

64.

신희경 (2006). 가해 청소년, 피해 청소년, 가해/피해 청소년 집단유형의 발달에 미치는 변인. 한국청소년연구, 17(1), 297-323.

65.

심미영, 김교헌 (2005). 한국청소년의 자살 생각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313-325.

66.

아영아, 정원철 (2010). 청소년의 학업 및 가족갈등 스트레스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2(4), 257-277.

67.

안권순 (2009). 다문화청소년의 건전 육성방안. 청소년학연구, 6(7), 99-128.

68.

양돈규 (2003).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경향에 따른 대인관계 활동 및 만족도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10(3), 481-500.

69.

양미진, 이은경, 이희우 (2006). 청소년의 심리내적 요인과 환경요인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4(1), 53-76.

70.

오경자, 양윤란 (2003). 청소년기 사회 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Ⅰ. 한국심리학회지, 22(3), 557-576.

71.

오은정, 장성화 (2009).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 정체감 및 휴대전화 중독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11(3), 25-44.

72.

원애경 (2005). 성장과정에서의 청소년 상처가 정신건강 및 무기력 증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3.

이경진, 조성호 (2004).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667-685.

74.

이경희 (2011).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21(1), 111- 131.

75.

이근영, 최수찬, 공정석 (2011).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5), 83-107.

76.

이근후, 박경화 공역 (1988). 정신진단 사례연구집. 하나의학사.

77.

이덕희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복지학, 15(3), 77-96.

78.

이상준 (2011). 가출 청소년의 사회적 탄력성과 위험․보호요인의 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3(2), 271-291.

79.

이완정 (2002). 발달과정에서의 위험요소에 노출된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과 보호요인의 분석. 한국아동학회지, 23(1), 1-16.

80.

이유경 (2005).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 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1.

이은희 (2003). 남․녀 성별에 따른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정신건강 수준과 그 결정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5, 52-76.

82.

이정숙, 명신영 (2007).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실태 및 휴대폰 중독 정도에 따른 또래관계의 질, 학교생활 부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67-86.

83.

이춘재, 곽금주 (2000). 집단 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 지지. 한국심리학회지, 13(1), 65-80.

84.

이현지, 박석돈 (2003). 가출 여성 청소년들의 삶과 사회적 환경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1-19.

85.

이형하 (2003). 인터넷 중독정도가 도서지역 청소년의 심리정서, 행동, 학업부적응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0(3), 263-287.

86.

이희선, 선우현정 (201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청소년 자아 탄력성,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9(6), 109-122.

87.

임영식, 이장한, 김선일, 함진선 (2003). 청소년의 흡연행동. 청소년학연구, 10(3), 461-479.

88.

임은희, 서현숙 (2007). 성역할 정체감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4(3), 53- 78.

89.

장석진, 조민아, 송소원 (2011).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제1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 88-105.

90.

전영주 (2001). 우울증을 매개로한 청소년의 자살 구상에 관한 가족 및 학교환경의 경로분석 모델. 대한가정학회지, 39(1), 1-17.

91.

조아미 (2002). 청소년의 학교중퇴의도 결정요인. 청소년학연구, 9(2), 1-22.

92.

조용태, 배영태 (2003). 학교중도탈락의 요인에 관한 고찰. 교육학 논총, 24(1), 173-192.

93.

조은정 (2008).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모, 교사, 친구 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5(6), 299- 322.

94.

조춘범, 조남흥 (2011).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18(4), 75-102.

95.

최나야, 한유진 (2006). 충동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기대가 아동․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209-219.

96.

최성보 (2011).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분석. 중등교육연구, 59(2), 261-287.

97.

최성보, 이현철, 김경식 (2011).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제1회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학술대회자료집, 348-369.

98.

최승희 (2003). 청소년 미혼모들의 슬픔 관련 요인들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3), 1-19.

99.

최옥순 (2004).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 가정 및 학교환경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0.

최윤정, 진혜경, 김종원 (2001). 학령기 집단 따돌림 피해 및 가해아동의 인격형성에 관한 연구.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12(1), 94-102.

101.

최지은, 신용주 (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199-220.

102.

탁수연, 박영신, 김의철 (2002). 보호관찰 청소년과 고등학생 부모집단의 자녀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 2002년도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21-326.

103.

한국청소년상담원 (2011). ‘2010 상담경향 분석 보고서’ http://www.kyci.or.kr/

104.

한기혜, 박영신 (2003).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부모자녀관계. 2003년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5-196.

105.

한기혜, 박영신 (2004).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부모자녀관계. 아동교육, 13(1), 95-109.

106.

한동세 (1974). 정신과학. 서울: 일조각.

107.

한순미 (2011). 가정환경의 건강성이 청소년의 정서지능, 사회지능 및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8.

한현아, 도현심 (2008). 가정의 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1), 87-101.

109.

허정윤, 유정달 (2010).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24(1), 177-211).

110.

홍영수 (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그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의 완충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0, 7-33.

111.

홍영수, 전선영 (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9(4), 125- 149.

112.

福井康之 (1985). 靑少年期の不安と成長. 東京: 有斐閣新書.

113.

河合隼雄 (1997). 母性社會日本の病理(1997). 東京: 中央公論社.

114.

稻村 博 (1994). 思春期挫折症候群-現代の國民病 東京: 新曜社.

115.

宮田 加久子 (1991). 無氣力のメカニズムㄧその豫防と克服のためにㄧ. 誠信書房.

116.

李相蘭 (2003). 韓國における靑年期無氣力傾向に關する硏究. 東京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183.

117.

笠原 嘉 (1983). 無氣力の精神病理學. 東京: 岩波書店.

118.

笠原 嘉 (1984). アパシー․ シンドロム. 岩波書店.

119.

齊藤 環 (1997). 社會的ひきこもり. PHS新書.

120.

山田 和夫 (1990). 家族關係の中での スチーュデント․ アパシー. 同朋舍.

121.

鐵島淸穀 (1993). 大學生のアパシ一傾向に關する硏究. 敎育心理學硏究.

122.

島薗安雄, 保崎秀夫 (1986). 靑少年の社會病理. 精神科Mook, No.14, 金原出版.

123.

西園昌久 編 (1993). 思春期の精神障害. 東京: 硏友社.

124.

Allen, B. (1995). Gender Stereotypes are not Accurate: A REplication of Martin(1987) Using Diagnostic vs. Self report and Behavioral Criteria. Sex Roles. 32(9-10), 583- 600.

12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Text revision: DSM-Ⅳ-TR(4th ed.), Washington, D. C.: Author.

12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b).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Washington, D. C,: Author.

127.

Bolger, K. E., C. J. Patterson & J. B. Kupersmidt (1998). Peer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among Children who have been Maltreated. Child Development, 69(4), 1171-1197.

128.

Collins, G. R. (1999). Christian Counseling, 피형희, 이혜련 옮김. 크리스챤 카운슬링. 두란노.

129.

Dutton, D. G. (1999).Traumatic Oriins of Intimate Rag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4(4), 431-447.

130.

Gelinas, D. J. (1993). Relational patterns in Incestuous Families, Malevolent Variations and Specific Interventions with the Adult Survivor. 1~34 in P. L. Paddison(ed). Treatment of Adult Survivors of Inces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131.

Gillmatin, B. (1987). Peer Group Antecedents of Severe Love-shyness in Males. Journal of Personality. 55, 467-475.

132.

Goddington, R. Dean & Moille M. Wallick (2002). Child Psychiatry. Warren H. Green, Inc.

133.

Hendrix, H., 서민아 역 (2004). 연애할 땐 Yes, 결혼하면 No가 되는 이유. 프리엄북스.

134.

Hymel, S., K. Rubbin, L. Rowden & L. Lemare (1990).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Longitudinal Prediction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from Middle to Lat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61(6), 2004- 2021.

135.

Johnson, D. (2001). Trauma, Dissociation and Learning Disability. Clinical Psychology Forum. 147, 18-21.

136.

Kaplan, S. J., D. Pelcovitz & V. Labruna (1999). Child and Adolescent Abuse and Neglect Research: A Review df the past 10 years. Part 1: Physical and Neglect. Journald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8(10), 1214-1222.

137.

Krause, E. D., T. Mendelson & T. R. Lynch (2003). Childhood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ult Psychological Distress. Child Abuse Neglect. 27(2), 199-213.

138.

Leader, D. & Corfield, D. (2007). Why do People get ill ?. 배성민 옮김 (2011). 우리는 왜 아플까. 동녘사이언스.

139.

Mcgee, R. A., D. A. Wolfe & S. K. Wilson (1997). Multiple MaltreatmentExperiences And Adolescent Behavior Problems: Adlescent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9, 131-149.

140.

Mcginnis, J. M. & Foege, W. H. (1993). Actual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0, 2207- 2212.

141.

Mullen, P. E., J. L. Martin, J. C. Andelson, S. E. Romans and G. P. Herbison (1996). The Long-term Impact of the Physical, Emotional and Sexual Abuse of Children. Child Abuse Neglect. 20, 7-21.

142.

Narramore, C. M. (2000). Encyclopedia of Psychological Problems. 김 연 역, 이상심리학백과사전. 보이스사.

143.

Nocack, D. (2003). Realizing Engel's Vision: Psychosomatic Medicine and the Education of physician Healers. Psychosomatic Medicine. 65, 925-930.

144.

Rape, R. M. & L. F. Melville (1997). Recall of Family Factors in Social Phobia and Panic Disorder: Comparison of Mother and Offspring Reports. Development and Anxiety. 5, 7-11.

145.

Rubin, K. H., S. Hymel & R. S. L. Mills (1989). Sociability and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Stability and Outcomes. Journal of Personality, 57, 237-255.

146.

Sedlak, A. J. & D. D. Broadhurst (1996). Third National Incidence Study of Child Abuse and Neglect. Rockville, MD: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47.

Spertus, I. L., R. Yehuda, C. M. Wong, S. Halligan and S. V. Seremetis (2003).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n Women presenting to a Primary Care practice. Child Abuse and Neglect. 27(11), 1247-125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