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소득양극화에 대한 한국인의 입장과 정부정책에 대한 판단

Attitudes of Korean People Toward Income Polarization and Their Evaluation of Government Polici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3, v.19 no.2, pp.87-108
김동수 (중앙대학교)
김옥환 (중앙대학교)
정태연 (중앙대학교)
최영진 (중앙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사회적 특징(소득수준, 지지정당(보수 대 진보), 정치적 가치, 자본주의와 평등주의 가치)이 소득양극화에 대한 입장과 정부정책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613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먼저, 참가자들의 소득양극화에 대한 입장을 알아보기 위해, 참가자를 이러한 각 변인의 점수로 나눈 두 집단(고집단 대 저집단; 피험자 간)과 소득양극화에 대한 두 가치(진보 대 보수; 피험자 내) 등 혼합설계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이 판단하는 정부의 정책을 알아보기 위해서, 위의 각 변인의 점수로 나눈 두 집단(고집단 대 저집단; 피험자 간), 두 정부(실용정부 대 참여정부; 피험자 내), 소득양극화 정책(진보 및 보수; 피험자 간) 등 혼합설계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은 진보적 정치적 가치를 가지거나, 자본주의 가치를 반대하는 한국인이 소득양극화 진보적 가치를 더 지지하였으며, 보수정당을 지지하거나 평등주의 가치를 반대하는 한국인이 소득양극화 보수적 가치를 더 지지하였다. 또한 지지정당에 따라서 참여정부의 소득양극화 진보적 정책과 보수적 정책 판단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가 한국사회에서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소득양극화 문제의 합의적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한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income polarization, rich-poor gap, political inclination, capitalism, egalitarianism, political party, and policy evaluation, income polarization policy, 소득양극화, 빈부격차, 정치성향, 자본주의, 평등주의, 정당, 소득양극화 정책

Abstract

With questionnaires conducted for 613 adult Koreans in Seoul,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heir social features (income level, political party identification, political values, values of capitalism and egalitarianism) exercis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income polarization and their evaluation of government policies. Two groups of participants (high vs. low) for each social feature were formed first. Then their attitudes toward income polarization (liberal vs. conservative) and evaluations of policies (liberal vs. conservative) exercised by government (Participatory vs. Practical) were compared. Results indicated that liberal value was strengthened by liberal value, anti-capitalistic, and conservative value was strengthened by egalitarian values, and party identification. It was also found that party identification partial effect on the judgment of policies exercised by Participatory Government.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and measures for communication constructive for settlement of income polarization were suggested.

keywords
income polarization, rich-poor gap, political inclination, capitalism, egalitarianism, political party, and policy evaluation, income polarization policy, 소득양극화, 빈부격차, 정치성향, 자본주의, 평등주의, 정당, 소득양극화 정책

참고문헌

1.

강승복 (2005).우리나라 임금소득불평등도의 중장기적 변화.노동리뷰,19-29.

2.

경기일보 (2012.5.27).소득․교육․의료 갈수록격차 농촌 양극화 심각.

3.

김경모 (2001).경남지역 소도시 청소년의 사회계층 현상에 대한 이해유형 탐구-경제적 불평등 개념을 중심으로.청소년학연구,8(1),243-269.

4.

김대일 (2007).불평등도 지표로서의 소득과소비의 비교.한국노동경제학회 30,77-102.

5.

김동수,김옥환,이상헌,정태연 (2011).한국인의 소득양극화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인식유형.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17(4),365-387.

6.

김병조 (2000).한국인 주관적 계층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한국사회학,34(2),241-268.

7.

김비환 (2005).현대 자유주의의 스펙트럼과한국사회의 보수와 진보.철학연구 71,27-57.

8.

김상호,김병선 (2006).방송뉴스 분석을 통해살펴본 양극화의 사회적 구성.언론과학연구,6(3),99-140.

9.

김 욱 (2006).16대 대선에서 세대,이념,그리고 가치의 영향력,이수영 편.한국의 선거5:제 16대 대통령선거와 제 17세 국회의원선거.서울:도서출판 오름.

10.

김의철,박영신 (2004).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청소년과 성인의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 분석.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10(3),103-129.

11.

김흥종 (2006).양극화 현상에 대한 각국의 인식과 정책적 대응.한국응용경제학회,8(2). 105-119.

12.

남상호,임병인 (2005).소득-소비 분배구조 추이 및 양극화 분석.경제학회지,56(1),219-247.

13.

노연희,김명언 (2011).불완전고용의 선행요인및 불완전고용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한국사회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17(1),19-49.

14.

류정순 (2005).양극화 해소 위한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절실.노동사회지,주장과 대안,90-98.

15.

박병석 (2006).국회의 대국민 의사소통체계:현실과 과제.동북아논총,38,429-451.

16.

박상규,이병하 (2004),빈곤층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16(4),813-824.

17.

박세경 (2005).성장과 분배에 대한 국민의식 설문조사 결과.보건복지포럼,27-38.

18.

박영민 (2009).한국 집권엘리트의 ‘순환 충원;특성에 관한 연구.조선대 동북아연구소,24(2),1-16.

19.

서영희,허우정,김은주 (2007).사회 양극화현상에 따른 유아기 가정․교육환경 실태및 요구도 조사.유아교육,16(2),253-276.

20.

신동면 (2006).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소득 양극화 실태와 사회보장의 과제.사회이론,(1),34-62.

21.

신명호 (2005).한국사회의 양극화 현상의 원인과 특징.도시와 빈곤,77,5-27.

22.

신명호 (2006).한국사회의 양극화와 빈곤.아세아연구,49(1),7-34.

23.

신원철 (2005).노동조합의 단체교섭과 임금소득불평등.노동사회지,3,10-25.

24.

안종범,석상훈 (2006).양극화의 정치왜곡과 정책부실.한국응용경제학회,8(2),47-78.

25.

양재인 (2007).참여정부의 엘리트충원분석:각료를 중심으로.동북아 연구,67-89

26.

우재은 (2003).빈부격차의 실태와 정책과제.보건복지포럼,50-61.

27.

유경준 (2007).소득불평등 개념과 실태.한국노동경제학회,30,103-138.

28.

유종일,하준경 (2006).한국경제의 양극화와 지속가능한 성장.한국응용경제학회,8(2),79-103.

29.

이성용,방하남 (2009).성-연령별 중-고령 노동자의 취업 양극화 분석.한국노년학회,29(2),593-610.

30.

장미혜 (2002).사회계급의 문화적 재생산:대학 간 위계서열에 따른 부모의 계급구성의 차이.한국사회학,36(4),223-251.

31.

정태연 (2010).한국사회의 집단주의적 성격에대한 역사문화적 분석.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24(3),53-76.

32.

조혜자,방희정 (1998).사회 경제적 변화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한국심리학회지:사회,3(1),1-15.

33.

최석만,국민호,박태진,한규석 (1990).한국에서의 진보․보수적 태도의 구조와 유형에관한 연구.한국사회학,24,83-102.

34.

한덕웅 (1994).한국 사회 문제에 대한 국민의지각,한국심리학회:문화 및 사회문제,1(1),20-53.

35.

홍성민 (2000).문화와 아비투스:부르디외와 유럽정치사상.나남.

36.

KNN보도 (2013.3.14).교육헌장:교육비 양극화 심각.

37.

Bartels, L. M. (2008). Unequal Democracy: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New Gilded Age. Princeton, NJ, Priceton University Press.

38.

Garand, J. C., Lemieux, S. Q. (2008). Income Inequality, party Polarization and Roll-Call Voting in the U. S. Senate. Paper presented at the South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New Orleans, LA.

39.

Gelman, A. (2008). Red state, Blue state, Rich State, Poor State. Prinseton, NJ: Prinseton University Press.

40.

Gilen, M. (2005). Inequality and Democratic Responsiveness. Public Opinion Quarterly 69(5), 778-796.

41.

Huber. J. D., and Stanig. P. (2007). Why do poor support right-wing parties? A cross- national Analysis. RSF Inequality Conference, UCLA.

42.

KLuegel, J. R., and Smith, E. R. (1986). Beliefs about inequality: American’s views of what is and What ought be. New YOrk: Aldine de Gruyter.

43.

Ladewig, J. W., Best, S. J., and Robert, B. (2009). Income Inquality and Ideological Positions in the U. S. Congress. APSA 2009 toronto meeting paper.

44.

Levitan, T. E., and Miller, W. E. (1979). Ideological Interpretation of Presidential Elections. American Political Sience Review 73, 751-771.

45.

Lipset, S. M., Lazarsfeld, P. F., Barton, A, H., Linz, J. (1954). The Psychology of Voting: an Analysis of Political Behavior. In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ed. Garder Lindzey. Cambridge, MA: Addison-Wesley, 1124-1175.

46.

McCarty, N., Poole, K. T., and Rosental, H. (2006). Polarized america: the Dance of Ideology and Unequal Riches. Cambridge, MA: the MIT press.

47.

McClosky, H,, and Bann, C. A. (1979). On the reappraisal of the classical conservatism scale. Political Methodology, 6, 149-172.

48.

McClosky, H. and Zaller, L. (1984). The American etho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9.

Romano, R. (1975). Views on Capitalism, Encino. California: Glenco.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