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분석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between Self-directedness,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and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4, v.20 no.4, pp.443-467
강명숙 (한서대학교)
방은령 (한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 6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몰입과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으로 밝혀졌으나, 자기주도성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성은 학습몰입과 진로결정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효능감과 학습몰입은 자기주도성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으로써 자기주도성이 진로탐색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간접효과(specific indirect effect)의 크기를 검토하였을 때, 자기주도성의 간접효과는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하는 경로가 학습몰입을 매개하는 경로보다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keywords
self-directedness,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hantom variables,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 진로탐색행동, 팬텀변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causal model between self-directedness,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and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604 undergraduate stud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flow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However, self-directedness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direct impacts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econd, self-directedness was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s on learning flow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inally, learning flow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perfec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onsidering the size of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flow was relatively larger than thos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to increas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ere made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self-directedness,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exploration behavior, phantom variables,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 진로탐색행동, 팬텀변수

참고문헌

1.

고미나, 박재황 (2012). 대학생의 내․외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년차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5(2), 81-100.

2.

권성연, 강명희 (2003).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의 규명. 교육학연구, 41(3), 239- 273.

3.

김선중 (2005).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성남 (2005). 전문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아영 (2004).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연구, 16(1), 1-38.

6.

김아영 (2008).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111-134.

7.

김아영, 탁하얀, 이채희 (2010). 성인용 학습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4(1), 29-59.

8.

김영빈 (2012). 고등학생의 학습몰입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0.

김지근, 이기학 (2011).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결정에의 몰입의 모형 검증: 자기성장주도성과 환경에 대한 진로탐색행동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을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2(1), 81-97.

11.

김진아, 박병기 (2013). 학습몰입과정의 이론 개발 및 확인: 근거이론과 구조방정식모형의 순차적 혼합연구. 교육심리연구, 27(1), 241-262.

12.

김창대 (2002). 몰입 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 모형. 청소년상담연구, 10(1), 5-30.

13.

김혜주 (2007).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몰입경험이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혜주, 도승이 (2009).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전공수업 중 몰입경험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1(2), 85-99.

15.

노연희, 장재윤 (2005). 대학졸업자들의 진로미결정 및 직업탐색행동이 개인-직무 적합과 개인-조직 적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4), 23-43.

16.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7.

문승태, 박미하, 양복만 (2012).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5(3), 39-60.

18.

박고운, 이기학 (2007). 진로결정 자율성 수준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409-422.

19.

박주연 (2013). 자기주도학습, 창의성,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배병렬 (201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21.

석임복, 강이철 (2008).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몰입척도의 다차원적, 위계적 요인모델 검증. 교육공학연구, 24(3), 187-208.

22.

성현우 (2010). 평생학습자의 교육과정에 따른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진로태도성숙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송현아, 유순화, 윤경미 (2010). 청소년학연구. 17(11), 263-288.

24.

오현숙 (2008).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전망, 영역별 삶의 목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4), 19-37.

25.

유귀옥 (1997).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 심리적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득연 (2004).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관계-진로결정 수준별 공변량구조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이민희, 정태연 (2008).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 경로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77-99.

28.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연구보고서 No. 2003-15-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9.

이숙정 (2011).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2), 235-253.

30.

이은주 (2001).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5(3), 199-216.

31.

이은진 (2001). 다재다능한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이재신 (2009). 고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77-295.

33.

이제경, 선혜연, 김선경 (2012).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고민 내용 및 원인과 결과. 아시아교육연구, 13(2), 1-24.

34.

이종찬 (2013).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지영, 장재윤, 김명언 (2005). 대학 4년생들의 진로미결정,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 성과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1), 1-23.

36.

이지혜 (2010).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이태정 (2004). 몰입경험이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이화선 (2010). 학습플로우경험의 증진방안 연구: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과 플로우 채널 탐색을 기반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장은영 (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자아분화,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진로탐색행동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장태원, 홍아정 (2011).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흡수능력과 정서적 몰입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2(2), 17-34.

41.

장필식 (2012). 몰입경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인터넷 중독이 웹기반 컴퓨터교육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10(1), 293-300.

42.

정미예 (2007). 대학생의 진로장애 지각, 진로신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발달의 구조적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정미예, 이건모 (2009).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예측모형. 청소년학연구, 16(10), 125-147.

44.

정은희 (2013).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재희 (2006). 특성화고 학생의 몰입특성과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규판, 장은영 (2010). 대학생의 내․외 동기, 전공몰입, 지연행동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3(4),211-227

47.

조윤형, 정진철, 문 명 (2013). 개인-학교, 개인-전공 적합성과 취업가능성,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멘토링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6(3), 749-780.

48.

주영주, 임영욱, 손현수 (2010).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과제가치의 학습몰입, 교과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예측. 직업능력개발연구, 13(3), 101-122.

49.

천경희, 박은아, 송영명 (2011). 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0(4), 161-177.

50.

최동선 (2003).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 요인 및 애착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허갑수, 변상우 (2012). 셀프리더십이 목표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경영정보연구, 31(1), 23-44.

52.

허원무 (2013). 매개효과 분석방법의 최근 트랜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단순. 다중, 이중매개효과 분석방법. 한국비지니스리뷰, 6(3), 43-59.

53.

현영섭 (2010). 경력정체와 경력계획 간의 관계에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HRD연구, 12(2), 45-65.

54.

홍세희 (2010). 구조방정식 모형: 중급.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시리즈8. S & M 리서치그룹.

55.

Anderson, J. C.,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41-423.

56.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57.

Bandura, A. (1999).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이론적 기초와 발달적 분석. (김의철․박영신․양계민 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1997년 원저발간)

58.

Bassi, M., & Delle Fave, M. (2011). Optimal experience self-determination at school: Joining perspectives. Motiv Emot 36, 425-438.

59.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246.

60.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61.

Betz, N. E. & Voyten, K. K., (1997).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6, 179-189.

62.

Blustein, D. L.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processes and career explo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2, 345-357.

63.

Blustein, D. L. (1989).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5, 194-203.

64.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65.

Ceja, L., & Navarro, J. (2009). Dynamics of flow: A nonlinear perspective. J Happiness Study, 10, 665-684. DOI 10.1007/s10902-008-9113-6.

66.

Csikszentmihalyi, M. (2004). Flow.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1990 원저발간).

67.

Csikszentmihalyi, M. (2007). Finding Flow. 몰입의 즐거움. (이희재 역). 서울: 해냄. (1997 원저발간).

68.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 Scale: Self 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 109-134.

69.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70.

Flum, H., & Blustein, D. L. (2000). Reinvigorating the study of vocational exploration: A framework for resear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6, 380-404.

71.

Garrison, R. D. (1992). Crit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adult education: An analysis of responsibility and control issues. Adult Education Quarterly, 42(3), 136-148.

72.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73.

Hektner, J. M. (1996). Exploring optimal personality development.: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74.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75.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ew York, NY: Association Press.

76.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 79-122.

77.

Merriam, S. B., & Caffarella, R. S. (2007). Learning in adulthood (3r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78.

Moneta, G., & Csikszentmihalyi, M. (1996). The effect of perceived challenges and skills on the quality of subjective experience. Journal of Personality, 64, 275-310.

79.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 (2002). The concept of flow. In Snyder, C. R., & Lopez, S. J.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89-10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80.

Oddi, L. F. (198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2), 10-21.

81.

Saks, A. M., & Ashforth, B. B. (1999).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job search behaviors on the employment status of resent university graduat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335-349.

82.

Savickas, M. L., Nota, L., Rossie, J., Dauwalder, J. P., Duarte, M. E., Guichard, J., ... van Vianen, A. E. (2009). Life Designing: A paradigm for career construction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5, 239-250.

83.

Stockdale, S. L., & Brockett, R. G. (2011). Development of the PRO-SDLS: A measure of self-direction in learning based on the personal responsibility orientation model. Adult Education Quarterly, 61(2), 161-180.

84.

Tucker, L. R., & Lewis, C. (1973).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 1-10.

85.

West, R. F., & Bentley, E. L. (1990). Structural analysi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confirmatory analysis using LISREL modeling. In H. B. Long & associates (Eds.), Advances in research and practice in self-directed learning (pp. 157-180). Norman, OK: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