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형성에 대한 연구: 정서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및 직무성취도의 영향

A study on the formation of worker’s job-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support, resiliency of self-efficacy, stress and job-performanc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4, v.20 no.4, pp.469-491
박영신 (인하대학교)
이경란 (인하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 동료의 정서적 지원, 직장인의 어려움극복효능감과 스트레스 및 직무성취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최종분석대상은 456명이었으며, 그 중에 중소기업 회사원이 253명(남 89명, 여 164명), 중학교 교사가 203명(남 44명, 여 159명)이었다. 측정변인의 신뢰도는 Cronbach α=.83∼.91로 양호하였다. 회사원과 교사 집단 각각을 대상으로 경로분석과 효과분석을 하였을 때, 변인들간의 관계 구조가 유사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직장 동료의 정서적 지원은 직장인의 어려움극복효능감을 증진시키고, 향상된 어려움극복효능감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직무성취도를 향상시켰다. 결과적으로 높은 어려움극복효능감과 낮은 스트레스와 높은 직무성취도는 직장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의미있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효과분석 결과에 의하면, 어려움극복효능감이 직장인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정적인 값의 전체효과가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직무성취도, 정서적 지원의 순서로 의미있는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변인들과 달리, 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대해 부적인 효과를 보였다.

keywords
Job-satisfaction, resiliency of self-efficacy, job-performance, emotional support, stress, 직무만족도, 어려움극복효능감, 직무성취도, 정서적 지원, 스트레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n worker’s job-satisfaction analyzing the influence of emotional support from fellow workers, resiliency of self-efficacy, stress and job- performance. A total of 456 complet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small business workers 253 (male 89, female 164) and middle school teachers 203 (male 44, female 159). The questionnaire showed relatively high reliability, with Cronbach α ranging from .83 to .91.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nd effect analysis showed very similar pattern in the group of small business workers and middle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path analysis, emotional support from fellow work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orkers resiliency of self-efficacy. Consequently, the enhanced resiliency of self-efficacy increased the job-performance, however decreased the stress,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increase the job-satisfaction significantly. Based on the effect analysis, resiliency of self-efficacy showed the most big size of positive total effect to worker’s job-satisfaction, followed by job-performance and emotional support. On the other hand, stress showed negative effect on job-satisfaction.

keywords
Job-satisfaction, resiliency of self-efficacy, job-performance, emotional support, stress, 직무만족도, 어려움극복효능감, 직무성취도, 정서적 지원, 스트레스

참고문헌

1.

고득영, 유태용 (2012). 직무자율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성격과 조직혁신풍토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1), 215-238.

2.

김의철, 박영신 (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 ~142.

3.

김의철, 박영신, 김의연, Tsuda, A., & Horiuchi. S. (2010).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2), 특집호, 197-219.

4.

김의철, 박영신, 박선영 (2012).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행복과 행복의 조건 및 불행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인간발달연구, 19(2), 197-225.

5.

노연희, 김명언 (2010). 기술활용도 측면의 불완전고용이 재취업자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일에 대한 몰입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3), 355-383.

6.

박영균, 박영신, 김의철 (2010). 한국 청소년과 부모 세대간 심리특성 차이 분석: 생활목표, 가족관련 가치, 학업기대,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1(4), 79- 113.

7.

박영신, 김의철 (2008). 배우자의 사회적 지원, 자녀에 대한 신뢰 및 자기효능감이 성인의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4), 71-101.

8.

박영신, 김의철 (2009a).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특집호, 95-132.

9.

박영신, 김의철 (2009b).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3), 399-429.

10.

박영신, 김의철 (2011). 중년기 성인 남녀의 행복 형성 요인: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1), 65-108.

11.

박영신, 김의철, 박선영 (2013). 성인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가정,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0(2), 153- 184.

12.

박영신, 김의철, 박은실 (2009). 사회적 지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성취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교사에 대한 단기 종단분석. 교육심리연구, 23(3), 491-520.

13.

박영신, 김의철, 안자영, 이임순 (2014). 자녀가 지각한 효도의 구성개념과 형성: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부모관계효능감이 자녀의 효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8(3), 421-454.

14.

박영신, Tsuda, A., 김의철, 한기혜, 김의연, Horiuchi, S. (2009).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분석: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28.

15.

박형인, 박영아, 김제인, 허태균 (2011).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회복경험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3), 523-552.

16.

백지애, 최수찬 (2006). 남성 주말부부 근로자의 가족역할갈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4), 617-639.

17.

서정민 (2012). R&D 연구원의 완벽주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2), 261-278.

18.

신성자, 미칠도칠 오통도람 (2012). 재한 몽골 합법, 불법 이주노동자들의 직업만족도, 사회적지지, 희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매개효과와 체류자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4), 435-462.

19.

양병화, 황혜연, 오세진, 이재일 (2001). 비정규 계약직 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4(2), 73-93.

20.

이은희 (2001). 유교적 근로가치가 직무관여, 직무만족 및 조직물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4(1), 1-25.

21.

이현아, 이기학 (2009).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 102.

22.

한성열, 허태균, 김동직, 채정민 (2001). 스트레스상황 특성에 따른 적응적인 대처양식: 대처양식의 유연성 제안.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2), 123-143.

23.

Bandura (1995). Manual for the construction of self-efficacy scales. Unpublished manuscript, Dept. of Psychology, Stanford University, USA.

24.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25.

Chwalisz, K. D., Altmaier, E. M., & Russell, D. W. (1992). Causal attributions, self-efficacy cognitions, and coping with stres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1, 377-400.

26.

Earley, P. C. (1993). East meets West meets Mideast: Further explorations of collectivistic and individualistic work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 319-348.

27.

Fava, J. L., Ruggiero, L., Grimley, D. M. (1998). The development and structural confirmation of the Rhode Island Stress and Coping Inventor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6), 601-611.

28.

Leiter, M. P. (1991). Coping patterns as predictors of burnout: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ur, 12, 123-144.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