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한국인 우울 연구를 위한 문화심리학적 고찰과 제언

A Review and Suggestion for Korean Depression study from perspective of Cultural Psycholog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5, v.21 no.2, pp.205-225
채정민 (서울사이버대학교)
이순묵 (성균관대학교)
김종남 (서울여자대학교)
최승원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에 적합한 우울 연구를 위해서는 문화심리학적 관점이 필요한데, 그동안 이 관점이 부족했다는 인식 하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3가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문화에서 우울과 관련된 용어의 등장 시기와 그 의미를 분석했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해 우울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문화심리학적 관점들을 검토하였다. 셋째,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한국에서 우울에 대해 문화심리학적으로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지에 대해 방안을 모색했다. 연구 결과, 첫째, 조선왕조실록과 한의학 교과서, 그리고 조선총독부의 자료에 대해 분석하여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우울이라는 말은 사용되지 않았고, 우울과 유사한 의미를 지닌 용어인 울읍(鬱悒), 광증(狂症)이나 전광(癲狂)이 적어도 조선 세종조 때부터 사용되어 왔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우울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시점은 해방 이후인데,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편람(DSM)이 본격적으로 일본을 거쳐 한국에 도입된 이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우울에 대해 적절한 문화심리학적 관점은, 절대적 관점은 배제하고 보편적 관점과 상대적 관점을 절충하는 방안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국에서 우울은 한(恨)과는 공유하는 점이 적은 반면, 홧병과는 공유하는 점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향후 국내에서 우울에 대한 연구는 보편적 관점에서 다루는 에틱적(etic) 요소와 문화상대적 관점에서 다루는 에믹적(emic) 요소를 종합적으로 적용한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psychology, depression, culture, history, Chosun-Wang-Jo-Silok, 심리, 우울, 문화, 역사, 조선왕조실록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to fine a way to illuminate the direction of depression study suitable to Korean culture. To do so, it is found that from when we started to use the term of ‘depression’ and how we Koreans conceptualize depression. And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to psychopathology including depression are reviewed.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ways to study depression with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sychology are suggested. Specifically speaking, at the first, it is found that the term of depression has not been used before colonialized times by Japan, but terms of ‘Ul-Uep’, ‘Kwang-Zeung’, and ‘Jun-Kwanng’ are used from at least times of King SeJong. Term of depression was actually used after liberation from Japan and spread after introduction of DSM to Korea via Japan. Second, the way to compromise universalist and relativist perspectives is recommended and the perspective of absolutist is not recommended. Lastly, in Korea depression shares with ‘HwaByung’ in some area, but not with ‘Han’. In conclusion, it is desirable to combine etic factors(universal perspective) and emic factors(culture-relative perspective) to study depression suitable for Korean culture.

keywords
psychology, depression, culture, history, Chosun-Wang-Jo-Silok, 심리, 우울, 문화, 역사, 조선왕조실록

참고문헌

1.

강여훈 (2005). 일본인에 의한 조선어 번역: 히노아시헤이의『보리와 兵丁』을 중심으로. 한국일본학연합회 제3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132-135.

2.

권정혜, 김종우, 박동건, 이민수, 민성길, 권호인 (2008). 화병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237-252.

3.

김광일 (1992). 한국인의 우울증: 문화정신의학적 고찰. 정신건강, 11, 21-50.

4.

김동노 (2004). 식민지시기 일상생활의 근대성과 식민지성.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연세국학총서 36: 일제의 식민지지배와 일상생활(서울: 혜안).

5.

김설환, 손정락 (2010).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189-204.

6.

김영현 (1982). 우울증환자의 체온 및 뇨중 17-Ketosteroid 배설의 Circadian Rhythms. 전북의대논문집, 6(1), 89-93.

7.

김용운 (1986). 일본인과 한국인의 의식구조. 한길사(pp. 106-119).

8.

김종우, 권정혜, 이민수, 박동건 (2004). 화병면담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321-331.

9.

도복늠 (1966). 우울증 환자의 간호: 1965년초부터 1966년 11월 초까지 경북의대 부속 병원 정신 신경과. 대한간호, 5(6), 52-62.

10.

문세영 (1938). 국어대사전. 조선어사전간행회.

11.

문세영 (1954). 국어대사전 수정증보판. 조선어사전간행회.

12.

민성길 (1991). 홧병과 한. 대한의학협회지, 34, 1189-1198.

13.

민성길, 이만홍, 강홍조, 이호영 (1987). 홧병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의학협회지, 30(2), 187-197.

14.

민성길, 이만홍, 신정호, 박묵희, 김만권, 이호영 (1986). 홧병에 대한 진단적 연구. 대한의학협회지, 29(6), 653-661.

15.

박지환, 민성길, 이만홍 (1997). 홧병에 대한 진단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6(3), 496-502.

16.

신동균 (1968). Rorschach 반응내용분석에 의한 불안신경증 환자와 신경증적 우울증환자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1), 26-28.

17.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1991). 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들의 자살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86-297.

18.

이광준 (2002). 한방임상심리학적 접근. 학문사.

19.

이무영 (1940). 회고(回顧)도 우울(憂鬱)한가. 문장, 2(2), 16-17.

20.

이민수 (2013). 최근 우울증의 현황 및 진단. 병원약사회지, 30(6), 505-511.

21.

이방현 (2013). 식민지 조선에서의 정신병자에 대한 근대적 접근. 의사학, 22(2), 529-578.

22.

이어령 (1978). 한국인 재발견. 교학사.

23.

임동규 (2011). 한의신경정신과학(증보판). 집문당.

24.

정근식 (2007). 구한말 일본인의 조선어교육과 통역경찰의 형성. 한국문학연구, 32, 7-55.

25.

정대현 (1987). 한국어와 철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pp. 69-83).

26.

조맹제 (2011).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7.

조선왕조실록 (2014. 07. 01 방문).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28.

조선총독부 (1920). 조선어사전. 조선총독부.

29.

최민경, 서혜희 (2014). MMPI-II와 로샤검사에서 나타나는 신체화 장애와 홧병장애 환자의 분노표현 양상. 심리치료학회지, 6(1), 75-90.

30.

한귀영 (1997). 근대적 사회사업과 권력의 시선. 김진균, 정근식 편,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서울: 문화과학사, 1997).

31.

한글학회 (1947). 표준조선말사전. 을유문화사.

32.

한글학회 (1958). 표준조선말중사전. 을유문화사.

33.

황호덕 (2010). 번역가의 왼손, 이중어사전의 통국가적 생산과 유통: 언어정리 사업으로 본 근대 한국(어문)학의 생성. 상허학보, 28, 93-145.

34.

Beardsley, L. M. (1994).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across cultures. In W. J. Lonner & R. S. Malpass (Eds.), Psychology and culture (pp.279-284). Boston: Allyn and Bacon.

35.

Compton, W., Helzer, J., Hwu, H., Yeh, E., McEvoy, L, Tipp, J., & Spitznagel, E. (1991) New methods in cross-cultural psychiatry: psychiatric illness in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8, 1697-1704.

36.

Gerrig, R. J. (2013). Psychology and life. NJ: Pearson Education, Inc.

37.

Kessler, R. C., Berglund, P., Demler, O., Jin, R., Merikangas, K. R., & Walters, E. E. (2005). Lifetime prevalence and age-of-onset distributions of DSM-Ⅳ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 593-602.

38.

Marsella, A. J., & Yamada, A. M. (2007). culture and psychopathology: Foundations, issues, and directions. In S. Kitayama & D. Cohen(Ed.), Handbook of cultural psychology(pp.797-818). NY, NY: The Guilford Press.

39.

Kleinman, A. (1977). Depression, somatization, and the “new cross-cultural psychiatr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1, 3-9.

40.

Kleinman, A. (1980). Patients and healers in the context of cultur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Lee, S., & Wong, K. C. (1995). Rethinking neurasthenia: The illness concepts of shenjing shuairuo among Chinese undergraduates in Hong Kong.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19(1), 91-111.

42.

Lin, T. Y. (1985). Mental disorders and psychiatry in Chinese cultures: Characteristic features and major issues. In W-S. Tseng & D. Y. H. Wu(Eds.), Chinese culture and mental health (pp.369-393). Orlando, FL: Academic.

43.

Lloyd, K. R., Jacob, K. S., Patel, V., St Louis, L., Bhugra, D., & Mann, A. H. (1998). The development of the Short Explanatory Model Interview(SEMI) and its use among primary-care attenders with common mental disorders. Psychological medicine, 28(05), 1231- 1237.

44.

Marsella, A. (1980). Depressive experience and disorder across cultures. In H. Triandis & J. Draguns, (Eds.),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V.(Psychopathology). Boston: Allyn and Bacon.

45.

Nakane, Y., Ohta, Y., Uchino, J., Takada, K., Yan, H. Q., Wang, X. D., Min, S. K., & Lee, H. Y. (1988). Comparative study of affective disorders in three Asian countries: I. Differences in diagnostic classification.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78, 698-705.

46.

Pfeiffer, W. (1994). Transkulturelle psychiatrie, 2nd ed. Stuttgart, Germany: Thieme.

47.

Schulz, K. (2004). Did Antidepressants Depress Japan?. New York Times Magazine (Published: August 22, 2004). Retrieved 20th October, 2007 from: http://www.nytimes.com/ 2004/08/22/mag azine/22DEPRESS.html?ex= 1250913600&en=cbf6990f7aecfcc7&ei=5090&partner=rssuserland&pagewanted=all.

48.

The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1980). The epidemiological catchment area survey.

49.

Weiss M. G. (1997). Explanatory Model Interview Catalogue (EMIC): framework for comparative study of illness. Transcult Psychiatry, 34, 235-63.

50.

Weiss, M. G., Doongaji, D. R., Siddhartha, S., Wypij, D., Pathare, S., Bhatawdekar, M., Bhave, A., Sheth, A., & Fernandes, R. (1992). The Explanatory Model Interview Catalogue (EMIC). Contribution to cross-cultural research methods from a study of leprosy and mental health.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0, 819-30.

51.

Wiktionary日本語版. http://www.weblio.jp/ content/ %E6%86%82%E9%AC%B1(방문일: 2014. 11. 01).

52.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3). Depressive disorders in different cultures. Report of the WHO collaborative study of standardized assessment of Depressive disorders. Geneva: WHO.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