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Child Abuse Experience, perception of the Cause of the Child Abuse and Need for counseling among Day Care Center Teacher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5, v.21 no.2, pp.227-252
이경숙 (한신대학교)
박진아 (세원영유아아동상담센터)
최명희 (신구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전국 보육교사 514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관련 경험, 아동학대 목격 시 대처방안,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및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상담 관련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 중 92명(17.9%)이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목격한 경험이 있었으며, 목격 후 대처방안으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학대 받은 영유아에게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대해주었다’, 원장의 경우,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유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보육은 담당교사의 권한이므로 간섭할 수 없어서’, 원장 학대의 경우 ‘신고 후 부과될 책임이나 역할이 부담스러워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발생 원인은 직무스트레스, 과다한 업무, 보육교사 정신건강 문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사례 판정 시, 필요한 후속조치로 보육교사의 경우 ‘교사 자격정지’, 영유아 및 부모의 경우 ‘영유아 대상 심리평가 실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 상담 기관이 신설된다면, 보육교사 중 457명(88.9%)이 사용할 의사가 있으며 본인의 아동학대 신고의사 결정 및 아동학대 예방과 개입에 도움이 될 것이고, 설치 장소로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상담실’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보육교사 중 490명(95.3%)이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상담요원(영유아발달상담전문요원)이 필요하며, 담당 역할은 ‘영유아 대상 전문적 심리평가 및 사례판정’, 자격요건으로는 대졸이상, 심리학 및 아동학 전공, 3년-5년 경력, 자격증 보유를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아동학대 관련 교육 및 전문적 상담 실시’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keywords
어린이집, 아동학대, 보육교사, 아동학대 예방 및 상담, 요구도, Child Abuse, preschooler, day care center teacher, mental health, counseling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child abuse experience, response to child abuse, perception of the cause of child abuse, and need for counseling to prevent and eliminate child abuse among 514 day care center teachers across the country. First, 17.9% (92) of the teachers had experience of witnessing child abuse at day care centers. After such witness, the teachers mostly “paid attention to abused children and provided them with warm treatment” when they were abused by other teachers and “took no actions” when they were abused by directors of the day care centers. The biggest reason of not taking any actions was: they “had no authority to intervene in child care of other teachers” in case of child abuse by other teachers and “were afraid of responsibilities or roles that could be placed on them after reporting” in case of child abuse by day care center directors. Second, the biggest reason of child abuse by teachers was job stress followed by excessive work and mental health of teachers. Third, necessary actions when child abuse cases were found and confirmed were suspension of involved teachers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for involved children and parents. Fourth, 88.9% (457)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use an organization specialized in child abuse if such organization was built and that the organization would help them to decide on whether to report child abuse and prevention of and intervention in child abuse. They also said that such organization should be installed in the Counseling Center in the Comprehensive Child Care Support Center. Fifth, 95.3% (490) of the teachers answered professional counselors specialized in development and counseling of infants and toddlers were needed to address child abuse at day care centers. They demanded that such counselors should be able to administer psychological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and assess child abuse cases. Qualification of the counselors was at least college graduates who majored in psychology and child care, three to five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and appropriate certificates or licenses. Finally, the teachers said that training and professional counseling about child abuse were required to prevent and eliminate child abuse at day care centers.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vided and suggested based on these findings.

keywords
어린이집, 아동학대, 보육교사, 아동학대 예방 및 상담, 요구도, Child Abuse, preschooler, day care center teacher, mental health, counseling

참고문헌

1.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이상규, 이민규 (2007). 한국판 아동용 외상 후 반응 척도(K-CRTE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3), 667-675.

2.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15(4), 93-113.

3.

김세진, 김교헌 (2005). 아동의 외상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분노 반응에 미치는 효과: 적대감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1), 47-65.

4.

내외뉴스 (2015.3.17.). 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 안전사고 제로 인증사업 전국실시.

5.

노컷뉴스 (2015.3.2.). 경찰 법석떤 아동학대 전수조사, 결과는 ‘초라’

6.

동아일보 (2013.6.12). 보채는 아이 18명 혼자 감당. “통제 안 돼 나도 모르게 학대”

7.

동아일보 (2015.2.6.). 어린이집 바늘 학대 피해아동 6명으로 늘어 “착한 바늘로 불려왔다.”

8.

베이비뉴스 (2013.11.25). 잔혹했던 1월, 아동학대 특례법 추진해야.

9.

보건복지부 (2013). 영유아 돌봄기관의 영유아 학대 근절 및 예방을 위한 상담 서비스 체계 구축.

10.

보건복지부 (2013.5.4). 어린이집 아동학대 방지대책 마련.

11.

보건복지부 (2013.8.29). 아동학대 어린이집 최대 시설폐쇄 가능해진다. 보도참고자료.

12.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2). 2011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13.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4). 2013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14.

새누리당안심보육정책토론회 (2015.2.11.). 안심보육정책 토론회 자료집.

15.

소비자경제신문 (2015.3.18.). 서울시, ‘어린이집 아동폭행’ 근본 해결 위해 나섰다.

16.

신혜영, 이은해 (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05-121.

17.

이경숙, 박진아, 오은정 (2008). 피학대 아동의 가족에 대한 정신적 표상: 성, 연령 및 학대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3), 1-19.

18.

이무영, 박상희, 문수경 (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2), 277-294.

19.

인천시청 (2015.3.11.). 인천시, 어린이집 아동학대 근절 특별대책 적극 추진.

20.

정명선 (2014).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147-166.

21.

조선일보 (2015.1.30.). 핵펀치 보육교사 이어 수원 0 어림이집 핵 이빨 원장, “2세 남아 물어뜯어”

22.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3.4.11). 2013년 1/4분기 아동학대현황.

23.

프레시안 뉴스 (2015.2.16.). 어린이집 원장님은 신이에요. 신.

24.

프레시안 뉴스 (2015.3.11.). 돌 안된 아이 셋이 울면, 교사 1명이 어떻게 하죠?

25.

프레시안 뉴스 (2015.3.19.). 자격 없는 대표가 36개 운영. 어린이집이 치킨집?

26.

프레시안 뉴스 (2015.3.9.). 우리가 왜 괴물이 되었을까요.

2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감정노동의 직업별 실태. KRIVET Issue Brief, 26.

28.

한세영, 김영희, 김연화 (2007). 교사의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10(2), 53-67.

29.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2).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313-335.

30.

Korfmacher, J. (2000). The Kempe Family Stress Inventory: a review. Child Abuse Neglect, 24(1), 129-40.

31.

MBC 시사매거진 2580. (2013.9.8.). 어린이집에서 어떤 일이.

32.

Nanni, V, Uher, R,, & Danese, A. (2012). Childhood maltreatment predicts unfavorable course of illness and treatment outcome in depression: a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9, 141-151.

33.

Rich-Edwards, J. W,, Spiegelman, D,, Lividoti, Hibert, E. N,, Jun, H. J,, Todd, T. J,, & Kawachi, I. (2010). Abus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s a predictor of type 2 diabetes in adult wome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9, 529-536.

34.

Saperia, J., Lakhanpaul, M., Kemp, A., & Glaser, D. (2009). Guideline Development Group and Technical Team. When to suspect child maltreatment: summary of NICE guidance. BMJ. 22, 339.

35.

SBS 뉴스 (2015.1.13.). 인천 어린이집, 원생 머리 강하게 내리쳐.. ‘CCTV 영상’ 화들짝.

36.

SBS 뉴스 (2015.3.14.). 인천 어린이집 학대 후 두달, 아이들은 지금.

37.

SBS 뉴스 (2015.3.25.). 울산 어린이집 화재. 보육교사 신속한 조치로 ‘원생 모두 구조’.

38.

Surtees, P. G., Wainwright, N. W., Pooley K. A., Luben, R. N., Khaw, K. T., Easton, D. F., & Dunning, A. M. (2011). Life stress, emotional health, and mean telomere length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EPIC)-Norfolk population study.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6(11), 1152-1162.

3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Administration on Children, Youth and Families, Children's Bureau(2008). National Incidence Study of Child Abuse and Neglect..

40.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Administration on Children, Youth and Families, Children's Bureau (2012). National Incidence Study of Child Abuse and Neglec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