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한국 다문화 가정 부모자녀 간 한국어 및 계승어 유창성의 일치도가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National or Ethnic Language Fluency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5, v.21 no.4, pp.649-669
박지수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고유진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한윤선 (성균관대학교)

초록

국제결혼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한국 내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은 다양한 사회․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관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관계의 질이 다문화 가정 자녀의 사회적응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라고 보았고, 한 가정 내에 한국어 및 계승어 두 가지 언어가 공존하는 한국 다문화 가정의 특성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인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계승어 유창성 일치도와 외국인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한국어 유창성 일치도에 따라 부모관계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청소년 자녀 데이터와 그들의 부모 데이터를 병합하여 총 4314명의 청소년 데이터를 다층선형회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부모자녀 간 한국어와 계승어 유창성 일치도는 부모관계 만족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 한국어나 계승어를 모두 유창하게 하는 집단, 청소년과 부모 중 한쪽만 유창하게 하는 집단, 둘 다 유창하지 않은 집단 순으로 부모관계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내의 건강한 가족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 정책에 대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다문화 가정, 다문화청소년, 언어 유창성, 부모자녀 관계, 계승어, Korean immigrant youth, language proficiency, ethnic language us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multicultural family

Abstract

Korea has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grows, identifying factors that facilitate family adjustment seems importan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ren can be a crucial predictor in family adjustment.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oncordance/ discordance in language fluency affects youth's satisfaction towards their parents. This research employed the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NSMF) using 9 to 24 year-old multicultural youth’(N=4314) data and that of their parents. Since some youth were from the same family, we used Multilevel Models to take into account youth-level data (level-1) and family-level data (level-2).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cordance/discordance in both national and ethnic language fluency i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youth. Second, youth’s satisfaction toward parents is highest when foreign parent and youth are fluent in Korean, as well as, when Korean parent and youth are fluent in ethnic languages. These findings can suggest directions for Korean multicultural policy to encourage fluency in both Korean and ethnic languages in multicultural families.

keywords
다문화 가정, 다문화청소년, 언어 유창성, 부모자녀 관계, 계승어, Korean immigrant youth, language proficiency, ethnic language us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multicultural family

참고문헌

1.

김경우. (2012). 한국 다문화가정 실태와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9(2), 31-60.

2.

김민정. (2008).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인류학; 국제결혼 가족과 자녀의 성장. “여러 종류”의 한국인이 가족으로 살아가기. 한국문화인류학, 41(1), 51-89.

3.

김선정. (2010). 다문화가정 자녀 실태 및 다문화교육의 추진 방향. 외국어교육연구, 24(1), 21-46.

4.

김연수, 곽금주. (2010). 영아기 어머니의 언어적 반응성 및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아동 초기 언어능력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7(1), 191-207.

5.

김영란. (2015). 다문화사회. 한국인간발달학회학술대회지, 10, 37-54.

6.

김이선, 정해숙, 이은아, 채수홍. (2010). 다문화가족의 언어․문화 사용 및 세대간 전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부모의 인간관계를 통해 본 신뢰의식: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2), 103-137.

8.

다문화가족지원법, 법률 제 12079호, (2014).

9.

문주희, 백지숙. (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가 학업효능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초기 청소년과 중기 청소년 비교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0(3), 39-50.

10.

박명숙, 송사리.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행경험과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3, 155-183.

11.

박현선, 이채원, 노연희, 이상균. (2012).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 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1), 365-388.

12.

성현란. (2011).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다문화 가정.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2), 219- 239.

13.

이선미, 천우영. (2013).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이 아동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2(1), 33-54.

14.

안전행정부 (2014). 다문화가족 관련 연도별 통계.

15.

전경숙, 정태연. (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5(1), 133-153.

16.

최운선. (2012). 한,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 민족 정체감, 차별경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7(2), 49-71.

17.

황상심, 정옥란. (2008).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아동들의 언어특성관련 상관 연구. 언어치료연구, 17(1), 81-102.

18.

허청아. (2014). 동남아출신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어머니나라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Arriagada, P. A. (2005). Family context and Spanish‐language use: A study of Latino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Social Science Quarterly, 86(3), 599-619.

20.

Buriel, R., Love, J. A., & De Ment, T. L. (2006). The relation of language brokering to depression and parent-child bonding among Latino adolescents. In Bornstein, M., & Cote, L. (Eds.), Accultur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Measurement and development (pp. 249-270). 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1.

Chao, R. K. (2006). The prevalence and consequences of adolescents' language brokering for their immigrant parents. In Bornstein, M., & Cote, L. (Eds.), Accultur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Measurement and development (pp. 271-296). 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2.

Choi, J. (2010). Educating Citizen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case of South Korea. The Social Studies, 101(4), 174-178.

23.

Chung, G. H., & Yoo, J. P. (2013). Using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adjustment among interethnic and interracial families in South Korea. Family Relations, 62(1), 241-253.

24.

Collins, D. W., Maydew, E. L., & Weiss, I. S. (1997). Changes in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and book values over the past forty year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24(1), 39-67.

25.

Collins, W. A., & Laursen, B. (2004). Changing relationships, changing youth interpersonal contexts of adolescent development.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4(1), 55-62.

26.

Dorner, L. M., Orellana, M. F., & Jiménez, R. (2008). “It's one of those things that you do to help the family”: Language brokering and the development of immigrant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23(5), 515-542.

27.

Eichelsheim, V. I., Buist, K. L., Deković, M., Wissink, I. B., Frijns, T., Van Lier, P. A., . . . Meeus, W. H. (2010). Associations among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aggression and delinquency in different ethnic groups: A replication across two Dutch sample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5(3), 293-300.

28.

Fillmore, L. W. (1991). When learning a second language means losing the firs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3), 323-346.

29.

Fillmore, L. W. (2000). Loss of family languages: Should educators be concerned? Theory Into Practice, 39(4), 203-210.

30.

Gorodzeisky, A., Sarid, O., Mirsky, J., & Slonim-Nevo, V. (2014). Immigrant families mothers’ and fathers’ proficiency in a host-country langu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daughters and son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5(5), 713-727.

31.

Hinton, L. (2001). Involuntary language loss among immigrants: Asian-American linguistic autobiographies. In Tan, A., & Alatis, J. (Eds.), Georgetown university round table on languages and linguistics 1999 (pp. 203-252).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32.

Hua, J. M., & Costigan, C. L. (2012). The familial context of adolescent language brokering within immigrant Chinese families in Canad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1(7), 894-906.

33.

Kang, H., & Lazarevic, V. (2013). Exploring adolescent-parent relationships in Asian American immigrant families: An ecological perspective.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3(2), 105-122.

34.

Kim, A. E. (2009). Global migration and South Korea: Foreign workers, foreign brides and the making of a multicultural society. Ethnic and Racial Studies, 32(1), 70-92.

35.

Lee, H., & Kim, K. (2000).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dolescents self-esteem, and soci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9(3), 283-295.

36.

Love, J. A., & Buriel, R. (2007). Language brokering, autonomy, parent-child bonding, biculturalism, and depression: A study of Mexican American adolescents from immigrant familie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29(4), 472-491.

37.

Martinez, C. R., McClure, H., & Eddy, J. (2009). Language brokering contexts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adjustment among Latino parents and adolescent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9(1), 71-98.

38.

Oh, J. S., & Fuligni, A. J. (2010). The role of heritage language development in the ethnic identity and family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Social Development, 19(1), 202-220.

39.

Okita, T. (2002). Invisible work: Bilingualism, language choice and childrearing in intermarried families,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40.

Portes, A., & Rumbaut, R. G. (2001). Legacies: The story of the immigrant second gener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Ranson, K. E., & Urichuk, L. J. (2008). The effect of parent–child attachment relationships on child biopsychosocial outcomes: a review.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8(2), 129-152.

42.

Raudenbush, S. W., & Bryk, A. S. (2002).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43.

Schlabach, S. (2013). The importance of family, race, and gender for multiracial adolescent well-being. Family Relations, 62(1), 154-174.

44.

Tseng, V., & Fuligni, A. J. (2000). Parent adolescent language use and relationships among immigrant families with East Asian, Filipino, and Latin American backgroun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2), 465-476.

45.

Weisskirch, R. S. (2007). Feelings about language brokering and family relations among Mexican American ear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7(4), 545-56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