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Adolescents in Korea: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6, v.22 no.1, pp.65-85
이택호 (성균관대학교)
이석영 (성균과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한윤선 (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교우관계와 다문화수용성, 그리고 교사관계와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데이터 중 2011~2013년에 조사한 중1패널 2차년도 데이터(중학교 2학년), 중1패널 3차년도 데이터(중학교 3학년), 중1패널 4차년도 데이터(고등학교 1학년)를 사용하였다(N=2,178). 종속변수를 다문화수용성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교우관계와 교사관계로 설정한 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다문화수용성의 수준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종단적 관계에서 교우관계는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친구와의 관계가 원활할수록 다문화수용성의 수준도 높아졌다. 셋째, 종단적 관계에서 교사관계는 다문화수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교사와의 관계가 좋아질수록 다문화수용성의 수준도 높아졌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횡단적 분석이 주를 이뤘던 이전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었고, 다문화수용성의 함양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교우관계, 교사관계, 다문화수용성, 잠재성장모형, physical education, gender, aggression,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longitudinal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second, third, and fourth wav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cohort (N=2,178) of the Korean Children-Youth Panel Survey (KCYPS). The dependent variable wa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The major longitudina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er relationships, teacher relationship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creased with time. Second, peer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ver time. Finally, the teacher relationship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ver time. These results show differentiation with previous cross-sectional studi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ultiva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keywords
교우관계, 교사관계, 다문화수용성, 잠재성장모형, physical education, gender, aggression,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

2.

김경근, 황여정 (2012). 초중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 39(1), 87-117.

3.

김경식, 이현철 (2010).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부모, 교사, 교우 관계와 학업성취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중등교육연구, 58(1), 203-225.

4.

김문수 (2014). 청소년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연향에 관한 연구: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4(2), 36-64.

5.

김미진 (2010).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미진, 정옥분 (2010).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人間發達硏究, 17(4), 69-88.

7.

김민성, 신택수, 허유성 (2012). 중고등학교 시기 교사-학생관계, 교우관계의 종단적 변화가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敎育心理硏究, 26(2), 429-459.

8.

김이선, 황정미, 이진영 (2007). 다민족ㆍ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Ⅰ) -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225.

9.

김종백, 김남희 (2009). 교원평가를 위한 지표로서 학생-교사 애착관계도구(Stars) 개발과 타당화. 敎育心理硏究, 23(4), 697-714.

10.

김종백, 김준엽 (2014). 교사와 학생의 교사-학생 관계 지각이 학생의 수업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31(3), 245-267.

11.

김준홍 (2012). 다문화위기에 대응하는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적 태도의 증진. 한국위기관리논집, 8(6), 183-208.

12.

김현아 (2013). 다문화상담 관련 종사자의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상담자 자질의 관계. 상담학연구, 14(3), 1717-1737.

13.

김현정, 이태상 (2015).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2), 479-498.

14.

김현주 (2015). 중학생의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남희은, 이미란, 배은석, 김선희, 백정원 (2014). 대학생의 개인주의 - 집단주의 가치성향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디아스포라 연구, 8(2), 227-255.

16.

루판 (2015). 중학교 다문화교육의 중국문화이해 수업지도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문찬수, 박정하, 이혜나 (2012). 학생 개인 및 학교 특성이 중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미래교육연구, 25(2), 1-21.

18.

민무숙, 안상수, 김이선, 김금미, 류정아, 조영기 (2010). 한국형 다문화수용성진단도구 개발연구.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연구보고.

19.

민병수 (1991).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영신, 김의철, 김영희 (2007).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종단 분석: 심리적, 관계적, 그리고 사회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3(1), 1-41.

21.

박영주, 이주은 (2013).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사회복지, 24, 285-310.

22.

박정주 (2011). 교사애착이 학생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333-352.

23.

박혜숙 (2013). 대학생 대상 다문화 수용성 척도 타당화. 교육과학연구, 44(2), 219-248.

24.

서종남 (2010). 중등학교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중등교육연구, 58(1), 93-116.

25.

양계민 (2009).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59-79.

26.

양계민, 정진경 (2008). 사회통합을 위한 청소년 다문화교육 활성화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여성가족부 (2013).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28.

오미섭 (2013).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관계 및 교우관계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윤인진, 송영호 (2009).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1), 579-591.

30.

윤준기 (2010).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인권 존중이 교사-학생 관계,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건남, 김영은, 이기용 (2013).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3), 1-14.

32.

이수경 (2015). 청소년 다문화 수용성에서 나타나는 종단변화와 그 영향요인. 청소년학연구, 22(10), 27-48.

33.

이자형, 김경근 (2013).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 교육사회학연구, 23(3), 53-77.

34.

이자형, 김경근 (2014). 한국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 敎育學硏究, 52(4), 55-81.

35.

이재경 (2012). 청소년기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비행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청소년복지연구, 14(2), 51-73.

36.

임샛별 (2015). 중학생의 발달자산과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정석원 (2014).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정홍란 (2012).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교우관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조성남, 박선웅 (2001). 청소년 하위문화와 정체성 정치. 사회과학 연구논총, 7(-), 117- 162.

40.

주소영, 이양희 (2012). 연구논문: 청소년 잠재비행, 부정적 자동적 사고, 탄력성(Resilience)의 관계에서 교사애착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19(8), 103-142.

41.

지은림, 백순근, 채선희, 설현수 (2003). 교사-학생 관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16(2), 25-42.

42.

진은설, 임영식 (2008). 자기효능감, 또래영향, 부모모니터링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5(4), 27-47.

43.

진의남 (2012).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인식과 개선 요구. 實科敎育硏究, 18(3), 145- 169.

44.

최만식 (2014). 교원과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5.

최옥순 (2015).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최지영, 김재철 (2015). 연구논문: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심리, 사회적 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22(2), 389-411.

47.

최현옥, 김혜리 (2008). 청소년의 마음이해 능력과 사회적 능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1-18.

48.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4). 2014 청소년통계.

49.

한윤선, 김부경, 전수아 (2014).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정 환경 요인과 다문화 밀집지역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1(12), 97-125.

50.

홍봉선, 아영아 (2011). 청소년의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社會科學硏究, 27(3), 165-187.

51.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52.

홍세희, 노언경, 정 송 (2011). 부정문항이 포함된 검사의 요인구조. 교육평가연구, 24(3), 713-732.

53.

황정미 (2010).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 亞細亞硏究, 53(4), 152-184.

54.

Aboud, F. E. (1988). Children and prejudice New York: B. Blackwell.

55.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56.

Berndt, T. J. (2002).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developmen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1(1), 7-10.

57.

Crosnoe, R., & Johnson, M. K. (2011). Research on adolescen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Annual Review of Sociology, 37, 439-460.

58.

Davis, H. A. (2003). Conceptualizing the role and influence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38(4), 207-234.

59.

Doyle, A., Beaudet, J., & Aboud, F. (1988). Developmental patterns in the flexibility of children's ethnic attitudes. Journal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19(1), 3-18.

60.

Enders, C. K., & Bandalos, D. L. (2001).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8(3), 430-457.

61.

Erickson, M. F., & Pianta, R. C. (1989). New lunchbox, old feelings: What kids bring to school.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1), 35-49.

62.

Fabes, R. A., Carlo, G., Kupanoff, K., & Laible, D. (1999). Early adolescence and prosocial/ moral behavior I: The role of individual processe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1), 5-16.

63.

Fordham, K., & Stevenson‐Hinde, J. (1999). Shyness, friendship quality, and adjustment during middle childhoo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0(5), 757-768.

64.

Gurucharri, C., & Selman, R. L. (1982).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understanding during childhood, preadolescence, and adolescence: A longitudinal follow-up study. Child Development, 53(4), 924-927.

65.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s.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p. 103-196). New York: John Wiley.

66.

Hartup, W. W. (1993). Adolescents and their friend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93(60), 3-22.

67.

Hoffman, M. L. (2001).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caring and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Hymel, S., Rubin, K. H., Rowden, L., & LeMare, L. (1990).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Longitudinal prediction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ing problems from middle to lat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61(6), 2004-2021.

69.

Parker, J. G., & Asher, S. R. (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611-621.

70.

Pianta, R. C., & Steinberg, M. (1992). Teacher- child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o school.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92(57), 61-80.

71.

Sharabany, R., Gershoni, R., & Hofman, J. E. (1981). Girlfriend, boyfriend: Age and sex differences in intimate friendship. Developmental Psychology, 17(6), 800-808.

72.

Wentzel, K. R. (1998). Social relationships and motivation in middle school: The role of parents, teachers, and pee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0(2), 202-209.

73.

White, F. A., Wootton, B., Man, J., Diaz, H., Rasiah, J., Swift, E., et al. (2009). Adolescent racial prejudice development: The role of friendship quality and interracial contact.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33(6), 524-534.

74.

Youniss, J. (1982). Parents and peers in social development: A sullivan-piaget perspec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