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전국의 일반 성인 28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통 감내력 부족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수용 행동 질문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온라인 조사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통 감내력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경험회피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주관적 안녕감과 경험회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험회피는 유의한 수준에서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편향수정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고통 감내력이 경험회피를 거쳐 주관적 안녕감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인의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경험회피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a total of 285 normal adults in the nation from October 21 to 24, 2015.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distress intolerance index,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and acceptance action questionnaire.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retrived by an online survey company.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distress toler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while negatively with experiential avoidance. Also,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dicat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at a meaningful level. Additionally, deflection correction bootstrap analysis was used to verify indirect effects and its results revealed that the mediating effect going from distress tolerance to subjective well-being passing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distress tolerance not only influences subjective well-being directly but also influences indirectly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Finally,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구재선, 김의철 (2006).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2), 77-100.
박영신, 김의철 (2006).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61-195.
김 환, 이훈진 (2007). 경험적 회피와 회피적 반응의 관계: 행동적 회피, 감추기 및 거리두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2), 225-243.
문정순, 한규석 (2012).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공상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1), 93 -110.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서은국, 구재선 (2011). 단축형 행복(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96-114
서은국, 구재선 (2016). 주관적 안녕감과 소수집단에 대한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2), 183-202.
서장원 (2016). 장기적 문제음주자의 고통감내과정에 대한 정동적 판단 모델의 제안과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장원, 권석만 (2014). 한국판 고통 감내력 부족 척도의 타당성 연구: 한국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 (4), 783-793.
안계훈, 김은정 (2017). 정서적 고통 감내력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걱정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3(1), 207-228.
유성진, 권석만 (2009). 심리평가 및 심리치료에 있어서 기질-성격 모형의 임상적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2), 563-586.
유성진 (2010). 불안증상의 발현에서 위험회피 기질과 체험회피 시도의 역할: 불안감내력장애의 개념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정은, 조용래 (2007). 걱정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일반화된 불안증상 간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939-961.
임낭연, 이화령, 서은국 (2010). 한국에서의 Dinner의 삶의 만족 척도 사용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 21-47.
장하연 (2012). 타인의 인정에 과도한 요구 신념과 정서적 고통 감내력이 사회적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지현, 권석만 (2013).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탈중심화와 회피적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627-647.
정지현 (2015). 고통 감내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주관적, 행동적 고통 감내력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청구논문.
조용래 (2011).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및 탈중심화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매개중재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임삼, 30 (3), 767-787.
허재홍 (2008). 사회불안 과정에서 자기효능감과 체험회피가 미치는 영향: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73-1189.
허재홍 (2009).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Ⅱ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861-878.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한겨레21 (2017). 김아리의 행복연구소: 오늘에 집착하라. 1181, 76-78.
Abramowitz, J. S., Tolin, D. F., & Street, G. P. (2000). Paradoxical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A meta-analysis of controlled studies. Clinical Review, 21, 683-703.
Bandalos, D. L. (2002).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 78-102.
Bernstein, A., Zvolensky, M. J., Vujanovic, A. A., & Moos, R. (2009). Integrating anxiety sensitivity, distress tolerance, and discomfort intolerance: a hierarchical model of affect sensitivity and tolerance. Behavior Therapy, 40, 291-301.
Chawla, N., & Ostafin, B. (2007). Experiential avoidance a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psychopathology: An empirical review.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3(9), 871-890.
Cougle, J. R., Timpano, K. R., Sarawagi, S., Smith, C. M., Fitch, K. E. (2013). A multi-modal investigation of the roles of distress tolerance and emotional reactivity in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xiety, Stress, and Coping, 1, 1-15.
Diener, E., & Suh, E. M. (2000).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Cambridge, MA: MIT Press.
Dvorak, R.D., Arens, A.M., Kuvaas, N.J., Williams, T.J.,& Kilwein, T.M. (2013). Problematic alcohol use, trauma history, and PTSD symptom level: A path analysis. Journal of Dual Diagnosis, 9(4), 281-291.
Fresco, D. M., Moore, M. T., van Dulmen, M. H. M., Segal, Z. V., Ma, S. H., Teasdale, J. D., & Williams, J. M. G. (2007). Initial psychometric properies of the experiences questionnair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decentering. Behavior Therapy, 38, 234-246.
Freud, S. (1911). Formulations regarding the two principles in mental Functioning. In J.Strachey (Ed.), Sigmund Freud Collected Papers 4 (pp.13-21). London: Hogarth and Institute of Psycho-Analysis.
Hayes, S. C., Strosahl, K.,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 lapproach to behavior change. NY: The Guilgord Press.
Hayes, S. C., Wilson, K. G., Gifford, E. V., Follette, V. M., & Strosahl, K.(1996).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4(6), 1152-1168.
Hayes, S. C., Strosahl, K., Wilson, K. G., Bissett, R. T., Pistorello, J., Toarmino, D., Polusny, M. A., Dykstra, T. A., Batten, S. V., Bergan, J., Stewart, S. H., Zvolensky, M. J., Eifert, G. H., Bond, F. W., Forsyth, J. P., Karekla, M., & Mccurry, S. M. (2004). Measuring expriential avoidance: A preliminary test of a working model. The Psychological Record, 54, 553-578.
Jazaieri, H., Goldin, P. R., Werner, K., Ziv, M., & Gross, J. J. (2012). A randomized trial of M BSR versus aerobic exercise for social anxiety disorde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8, 715-731.
Kabat-Zinn, J. (1994). Wherever you go there you are: Mindfulness mediation in everyday life. NY: Hyperion.
Keough, M. E., Riccardi, C. J., Timpano, K. R., Mitchell, M. A., & Schmidt, N. B. (2010). Anxiety symptomatology: the association with distress tolerance and anxiety ensitivity. Behavior Therapy, 41, 567-574.
Kernberg, O. (1967). Borderline personality organiz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iation, 15(3), 641-685.
Leyro, T. M., Zvolensky, M. J., & Bernstein, A. (2010). Distress tolerance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and disorders: A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among adults. Psychological Bulletin, 136(4), 576-600.
Linehan, M. M. (1993).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York: Guilford Press.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149.
McHugh, R. K., Daughters, S. B., Lejuez, C. W., Murray, H. W., Hearon, B. A., Gorka, S. M., & Otto, M. W. (2011). Shared variance among self-report and behavioral measures of distress intoleranc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5(3), 266-275.
McHugh, R. K., Reynolds, E. K., Leyro, T. M., & Otto, M. W. (2013). An examination of the assoaiation of distress intolerance and emotion regulation with avoidanc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7(2), 363-367.
Roemer, L., & Orsillo, S. M. (2007). An open trial of an acceptance-based behavior therapy fo 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ehavior therapy, 38(1), 72-85.
Safran, J. D., Segal, Z. V. (1990). Interpersonal process in cognitive therapy. Northvale, NJ: Jason Aronson.
Simons, J. S., & Gaher, R. M. (2005). The Distress Tolerance Scale: 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Motivation and Emotion, 29(2), 83-102.
Selye, H. (1956). The stress of life. New York: McGraw Hill.
Trafton, J. A., & Gifford, E. V. (2011). Biological bases of distress tolerance. In M. J. Zvolensky, A. Bernstein, & A. A. Vujanovic (Eds.), Distress tolerance: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pp. 80-102). New York: The Guilford Press.
Wenzlaff, R. M, & Wegner, D. M. (2000), Thought suppress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1, 59-91.
Williams, A. D. (2012).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compulsive acquisition behaviour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4(4), 2017-224.
Zvolensky, M. J., Leyro, T. M., Bernstein, A., & Vujanovic, A. A. (2011). Historical perspectives, theory, and measurement of distress tolerance. In Zvolensky, M. J., Bernstein, A., & Vujanovic, A. A.(Eds). Distress tolerance: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New York: The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