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부당한 상황에서 경험되는 정서의 문화 차이: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The difference of cultural emotions in unfair situation in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8, v.24 no.2, pp.251-272
https://doi.org/10.20406/kjcs.2018.5.24.2.251
한민 (우송대학교)
류승아 (경남대학교)

초록

사람들은 자신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부당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 상황에 대한 인식, 감정 및 행동에 다양한 방식을 보인다. 본 연구는 4개국(한국, 중국, 일본, 미국)에서 부당한 상황에 대한 인식, 감정 상태, 및 행동 양상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새로운 자기관 모델인 주체성-대상성-자율성 모델을 이용하여 국가마다 나타나는 자기관과 행동양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317명(한국인 87명, 중국인 71명, 일본인 80명, 미국인 79명)이었다. 4개국 모두에서 부당한 상황은 “자신이 하지 않은 일로 불이익이나 책망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국가별로 그 비율은 다르게 나타났다. 부당한 상황에 대한 감정 상태 중 분노는 한국인이, 불쾌와 관계정서는 중국인들이, 그리고 당혹감은 일본인들이 가장 높은 비울을 보였다. 행동 영역에서는 아시아 3개국은 대부분 어떤 행동도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미국인은 대부분 직접적인 표현을 하였다. 주체성-대상성-자율성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한국인은 주체성 자기관이 높았고, 중국인은 주체성과 자율성 자기관이 동시에 높았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대상성 자기관이 다른 나라에 비하여 높았고, 미국은 자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억울과 관련한 문화적 정서에 대한 함의와 새로운 자기관 모델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억울, 문화적 정서, 대처, 자기관, 주체성-대상성-자율성 모델, ‘Eogul’, cultural emotion, self-construal, coping, subjectivity-objectivity-autonomy model

Abstract

There could be different ways of perception, emotions, and behaviors facing on unfair situation according to the culture background by which people have been affected. We investigated whether definition, feelings, and behaviors in 4 countries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would differ in terms of unfair situations. We furth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self-construal model (subjectivity- objectivity-autonomy model) and behaviors resulted from unfair situations. Three hundred seventeen participants (87 Koreans, 71 Chinese, 80 Japanese, and 79 Americans) took part in this research. We found that all countries defined unfair situation as “having a disadvantage or blame that one did not done by him or her” with the highest percentage, but there was a different percentage according to countries. Next, Chinese felt disappointment or betray from the situations highly while others expressed anger with the largest portion. In the area of behaviors, three countries in Asia answered “no behavior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while Americans mostly responded “direct expressions”. In terms of self-construal model, subjective self was high in Chinese and Koreans while autonomy was high in Chinese and American. Japanese showed objective self with the highest.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억울, 문화적 정서, 대처, 자기관, 주체성-대상성-자율성 모델, ‘Eogul’, cultural emotion, self-construal, coping, subjectivity-objectivity-autonomy model

참고문헌

1.

김경민, 박동건 (2011). 개인주의 집단주의와 조직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 내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4), 395- 413.

2.

김정운 (2001). 관계적 정서와 문화적 정서: 정서의 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389-407.

3.

김효창 (2010). 자살: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조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6(2), 165-178.

4.

남기숙, 조선미, 이훈진 (2006). 한국어 단어를 기초로 한 수치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1063- 1085.

5.

류승아 (2010). 자아존중감과 문화적 성향과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2), 169-183.

6.

민성길 (1989). 홧병의 개념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28(4), 604-616.

7.

서신화, 이수현, 한 민 (2013). 억울에 대한 사회적 표상 연구. 미발표 논문.

8.

서신화, 허태균, 한 민 (2016). 억울 경험의 과정과 특성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4), 643-674.

9.

이누미야 요시유키 (2009). 주체성-대상성 자기와 긍정적 환상의 관계에 관한 한일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1), 115- 146.

10.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윤주 (2006). 긍정적 환상의 한일비교: 주체성 자기와 대상성 자기에 의한 설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9-34.

11.

이누미야 요시유키, 한 민, 이주희, 이다인, 김소혜 (2007). 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2), 17-34.

12.

이시형 (1977). 홧병에 대한 연구. 고의, 1(2), 63-69.

13.

이시형, 조소연, 이성희 (1989). 울홧병으로서의 홧병 형성 기전. 고의, 12, 151-156.

14.

조선영, 이누미야, 김재신, 최일호 (2005). 한국과 일본에서 상호독립적-상호협조적 자기관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공적자기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4), 49- 60.

15.

조수진, 이재은 (2015).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한, 중, 일 대학생들 간의 정서차이에 관한 연구: ‘수줍음’과 ‘친밀감’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15(1), 57-64.

16.

조홍건 (1991). 스트레스병과 화병의 한방치료. 서울: 열린책들.

17.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18.

최상진, 이요행 (1995). 한국인 화병의 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1호, 327-338.

19.

한 민,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소혜, 장웨이 (2009). 새로운 문화-자기관 이론의 국가간 비교연구: 한국, 중국, 일본 대학생들의 자기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1), 49- 66.

20.

한 민 (2012). 한국인의 문화적 자기관(한국인 마음지도 연구자료 중). 미발표 논문.

2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DC:Author.

22.

Aubrey, S. (2009). A cross-cultural discussion of Japan and South Korea and how differences are manifested in the ESL/EFL classroom. Asian Social Science, 5, 34-39.

23.

Averill, J. R. (1983).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38, 1145-1160.

24.

Averill, J. R. (1985). The social construction of emo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love. In K. J. Gergen & K. E. Davis(Eds.),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person (pp.89-109). New York: Springer.

25.

Beckman-Brito, K. (2003). Classroom Etiquette: A cross-cultural study of classroom behaviors. Arizona Working Paper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Teaching, 10, 17-34.

26.

Bruner, J. S. (1990). Acts of meaning.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7.

Buck, R. (1988). Human motivation and emotion (2nd ed.). New York: Wiley.

28.

Carver, C. S. (1997). You want to measure coping but your protocol's too long: Consider the Brief COP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92-100.

29.

Carver, C. S., Scheier, M. F., & Weintraub, J. K.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267-283.

30.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ur, 24, 386-396.

31.

Ekman, P. (1972). Universals and cultural differences in facial expression of emotion. In J. Cole(Ed.),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971.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2.

Folkman, S. (1984). Personal control and stress and coping processes: A theoret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839-852.

33.

Frijda, N. H. (1986). The emotions.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Gudykunst, W. B., Matsumoto, Y., Ting-Toomey, S., Nishida, T., Kim, K., & Heyman, S. (1996). The influence of cultural individualism-collectivism, self construals, and individual values on communication styles across culture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2, 510-543.

35.

Han, M., Kim, H., & Inumiya, Y. (2016). Differed self within collectivist culture: Introducing and alternative self-construal theory. Studies in Asian Social Science, 3, 37-53.

36.

Harre, R. (Ed.). (1986). The social construction of emotions. Oxford, England: Balckwell.

37.

Harre, R., & Gillett, G. (1994). The discursive mind. London: Sage.

38.

Kagan, J. (2007). What is Emotion: History, measures, and meaning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39.

Kitayama, S., & Markus, H. M. (1994). Emotion and culture: Empirical studies of mutual influence.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0.

Lazarus, R. S. (1984). On the primacy of cognition. American Psychologist 39, 124-129.

41.

Lee, Y. J., & Matsumoto, Y. (2011). Emotional display rules of Japanese and Koreans. Shinrigaku Kenkyu, 82, 415-423.

42.

Leung, T., & Kim, M. S. (1997). A revised self construal scal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Honolulu.

43.

Levine, T. R., Bresnahan, M. J., Park, H. S., Lapinski, M. K., Wittenbaum, G. M., Shearman, S. … Ohashi, R. (2003). Self-Construal Scales Lack Validit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9, 210-252.

44.

Lutz, C. (1982). The domain of emotion words on Ifaluk. American Ethnologist, 9, 113-128.

45.

Lutz, C. (1988). Unnatural emotions: Everyday sentiments on a Micronesian atoll and their challenge to Western theor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6.

Markus, H.,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47.

Mauro, R., Sato, K., & Tucker, J. (1992). The role of appraisal in human emotions: A cross-cultur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301-317.

48.

Mesquita, B., & Frijda, N. H. (1992). Cultural variation in emotion: A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2, 170-204.

49.

Moscovici, S. (1984). The phenomenon of social representations. In R. M. Farr, & S. Moscovici(Eds.), Social represent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9.

50.

Shachter, S. (1971). Emotion, obesity, and crime. New York: Academic Press.

51.

Shweder, R. A. (1993). The cultural psychology of the emotions. In M. Lewis & J. M. Haviland(Eds.), Handbook of emotions (pp.417- 431). New York: Guilford.

52.

Singelis, T. M. (1994).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 constru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 580-591.

53.

Tomkins, S. S. (1984). Affect theory. In K. R. Scherer & P. Ekman(Eds.), Approaches to emotion (pp. 163-196).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54.

Triandis, H. C. (1990). Cross-cultural studi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J. J. Berman(Eds.), Cross-cultural perspectives: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989 (pp.41-133). Lincoln, NB: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5.

Traindis, H. C. (1994).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Press.

56.

Wierzbicka, A. (1994). Emotion, language, and cultural scripts. In S. Kitayama & H. R. Markus(Eds.), Emotion and culture (pp.133-196).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7.

Wierzbicka, A. (1995). Emotion and facial expression: A semantic perspective. Culture and Psychology, 1, 227-258.

58.

Zabinsky, B., & Valsiner, J. (2004). Affective synthesis of the other through the self: A new look at empathy. Pater presented at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alogical Self, Warsaw, Poland, Aug. 28.

59.

大坊 郁夫, 上出 寛子, 村澤 博人, 趙 鏞珍, 毛 新華, 高橋 直樹 (2007). 顔形態特徴の日中韓比較(1): 顔面表情に伴う顔形態の文化比較 (対面コミュニケーション-顔を中心的メディアとした). 電子情報通信学会技術研究報告, HCS, ヒューマ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基礎, 107(241), 13-1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