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지방출신 여성들의 서울정착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Grounded Theory 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Women from the Provinces Settling in Seoul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8, v.24 no.2, pp.273-300
https://doi.org/10.20406/kjcs.2018.5.24.2.273
안윤정 (경기대학교)
임윤서 (동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서울로 상경한 지방출신 여성들의 서울정착 과정에서의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로 대학을 진학하고 졸업 후 남아 직장생활을 지속하고 있는 7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에서는 110개의 개념, 21개의 하위범주와 이들을 포함하는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서울정착의 힘겨움’이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심리적 불안 심화’, ‘생활의 질 하락’, ‘경제적 불안의 지속’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으로는 ‘서울정착의 지속여부에 대한 딜레마’로, 중재조건은 ‘서울상경이후 10년의 경험진단’으로 드러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개인생활의 변화’, ‘안정된 직장을 통한 경제력 확보’, ‘사회참여의 모색’으로, 결과는 ‘서울 정착의 지속성 여부 선택’으로 나타났다. 지방출신 여성들의 서울 정착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패러다임은 대학진학을 위해 서울로의 상경과 독립, 순응과 적응, 성장과 실패, 도전과 모색, 성찰과 새로운 선택 등의 정착과정을 거쳤다. 참여자들의 경험을 종합해 보면 이들은 30대가 되었어도 이방인과 같은 이질감과 불안을 인식하고 있었다. 당면한 문제들은 대학시절 보다 훨씬 복합적이고 다양해졌다. 직장인으로서 경제활동을 본격화하였지만, 서울 출신들과의 격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이제 이들은 누적된 피로감과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로 인해 서울을 떠나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절박감마저 엿보였다. 결론적으로 서울 상경 여성들의 안정된 정착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한계가 있으며, 한국 사회 전반의 사회적 문제해결과 더불어 구체적 정책 대안들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여성, 서울상경, 정착, 근거이론, 지방출신, women, coming up to Seoul, settling, grounded theory, local origin

Abstract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women from the provinces settling in Seoul, the current study conducts in-depth interviews on seven women who are working in Seoul after coming up to Seoul to attend and graduate from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under which the open coding extracted one hundred ten concepts, twenty-one sub-categories, and eleven categories encompassing them all. Causal condition is ‘difficulty of settling in Seoul’ and contextual conditions are ‘intensification of psychological anxiety’, ‘reduction in quality of life’, and ‘continuation of economic instability’. The central phenomenon is ‘dilemma of continuing life in Seoul’ and intervening condition is ‘diagnosis of ten years after coming up to Seoul’.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re ‘changes in personal life’, ‘securing economic abilities through a stable job’, and ‘finding ways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while the result was ‘choosing whether to continue living in Seoul’. The paradigm of experience of women from the provinces settling in Seoul proceed from coming up to Seoul for university to becoming independent, adapting to life in the city, experiencing growth and failures, facing challenge and searching for solutions, and conducting self-evaluation and making new choice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ere aware of differences and experienced anxieties as a stranger in Seoul even after living in the city for ten years; the problems they face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e since when they were in university, and while they launched a career and making money, the gap between them and their peers from Seoul has not closed. The women also express desperation that they may need to leave Seoul to find alternatives to problems caused by accumulated stress and social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by an individual.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at efforts by individuals can only have limited effects in helping women from the provinces to settle in Seoul, indicating that detailed policy plans are required to solve social issues in the overall Korean society.

keywords
여성, 서울상경, 정착, 근거이론, 지방출신, women, coming up to Seoul, settling, grounded theory, local origin

참고문헌

1.

김광기 (2014). 이방인의 사회학. 파주: 글항아리.

2.

김영란 (2007). 이주여성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46(1), 43-95.

3.

김옥남, 김영화 (2009). 도시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재사회화에 관한 질적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9(1), 55-80.

4.

김정경 (2015). 여성생애담에 나타난 이주와 정주의 양상과 그 의미. 구비문학연구, 41, 5-29.

5.

김태원 (2014). 생활세계와 이방인으로서의 결혼이주민. 현대사회와 다문화, 4(1), 1-26.

6.

김태원 (2017). 게오르그 짐멜의 이방인 이론과 상호문화. 인문사회 21, 8(2), 69-88.

7.

김현미 (2006).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정치학: -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70, 10-37.

8.

김현실 (2012).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문화 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32, 39-70.

9.

박수정 (2015). 중산층 여성의 ‘일터로 돌아오기’과정에 나타난 일상의 학습경험 -구성주의 근거이론의 접근.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 여성, 12(4), 395-432.

11.

박정미 (2017). 무작정 상경-서울 이주자에 관한 담론과 젠더. 사회와 역사, 113, 311- 344.

12.

이도흠 (2009). 서울의 사회문화적 공간과 그 재현 양상 연구 - 19세기의 ‘포의교집’ㆍ일제시대의 ‘천변풍경’ㆍ1960년대의 서울, 1964년 겨울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25, 45-82.

13.

이민경 (2016). 이주-정착-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 베트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22, 223-264.

14.

이종호, 노연희 (2017).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문화적응 간의 관계. 다문화콘텐츠연구, 24, 235-273.

15.

이지연, 그레이스 정, 유조안 (2014).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3), 1-15.

16.

이현재 (2009). 여성의 이주, 다층적 스케일의 장소 열기 그리고 정체성 저글링. 여성문학연구, 22, 7-36.

17.

임윤서, 안윤정 (2017). 서울에서 ‘지방출신 여대생’으로 살아가기: 서울 살이에 대한 포토보이스 적용.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56(2), 205-256.

18.

장민지 (2015). 젠더/무의식과 장소: 20~30대 여성청년 이주민들의 ‘집의 의미. 미디어, 젠더 & 문화, 30(4), 41-81.

19.

장민지 (2016). 유동하는 세계에서 거주하는 삶: 여성청년 이주민의 장소 만들기. 문화연구, 40(1), 68-105.

20.

전명희 (2017). 한 탈북 여성의 정착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주변에 서서 창조적 중심이 되다.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8(3), 145-176.

21.

정경운 (2007). 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정체성 구성의 장애요소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6(1), 97-139.

22.

정현주 (2012). 이주여성들의 역설적 공간? 억압과 저항의 매개체로서 공간성을 페미니스트 이주연구에 접목시키기. 젠더와 문화, 5(1), 105-144.

23.

최혜지 (2009).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1), 163-194.

24.

Charmaz, K. (2013). 근거이론의 구성: 질적 분석의 실천 지침- [Constructing Grounded Thero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박현선, 이상균, 이채원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6에 출판).

25.

Creswell, J. W. (2015). 질적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Choosing Among Approaches 3rd editio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3에 출판).

26.

Berry, J. W. (2001). A psychology of immigration. Journal of Social Issue, 57(3), 615-631.

27.

Giusta, M, D., & Kambhampat, Ui. (2006). Women migrant workers in the UK: social capital, well-being and integr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18, 819-833.

28.

Strauss, A., & Corbin, J (2001). 근거이론의 단계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tion].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원전은 1998에 출판).

29.

Schuetz, A. (1944). The stranger: An essay in social psycholog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9(6), 499-507.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