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mocratic Parenting of Father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0, v.26 no.4, pp.435-456
https://doi.org/10.20406/kjcs.2020.11.26.4.435
조설애 (부산대학교)
정영숙 (부산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조사 8차년도의 워킹맘 610명과 배우자를 대상으로 한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 워킹맘의 결혼만족도 및 우울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결혼 만족도는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 결혼 만족도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은 조절된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이 일-가족 갈등을 경험하는 워킹맘의 결혼 만족도를 보호함으로써 워킹맘의 우울을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일-가족 갈등을 경험하는 워킹맘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결혼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남편의 양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워킹맘, 일-가족 갈등, 우울, 남편의 양육, 결혼 만족도, working mother, work-family conflict, depression, parenting of father, marital satisfac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democratic patenting behavior of father in the relations of work-family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 who has child in 1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used data from 2015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ubjects are 610 working mothers and their spouses who completed the survey included the scales of work-family conflicts,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main results are followed. First,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Second, the interaction of work-family conflict of mother and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of father had an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 Thir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of father on the association between work-life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mother. These findings suggested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of father as protective factor concerning in work-family conflict of working mo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parenting of father are important to protect depression of working mother who experienced the work-family conflict.

keywords
워킹맘, 일-가족 갈등, 우울, 남편의 양육, 결혼 만족도, working mother, work-family conflict, depression, parenting of father, marital satisfaction

참고문헌

1.

강수경, 김해미, 정미라 (2018). 임신기 아버지의 가족친화적 직장조직문화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부부관계 질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3(1), 1-20.

2.

고선주 (2012).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지원강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 (1), 53~77.

3.

권승현 (2019.12.18.). 기혼 여성 5명 중 1명 경력단절...30대에 집중.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1912181135567012

4.

권유경, 정소희 (2012).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3(4), 219-243.

5.

김경화 (2013).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성별과 관련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5(4), 60-90.

6.

김소정 (2016). 기혼 직장인들의 일가족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7(2), 201-226.

7.

김소영 (2017). 남편의 가사노동과 자녀돌봄 분담 유형별 관련요인 및 부부의 가사분담만족도: 맞벌이 부부와 비맞벌이 부부 비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3), 47-72.

8.

김수정, 김은지 (2007).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 41(2), 147-174.

9.

김연재, 이재림 (2014). 근무시간 특성, 일-가족 갈등, 부부관계 만족도: 직종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62.

10.

김용익, 김낙흥 (2015). ‘아빠학교’의 아버지들이 양육참여를 통해 겪은 삶의 경험 탐색. 육아지원연구, 10(2), 191-215.

11.

김정운, 박정열 (2008). 일과 삶의 균형 (Work- 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5(3), 53-69.

12.

김혜성, Grace H. Chung (2019). 다문화 청소년의 민족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요인 분석: 어머니와 아버지의 영향 요인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4), 57-70.

13.

김희진, 장영은 (2013).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다중역할의 질과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93-607.

14.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15.

박미경, 오현주 (2016). 민주적 양육방식이 취업모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249-270.

16.

박영희 (2018). 남녀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결혼가치관 관계에서 성역할태도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박희진, 문혁준 (2013). 영아를 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 우울,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 81-98.

18.

설진희, 박수현 (2019).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이 미취학 자녀를 가진 전일제 직장여성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1), 55-77.

19.

손보영, 김수정, 박지아, 김양희 (2012). 바람직한 부모 양육태도가 초기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적응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성차비교. 한국청소년연구, 23(1), 149-173.

20.

송지은, Nadine F. Marks, 한경혜 (2007). 직업, 가족 및 일-가족 전이가 취업자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한국과 미국의 비교. 가족과 문화, 19, 61-92.

21.

안재진 (2011). 부의 양육참여가 출산 후 초기 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부관계의 질을 매개로. 한국아동복지학, 35, 127-158.

22.

여성가족부 (2006). 2005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3.

연은모, 윤해옥, 최효식 (2015).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우울 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 93, 1-29.

24.

유계숙 (2012). 저출산 대응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1), 111~125.

25.

유성경, 임영선, 김태원 (2017). 마음챙김이 워킹맘의 인지적, 심리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8(1), 389-411.

26.

유성경, 임영선, 임인혜, 김태원, 정혜림, 황민혜 (2018). 워킹맘의 일 가정 양립 촉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3), 377- 407.

27.

유성경, 임지숙, 손은영 (2016). 한국 맞벌이 여성들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7(6), 475-498.

28.

이미현, 최혜순 (2014). 아버지 양육참여 관련 연구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1(7), 307- 330.

29.

이윤석 (2010).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통합적 접근. 한국인구학, 33(2), 1-31.

30.

이선아 (2014). 양육스트레스가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31.

이숙현 (2010). 취업모의 다중역할의 질과 심리적 건강.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3), 67-90.

32.

이정순 (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부관계, 부모성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4(3), 99-108.

33.

이하나 (2016. 5. 15). 맞벌이 가족 행복하십니 까?… 일과 생활의 균형이 관건. 여성신문. http://www.womennews.co.kr/news/view.asp?num=93883..

34.

이주연, 정혜정 (2015). 노년기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상호관계-성별과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6(4), 575-593.

35.

이주희, 이은희 (2000). 맞벌이 부부의 직장, 가정의 역할갈등과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287-303.

36.

임다희, 탁성숙, 이선우 (2018). 조직문화가 일· 가정양립 갈등에 미치는 영향: 경쟁가치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조직학회보, 15(2), 29-56.

37.

임선아 (2013). 민주적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존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모형 비교: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 교육심리연구, 27(1), 125- 142.

38.

임지숙, 임영선, 유성경 (2017). 출산 후 워킹맘의 가능한 자기(possible self).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211-245.

39.

임혜림, 김서현 (2017). 민주적 부모양육태도가 또래애착을 매개로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6(3), 171-185.

40.

한경혜, 장미나 (2011). 일상재구성법을 통해 살펴본 영, 유아자녀를 둔 기혼 여성들의 행복감. 한국가족복지학, 16(4), 5-27.

41.

전명숙, 양난미 (2013). 학령기 아동을 키우는 전일제 취업모들의 일-가족 갈등과 우울의 관계: 배우자 지지와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82-282.

42.

전연진, 김호정 (2019)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우울의 관계 및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92-92.

43.

정지연 (2008).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45.

조윤진, 유성경 (2012). 기혼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우울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441-463.

46.

조혜정 (1981). 전통적 경험세계와 여성. 아시아여성연구, 20, 81-111.

47.

정선이, 차승은, 김순덕, 박미희 (2019).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부정적 전이와 결혼의 질 그리고 부부갈등의 역할.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4), 3-20.

48.

차영란, 김기범, 전경숙 (2007). 중년여성의 일상생활속의 사회적 역할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299-313.

49.

천금주 (2015. 12. 07). 한국 남성 가사노동시간 OECD 중 꼴찌... 하루 평균 45분.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137133

50.

최정숙 (2011). 일-가족 역할갈등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학령기 자녀를 둔 전문직 여성을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39, 214-247.

51.

최효식, 윤해옥, 연은모 (2015). 어머니-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관계: 부부갈등, 우울, 긍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5(1), 153-174.

52.

통계청 (2019). 2018 인구총조사. 통계청.

53.

통계청 (2017). 2016 인구총조사. 통계청.

54.

통계청 (2009). 2008 인구총조사. 통계청.

55.

한경훈, 박소정, 김세현 (2015). 기혼유자녀 직장여성의 수퍼우먼 신드롬 유형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양상 연구. 사회과학연구, 31(2), 25-43.

56.

허묘연.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57.

KB경영연구소 (2019). 2019 한국 워킹맘보고서. KB금융.

58.

Abakoumkin, G., Stroebe, W., & Stroebe, M. (2010). Does relationship quality moderate the impact of marital bereavement on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9(5), 510-526.

59.

Adhikari, H. (2012). Anxiety and Depression: comparative study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Global Journal of Human-Social Science Research, 12(12), 101-103.

60.

Allen, T. D., Herst, D. E., Bruck, C. S., & Sutton, M. (2000).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to-family confl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2), 278-308.

61.

Aryee, S., Srinivas, E. S., & Tan, H. H. (2005). Rhythms of Lif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Balance in Employed Par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1), 132-146.

62.

Baumrind, D. (1980). New directions in socialization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35(7), 639-652.

63.

Baumrind, D. (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4, 1-103.

64.

Borelli, J. L., Nelson, S. K., River, L. M., Birken, S. A., & Moss-Racusin, C. (2017).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guilt in parents of young children. Sex Roles, 76(5-6), 356-368.

65.

Bragiel, J., & Kaniok, P. E. (2011).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involvement with their child with disabilities. European Journal of Special Needs Education, 26(3), 395-404.

66.

Coyne, J. C., & Benazon, N. R. (2001). Not agent blue: Effects of marital functioning on depression and implications for treatment. In S. R. H. Beach (Ed.), Marital and family processes in depression: A scientific foundation for clinical practice (p. 25-43).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037/10350-002.

67.

Craig, L., Mullan, K., & Blaxland, M. (2010). Parenthood, policy and work-family time in Australia 1992-2006.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4(1), 27-45.

68.

Dew, J., & Wilcox, W. B. (2011). If momma ain’t happy: Explaining declines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new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3(1), 1-12.

69.

Erel, O., & Burman, B. (1995). Interrelatedness of marital relations and parent-child relations: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18(1), 108-132.

70.

Feinberg, M. E. (2003). The internal structure and ecological context of coparenting: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3(2), 95-131.

71.

Ford, M. T., Heinen, B. A., & Langkamer, K. L. (2007).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57-80.

72.

Fujimoto, T., Shinohara, S.K. and Oohira, T. (2014),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for Employed Husbands and Wives in Japan: Moderating Roles of Self and Spousal Role Involvement,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ial Responses to Health Issues. Contemporary Perspectives in Family Research, Vol. 8A,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pp. 135-162. https://doi.org/10.1108/S1530-35352014000008A004

73.

Galovan, A. M., Holmes, E. K., Schramm, D. G., & Lee, T. R. (2014). Father involvement, fat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work: Actor and partner influences on marital quality. Journal of Family Issues, 35(13), 1846-1867.

74.

Ghatavi, K., Nicolson, R., MacDonald, C., Osher, S., & Levitt, A. (2002). Defining guilt in depression: a comparison of subjects with major depression, chronic medical illness and healthy control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68(2-3), 307-315.

75.

Goeke-Morey, M. C., & Cummings, E. (2007). Impact of father involvement: A closer look at indirect effects models involving marriage and child adjustment. Applied Development Science, 11(4), 221-225.

76.

Gutek, B. A., Searle, S., & Klepa, L. (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4), 560-568.

77.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78.

Hammer, L. B., Cullen, J. C., Neal, M. B., Sinclair, R. R., & Shafiro, M. V. (2005). The Longitudinal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Positive Spillover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2), 138–154.

79.

Haslam, D. M., Patrick, P., & Kirby, J. N. (2015). Giving voice to working mothers: A consumer informed study to program design for working moth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8), 2463-2473.

80.

Hawkins, M. W., Carrère, S., & Gottman, J. M. (2002). Marital sentiment override: Does it influence couples’ percep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1), 193-201.

81.

Hayes, A. F. (2018). Partial, conditional, and moderated mediation: Quantification, inference, and interpretation. Communication Monographs, 85(1), 4-40.

82.

Hofstede, G. (2011). Dimensionalizing Cultures: The Hofstede Model in Context. Psychology and Culture, 2(1). https://doi.org/10.9707/2307-0919.1014

83.

Hofstede, G. (2001).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Thousand Oaks, CA: Sage.

84.

Holt-Lunstad, J., Birmingham, W., & Jones, B. Q. (2008). Is there something unique about marriage? The relative impact of marital status, relationship quality, and network social support on ambulatory blood pressure and mental health.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35(2), 239-244.

85.

Kessler, R. C., Andrew,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 LT, W. EE, & Zaslavsky, A.(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86.

Kinnunen, U., Geurts, S., & Mauno, S. (2004). Work-to-family conflict and its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and well-being: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on gender differences. Work and Stress, 18(1), 1-22.

87.

Maliki, A. E., & Inokoba, P. K. (2011). Parental child rearing styles,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and students’ attitude towards cultism in Niger Delta University, Bayelsa state of Nigeria: Counselling implications. Journal of Social Sciences, 27(3), 209-214.

88.

Mamun, A. A., Clavarino, A. M., Najman, J. M., Williams, G. M., O’Callaghan, M. J., & Bor, W. (2009). Maternal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a 14-year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Women’s Health, 18(12), 2023-2031.

89.

Matthews, L. S., Conger, R. D., & Wickrama, K. A. (1996).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quality: Mediating processe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2-79.

90.

Marshall, N. L., & Barnett, R. C. (1993). Work‐family strains and gains among two‐earner coupl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1(1), 64-78.

91.

Mehall, K. G., Spinrad, T. L., Eisenberg, N., & Gaertner, B. M. (2009). Examining the relations of infant temperament and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to mother and father involvement: A longitudinal study. Fathering, 7(1), 23.

92.

Michel, J. S., Mitchelson, J. K., Kotrba, L. M., LeBreton, J. M., & Baltes, B. B. (2009). A comparative test of work-family conflict models and critical examination of work-family linkag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4(2), 199-218.

93.

Obidoa, C., Reeves, D., Warren, N., Reisine, S., & Cherniack, M. (2011). Depression and work family conflict among corrections office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3(11), 1294-1301.

94.

O’Brien, K. M., Ganginis Del Pino, H. V., Yoo, S.-K., Cinamon, R. G., & Han, Y.-J. (2014). Work,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Employed mothers in Israel,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3), 461-472.

95.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96.

Stevens, D., Kiger, G., & Riley, P. J. (2001). Working hard and hardly working: Domestic labor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2), 514-526.

97.

Tinker, S., & Moore, K. (2003). Teachers’ work hours, work-family conflict and health: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and organisational support.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3), 663-678.

98.

Umemura, T., Christopher, C., Mann, T., Jacobvitz, D., & Hazen, N. (2015). Coparenting problems with toddlers predict children’s symptoms of psychological problems at age 7.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46, 981–996. doi: 10.1007/s10578-015-0536-0

99.

Wayne, J. H., Musisca, N., & Fleeson, W. (2004). Considering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 work–family experience: Relationships of the big five to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1), 108-130.

100.

Whisman, M. A. (2001).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In S. R. H. Beach (Ed.), Marital and family processes in depression: A scientific foundation for clinical practice(p. 3–2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037/10350-001

101.

Wilcox, W. B., & Nock, S. L. (2006).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Equality, equity, commitment and women’s marital quality. Social Forces, 84(3), 1321-1345.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