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한국 단축형 사랑중독 척도(Korean-Love Addiction Questionnaire-Short Form: K-LAQ-SF)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Korean Love addiction Questionnaire-Short Form (K-LAQ-SF)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0, v.26 no.4, pp.501-524
https://doi.org/10.20406/kjcs.2020.11.26.4.501
송연주 (동의대학교)
하문선 (공주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 한국 단축형 사랑중독 척도(Korean-Love addiction Questionnaire-Short Form: K-LAQ-SF)를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Peabody(2005)의 사랑중독 질문지(Love addicts 40 Questions)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5요인, 15문항을 선정한 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척도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동등성 검증 결과는 축약된 척도의 이론적 구조가 남녀별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K-LAQ-SF와 원척도와의 상관분석 결과는 본 척도에서 타당화된 단축형 척도가 원척도를 비교적 충실히 대표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관계중독, 사랑유형, 우울 변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통해 수렴, 변별 및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K-LAQ-SF는 안정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바탕으로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한국 성인의 사랑중독 특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Love addiction, Validation, relationship addiction, depression, abbreviated, 사랑중독, 타당화, 관계중독, 우울, 단축형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Korean Love addiction Questionnaire-Short Form (K-LAQ-SF) applicable to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Love addiction 40 Questions(Peabody, 2005), the final 5 factors and 15 questions appeared, and the model fit of the final scal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quivalence test showed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abbreviated scale works in the same way for each gender.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LAQ-SF and original scale showed that the abbreviated scale represented the original scale relatively faithfully. Finall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is scale and relationship addiction, love type and depression showed that convergence, discrimination and criterion validity were secured. K-LAQ-SF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to easily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dults' love addiction in a short time based on st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keywords
Love addiction, Validation, relationship addiction, depression, abbreviated, 사랑중독, 타당화, 관계중독, 우울, 단축형

참고문헌

1.

김미림, 정여주, 이도연, 윤서연, 김옥미 (2019). 관계중독 개념 도출 델파이 연구. 열린교육연구, 27(3), 199-218.

2.

김은하 (2018). 일상 속 성차별 경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4(4), 593-614.

3.

김지연, 심혜원 (2016). 불안정 성인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성관계 갈등해결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2), 73-100.

4.

김지영, 강우예 (2013). 매 맞는 여성 증후군에 대한 재조명: 학대로 인해 남편을 살해한 여성에 대한 법심리학적 접근. 한국범죄심리연구, 9(2), 25-47.

5.

김지현, 김복환, 하문선 (2011). 간편형 한국어 BFI(Big five inventory) 타당화 연구. 인간이해, 32(1), 47-65.

6.

서동기, 이순묵, 김종남, 최승원, 채정민, 정선호, 조성경, 김명기 (2019). 단축형 심리검사 개발의 측정학적 방법과 타당화: 한국형 역기능 우울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8(1), 75-102.

7.

성태제, 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8.

송연주 (2019). 관계중독에 대한 개념 및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가족과 가족치료, 27(4), 699-721.

9.

송연주, 하문선 (2020).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2), 99-119.

10.

이수현 (2009). 여대생의 대인불안, 대인관계유형, 낭만적 애착유형과 관계중독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순묵, 김종남, 채정민, 최승원, 서동기 (2018). 개인선별용 일상우울척도 단축형의 개발 및 타당화. 스트레스연구, 26(4), 277-289.

12.

우상우 (2014). 관계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이론적 모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윤연, 장현아 (2017). 아동기 외상과 데이트 폭력 피해의 관계: 유기도식과 관계중독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191-209.

14.

이의선 (2005). 관계중독의 기독교 상담적 치료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인재, 양난미 (2020). 관계중독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2), 311- 336.

16.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17.

정경연, 김흥석 이정희 (2012).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성별에 따른 방어유형. 청소년학연구, 19(5), 21-46.

18.

정은정, 정남운 (2019). 관계중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거절민감성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4(4), 947- 968.

19.

최 진, 최가연, 채정희, 송연주 (2019). 성역할 태도, 관계중독, 폭력허용도 및 데이트폭력 피해 간의 관계: 성인 미혼 남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795-814.

20.

최효정 (2020.03.19.). 지난해 혼인율 사상 최저... 이혼율은 2년 연속 상승. 조선비즈.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19/2020031905887

21.

홍세희 (1999). 문항반응 이론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임상심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9.

2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23.

홍세희 (2009). Program 3 구조방정식 모형: 고급. 서울: S&M 리서치그룹.

24.

홍세희, 조기현, 이현정, 김효진, 윤미리, 강윤경, 손수경 (2019). 청소년 회복탄력성 검사개발 및 타당화. 미래청소년학회지, 16(1), 57-86.

25.

Cheun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233-255.

26.

Choi, N., Fuqua, D. R., & Newman, J. L. (2009).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studies of the structure of the Bem Sex Role Inventory short form with two divergent samp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9(4), 696-705.

27.

Cohen, J. (1998).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1), 155-159.

28.

Costa, S., Barberis, N., Griffiths, M. D., Benedetto, L., & Ingrassia, M. (2019). The Love Addiction Inventory: Preliminary findings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1-18.https://doi.org/10.1007/s11469-019-00097-y

29.

Fabrigar, L. R., Wegener, D. T., MacCallum, R. C., & Strahan, E. J. (1999).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cal methods, 4(3), 272-299.

30.

Finstad, K. (2010). Response interpolation and scale sensitivity: Evidence against 5-point scales. Journal of Usability Studies, 5(3), 104- 110.

31.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Uppersaddle River.

32.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636-654.

33.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 Baskı). New York, NY: Guilford.

34.

Litchfield, B., & Litchfield, N. (1992). Christian Counseling & Family Therapy. 정동섭, 정성준 역 (2002). 기독교 상담과 가족치료(제4권). 서울: 예수전도단.

35.

Loewenthal, K. M. (1996). The final scale and its validation. Autor. An introduction to psychological tests and scales. London: UCL Press Limited, 55-60.

36.

Martin, G. (1991). When good things become addictions. 임근선 역 (1994). 좋은 것도 중독이 될 수 있다. 서울: 생명의 말씀사.

37.

Peabody S. (2005). Addiction to love: Overcoming obsession and dependency in relationships. 류가미 역 (2010). 사랑중독: 너무 지나치게 사랑하는 법. 서울: 북북서.

38.

Peele, S., & Brodsky, A. (1975). Love and addiction. Oxford: Taplinger.

39.

Peele, S., Brodsky, A., & Arnold, M. (1992). Truth about addiction and recovery. New York: Fireside.

40.

Rado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2, 385-401.

41.

Redcay, A., & Simonetti, C. (2018). Criteria for Love and Relationship Addiction: Distinguishing love addiction from other substance and behavioral addictions. Sexual Addiction & Compulsivity. 25(1), 80-95.

42.

Reynaud, M., Karila, L., Blecha, L., & Benyamina, A. (2010). Is love passion an addictive disorder?. The American Journal of Drug and Alcohol Abuse, 36(5), 261-267.

43.

Schumacker, R. E., & Lomax, R. G. (2004). A Beginner’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p.522). New York: Routledge.

44.

Sternberg, R. J. (1986). A triangular theory of love. Psychological Review, 93(2), 119-135.

45.

Sternberg, R. J. (1990). A triangular theory of love scale. Department of Psychology, Yale University, New Haven, Manuscript.

46.

Sussman, S. (2010). Love Addiction definition, etiology, treatment. Sexual Addiction & Compulsivity, 17(1), 31-45.

47.

Sussman S., Lisha N., & Griffiths M. (2011). Prevalence of the addictions: a problem of the majority or the minority? Eval Health Professions, 34(1), 3-56.

48.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Principal components and factor analysi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1), 582-633.

49.

Whiteman, T., & Petersen, R. (1998). Victim of love?: How you can break up the cycle of bad relationships. 김인화 역 (2004). 사랑이라는 이름의 중독. 서울: 사랑플러스.

50.

Whooley, M. A., Avins, A. L, Miranda, J., & Browner, W. S. (1997). Case-find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Two questions are as good as many.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2(7), 439-445.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