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불완전감이 저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Incompleteness on Hoarding Behavior: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4, v.30 no.4, pp.573-592
https://doi.org/10.20406/kjcs.2024.11.30.4.573
김동진 (경상국립대학교 심리학과)
이민규 (경상국립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저장행동의 관계에서 불완전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한국어판 단축형 강박증상목록, 강박특질 핵심차원 질문지, 한국판 특질 상위 기분 척도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저장행동의 관계에서 불완전감의 매개효과와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확인한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저장행동의 관계는 불완전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완전감과 저장행동의 관계를 정서인식 명확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저장행동의 관계에서 불완전감의 매개효과가 정서인식 명확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불완전감을 거쳐 저장행동에 이르는 경로가 정서인식 명확성에 의해 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부적응적 완벽주의, 불완전감, 저장행동, 정서인식 명확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complet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hoarding behavior, and to determine whether this mediating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clarit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university students aged 18 and older using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Revised, the Obsessive-Compulsive Trait Core Questionnair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incompleten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hoarding behaviors,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hoarding behaviors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incompleteness. Second, emotional clarity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pleteness and hoarding behaviors.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incomplet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hoarding behaviors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emotional clarity. This suggests that the pathway from maladaptive perfectionism to hoarding behaviors through incompleteness can be alleviated by emotional clar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maladaptive perfectionism, incompleteness, hoarding behaviors, emotional clarity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10-14
수정일Revised Date
2024-11-0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11-14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